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부산광역시|{{{#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북구 제4선거구}}}}}}'''[br]{{{-1 {{{#fff 화명1,3동[br]北區 第四選擧區[br]Buk District 4}}}}}}}}}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북구_제4선거구(부산)8재.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58,132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br]화명1동, 화명3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종율]]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북구(부산광역시)|북구]]의 북부에 위치한 [[화명동|화명1,3동]] 일대를 관할한다. 고령화가 심한 부산에서 가장 노년층의 비중이 적은 지역이다. [[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북구 답게 보수세가 꽤나 약한 지역이다. 2010년대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이 40%를 넘기는 일이 상당히 많은 곳이다. 하지만 결국은 [[국민의힘]] 지지세가 대체로 높은 지역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이겼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북구 제2선거구''' || || 제2대 || [[배학철]]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금곡동, '''화명동''', 덕천2동] || ||<-5> '''북구 제1선거구''' || || 제3대 ||<|2> [[배학철]]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2> [*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 제4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5> '''북구 제4선거구''' || || 제5대 ||<|2> [[허태준]]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화명1동''', '''화명3동'''][* [[2003년]] [[7월]]에 화명동이 화명1,2,3동으로 분동되었다.] || || 제6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2> [* '''화명1동''', '''화명3동''', '''덕천2동'''] || || 제7대 || [[이상민(1963)|이상민]]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8대 || [[이순영(1958)|이순영]]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2> [*3] || || 제9대 || [[박종율]]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2선거구'''}}}}}}[br]{{{#ffffff 금곡동, 화명동, 덕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19,352'''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6.60%''' || '''당선''' || ||<|2> {{{#FFFFFF {{{+5 '''2'''}}}}}} || 정도준(丁度俊) || 14,83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3.3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3,887 ||<|3> '''투표율'''[br]66.46% || || '''투표 수''' || 35,814 || || '''무효표 수''' || 1,627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1선거구'''}}}}}}[br]{{{#ffffff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32,6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2.40%''' || '''당선''' || ||<|2> {{{#FFFFFF {{{+5 '''2'''}}}}}} || 조남구(曺南球) || 12,458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27.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1,320 ||<|3> '''투표율'''[br]42.14% || || '''투표 수''' || 46,918 || || '''무효표 수''' || 1,777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1선거구'''}}}}}}[br]{{{#ffffff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금곡동, 화명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배학철]](裵鶴喆)''' || '''28,45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9.55%''' || '''당선''' || ||<|2> {{{#ffffff {{{+5 '''2'''}}}}}} || 여창호(余昌浩) || 6,789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4.20% || 낙선 || ||<|2> {{{#ffffff {{{+5 '''3'''}}}}}} || 강호열(姜鎬烈) || 6,215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3.00% || 낙선 || ||<|2> {{{#FFFFFF {{{+5 '''4'''}}}}}} || 남한규(南韓奎) || 2,678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5.60% || 낙선 || ||<|2> {{{#FFFFFF {{{+5 '''5'''}}}}}} || [[손상용]](孫相龍) || 3,64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2,114 ||<|3> '''투표율'''[br]36.94% || || '''투표 수''' || 48,806 || || '''무효표 수''' || 1,029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4선거구'''}}}}}}[br]{{{#ffffff 화명1동, 화명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김종원(金鍾原) || 7,807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1.01% || 낙선 || ||<|2> {{{#FFFFFF {{{+5 '''2'''}}}}}} || '''[[허태준]](許台俊)''' || '''17,36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8.98%'''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0,032 ||<|3> '''투표율'''[br]51.01% || || '''투표 수''' || 25,524 || || '''무효표 수''' || 354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4선거구'''}}}}}}[br]{{{#ffffff 덕천2동, 화명1동, 화명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허태준]](許台俊)''' || '''16,97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5.01%''' || '''당선''' || ||<|2> {{{#000 {{{+5 '''7'''}}}}}} || 권태수(權泰洙) || 13,875 || 2위 || || [include(틀:국민참여당)] || 44.9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8,606 ||<|3> '''투표율'''[br]53.90% || || '''투표 수''' || 31,594 || || '''무효표 수''' || 749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4선거구'''}}}}}}[br]{{{#ffffff 덕천2동, 화명1동, 화명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상민(1963)|이상민]](李相旼)''' || '''21,19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1.14%''' || '''당선''' || ||<|2> {{{#FFFFFF {{{+5 '''2'''}}}}}} || [[이순영(1958)|이순영]](李順榮) || 15,097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6.43% || 낙선 || ||<|2> {{{#FFFFFF {{{+5 '''3'''}}}}}} || 이선자(李善子) || 1,702 || 4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4.10% || 낙선 || ||<|2> {{{#FFFFFF {{{+5 '''4'''}}}}}} || [[정규룡]](丁奎龍) || 3,44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3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1,130 ||<|3> '''투표율'''[br]59.63% || || '''투표 수''' || 42,419 || || '''무효표 수''' || 984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4선거구'''}}}}}}[br]{{{#ffffff 화명1동, 화명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순영(1958)|이순영]](李順榮)''' || '''22,398'''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88%''' || '''당선''' || ||<|2> {{{#FFFFFF {{{+5 '''2'''}}}}}} || [[이상민(1963)|이상민]](李相旼) || 16,296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2.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0,418 ||<|3> '''투표율'''[br]65.45% || || '''투표 수''' || 39,547 || || '''무효표 수''' || 853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북구 제4선거구'''}}}}}}[br]{{{#ffffff 화명1동, 화명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순영(1958)|이순영]](李順榮) || 13,329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2.60% || 낙선 || ||<|2> {{{#FFFFFF {{{+5 '''2'''}}}}}} || '''[[박종율]](朴鍾律)''' || '''17,95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7.39%'''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8,132 ||<|3> '''투표율'''[br]54.81% || || '''투표 수''' || 31,864 || || '''무효표 수''' || 580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순영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종현 후보와 민선4기 당시 이 지역에서 구의원을 지낸 박종율 후보가 경선을 치러 박종율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박종율 후보의 15%p차 살짝 안되는 득표율로 12년 만에 선출직 복귀에 성공하였다. 화명1동에서 58.7% : 41.3%, 화명3동에서 56.7% : 43.3%로 이순영 후보의 득표율이 두 곳에서 모두 40%를 넘었다. 그리고 관외사전투표에서 52.7% : 47.3%로 불과 5.4%p차 초접전이였다. 그러면서 이순영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부산시의원 선거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린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되었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북구(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