||<-3><:> {{{#0047a0 {{{+1 '''북고양(설문) 나들목'''}}}[br]{{{-2 '''北高陽(雪門) 나들목'''}}}[br]{{{-2 '''North Goyang(Seolmun)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북고양설문 요금소'''[br]{{{-2 North Goyang Seolmun Tollgate}}}}}}}}} || || [[행주산성JC|{{{#!html서울 방면}}}]][br][[사리현IC]][br] ← 5.4 km || [[평택파주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7.svg|height=23]]{{{#!html
평택파주선}}}]]'''{{{#fff {{{+1 5}}}}}}''' || [[내포IC|{{{#!html파주 방면}}}]][br][[금촌IC]][br] 3.6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37.719343 126.797284, 너비=100%, 높이=225px)] || ||<-3> [[파일:북고양설문IC.jpg|width=100%]] || ||<-3> {{{#fff '''주소'''}}} || ||<-3>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설문동]] || ||<-3> {{{#fff '''관리기관'''}}} || || [[평택파주고속도로|{{{#fff 평택파주선}}}]] ||<-2> [[서울문산고속도로주식회사|서울문산고속도로(주)]] || ||<-3> {{{#fff '''개통'''}}} || ||<-3> [[2020년]] [[11월 7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98)]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63)]([[고봉로(고양)|고봉로]]) · 책향기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택파주고속도로]](서울-문산) 5번.''' 이름의 유래는 고양시의 북측에 위치한다는 의미와 동시에 나들목이 위치한 설문동이다. 초기 착공 당시 가칭은 동네 명칭을 딴 '설문IC'였다. == 구조 == === [[내포IC|파주]] 방향 === * 진출 가능: [[고봉로(고양)|고봉로]] 양방향, 책향기로 운정신도시 방향 * 진입 가능: [[고봉로(고양)|고봉로]] 파주방향, 책향기로 운정신도시 방향 === [[행주산성JC|서울]] 방향 === * 진출 가능: [[고봉로(고양)|고봉로]] 양방향, 책향기로 운정신도시 방향 * 진입 가능: [[고봉로(고양)|고봉로]] 파주방향, 책향기로 운정신도시 방향 == 역사 == * [[2020년]] [[11월 7일]]: [[평택파주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개통되었다. == 특징 == [[363번 지방도]](고봉로)와 운정신도시로 이어지는 책향기로와 접속한다. 고속도로 개통 당시에는 고봉로와 접속되었지만, 2021년 6월 17일 상지석교차로까지 책향기로 약 1.6km 구간이 개통되면서 책향기로와도 접속되면서 [[운정신도시]]의 [[평택파주고속도로]] 접근성이 더 원활해졌다. 원래 이 나들목은 [[일산신도시]] 및 탄현동 및 중산동 택지지구에서 접근이 빠르도록 [[고양시]] 방면으로 좀 더 꺾어 성석동에 들어설 예정이었다. 그러나 [[파주시]]의 요구로 IC를 설문동에 설치하게 되었다. 이것은 [[제2자유로]]를 가좌동을 거치게 한 고양시에 대한 '''파주시의 복수'''이다. 고양시는 성석동 IC를 계속 요구하였으나 파주시가 [[제2자유로]]를 "우리가 양보하지 않았냐"고 설문동IC를 계속 요구하여 결국 '''파주시가 이겼다'''. 그야말로 [[복수혈전]](...) 그러한 관계로 운정신도시와 연결되는 [[책향기로]]와는 진입도로와 [[고가도로]]를 통해 직결되며, [[탄현동]], [[중산동(고양시)|중산동]], 봉일천지구로 가는 길은 고가도로 하부 교차로에서 [[고봉로(고양)|고봉로]]를 통해 연계된다. [[https://cafe.naver.com/shoen7663/24297|링크]] 중산동과 탄현동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고양IC]]를 이용하는 게 거리상으로는 더 낫기는 한데, 연결되는 도로인 [[고양대로]]의 상태가 메롱한지라 북고양설문IC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는 것. 따라서 실질적으로 운정신도시로 가는 게 더 편한 나들목인 셈이며, 이러한 특성 상 [[운정신도시]] 카페쪽에서는 설문운정IC로 바꿔야한다는 얘기가 꽤 많이 나왔다. 다만 이건 반영되지 못하였고 오히려 '북고양·설문'IC로 확정되었다. [[고양시]] 측에서 운정신도시연합회의 움직임을 보고 이를 견제하기 위해 설문IC 대신 북고양IC라는 이름을 제시했다고 한다. 북고양IC를 통해 [[고양시]] 방면으로 가는 것이 가까운 동네는 중산동 내에서 [[중산마을]], [[탄현동]], 구일산지역이다. 중산동 내에서 하늘마을, 약산마을 등은 [[사리현IC]]로 가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 개통 당시에는 책향기로 연결 공사가 끝나지 않은 탓에 [[고봉로(고양)|고봉로]] 일산방향에서 이 인터체인지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하려면 유턴을 해야했다. 그런데 애초에 고봉로의 통행량 자체도 많은데, 고속도로가 건설되며 교통량이 더 늘어나면서[* 거짓말이 아니고 1초에 1대씩 차가 나오는데, 신호는 또 길어서 수백대의 차가 고립된다.] 말도 안되는 정체를 만드는 정말 심각한 상황에 빠졌다. 결국 고속도로 개통 3일만에 좌회전 차로가 만들어져 어느정도 대처는 했으나, 그래도 고봉로가 성석삼거리 이북에서 왕복 4차로라는 규모는 여전히 똑같기에 장기적으로 확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지원지방도]] 98호선인 고봉로에 대한 확장공사는 아직 계획이 없다. 국지도다 보니 [[경기도]]에서 먼저 계획을 세우고 국토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경기도는 경기 서북권에 대한 지원은 내팽겨쳐서... 원래 나들목이름은 '''북고양·설문'''이지만 웬일인지는 모르겠지만 표지판에서는 '''북고양(설문)'''으로 설문은 부명칭으로 강등시켰다. --설문동 사람들은 억울하겠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도 [[https://ko.wikipedia.org/wiki/%EB%B6%81%EA%B3%A0%EC%96%91(%EC%84%A4%EB%AC%B8)_%EB%82%98%EB%93%A4%EB%AA%A9|북고양(설문) 나들목]]으로 표기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국토교통부]] 정식 고속도로 거리 고시에는 북고양설문 병기명칭이다. [[2020년]]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울~문산 구간 북고양·설문IC가 생겨나면서 구 명성터미널(일산2동)[* 고양'''군''' 시절에 있던 [[버스 터미널]]로 [[화정터미널]]을 만든 [[1998년]] 폐지되었다. [[2021년]] 현재 [[명성운수]] 차고지로 활용중이고 [[일산뉴타운]] 2구역을 잇는 일산2구역 [[재개발]] 사업에 따라 철거 예정이다.]을 직접적으로 승계하는 북일산 지역 [[버스 터미널]]을 하나 더 만들자는 여론도 나오고 있다. 북고양·설문IC가 생겨나면서 탄현동에 [[버스 터미널]]을 하나 더 만들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버스 터미널을 탄현동에 만들 경우 [[한뫼도서관]] 맞은편에 있는 [[명성운수]] 차고지와 명문자동차운전학원을 인수하여 버스 터미널을 만들자는 주장이다. 종점인 [[내포IC]] 이전까지 파주방면으로의 진출입이 가능한 마지막 나들목이다. 다음 나들목인 [[금촌IC]]부터 [[산단IC]]까지는 인접 도로 및 수요 특성상 고양방면으로의 진출입 램프만 설치되어있다. 이 나들목과 [[금촌IC]] 사이에 [[평택파주고속도로]]의 유일한 [[졸음쉼터]]인 설문 졸음쉼터가 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익산평택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평택파주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