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핵 전력과 대한민국의 대응)] [[파일:kn-15.jpg]] (2017년 4월 15일, 김일성 생일 105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모습)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7021425416272616.jpg|width=1000]] [[파일:external/gdb.voanews.com/4A246443-3020-45E5-B1A4-97FE196AE64C_cx0_cy10_cw0_w1023_r1_s.jpg]] (2017년 2월 12일, 북한의 시험발사 모습) [목차] == 제원 == ||||<:> || ||||<:> || ||||<:> '''[[북한|{{{#FFFFFF 북한}}}]]{{{#FFFFFF 의 미사일 전력}}}''' || ||||<:> {{{#FFFFFF '''북극성-2 (KN-15)'''}}} || ||||<:> || ||||<:> || || '''길이''' || 약 9 m || || '''탄두''' || 미정 || || '''사거리''' || 2,500km || || '''추진''' || 2단 고체연료 || || '''발사 플랫폼''' || 궤도형 TEL || || '''생산''' || [[북한]] || == 개요 == 2017년 2월 12일 [[북한]]이 최초로 시험발사한 고체연료형 2단식 [[MRBM]]으로 고체연료 [[KN-11]](북극성) [[SLBM]]의 지상발사형이다. 한미정보당국이 붙인 코드명은 '''KN-15'''.[[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047527|기사]] 이어 4월 열병식에서 공개되었으며, 2차 시험 발사에도 성공하였다. == 상세 == 2017년 2월 12일 [[평안북도]] 방현 인근에서 시험발사로 그 정체가 알려진 [[탄도미사일]]. 위에 설명했듯이 [[SLBM]]인 북극성을 개량한 것이다. 북한이 공개한 발사 영상을 보면 기존의 차륜형 [[TEL]] 대신 [[북한]]이 자체개발한 것으로 보이는 궤도형 [[TEL]]에, 북극성 SLBM에 적용되었던 콜드런치식 발사관을 그대로 탑재한 것이 보인다. 발사 결과, 고각 발사를 통해 500km를 비행하며 1단/2단 단분리에 성공했고 동해바다에 착탄했다. 예전에 [[화성-10]](무수단 미사일)형을 발사할 때 사용하던 [[동해|동해안]] 연안 [[함경북도]] 무수단리와는 달리 [[북한]] 영토를 가로질러 동해쪽으로 발사했다. 이럴 경우 잘못하면 미사일이 바다가 아니라 북한 영토내에 떨어져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것을 감수하고 북한 영토를 가로질러 발사한 것을 보면 북한은 이 미사일이 어느정도 신뢰성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듯 하다. [[국정원]]에 의하면 거의 직각에 가까운 89도의 고각발사를 했다고 하며, 정상각도 발사시의 사정거리는 2,000km 이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고각발사에 발사장소를 옮긴 이유는 이유는 [[한국|주변]][[일본|국]]에 [[어그로]]를 덜 끌면서도 미사일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북한]]은 영토가 좁아서 사정거리가 500km가 넘어가는 미사일을 시험하려면 이런 식으로밖에 할 수 없다. 그런데 고각발사는 미사일의 구조에 큰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 동체가 엄청난 중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연료탱크 같은 곳에서 '''균열'''이 일어나 '''공중분해'''되기 쉽다.]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화성-10형의 경우 여러차례 실패를 했는데,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북극성]] 시리즈는 이런 면에서 비교적 성공적인 듯. 그리고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21일, 이번에는 [[평안남도]] [[북창]]에서 기습적으로 한 발을 다시 발사하였다. 심지어 발사 당시 북극성-2형에 설치된 촬영기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지구사진이 공개까지 했다. 사진은 중국 [[랴오닝 성]]이 담긴 사진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6&aid=0010495058|기사]]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PYH2017052206560001300_P2_20170522083805747.jpg|width=400]] 2차에 걸친 실험이 성공적으로 끝났기 때문에 [[김정은]]은 양산과 실전배치를 명령했다고 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22/2017052200394.html|#]] == 성능 == 야지기동력이 뛰어난 궤도형 [[TEL]]에 즉시발사가 가능한 고체연료식 추진체를 사용하여 한미연합군의 감시-정찰을 피해 기습 공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우려가 높다. 1년 전의 [[북극성]] [[SLBM]]에 이어, [[북한]]이 차례로 고체연료 기반 [[탄도미사일]][* 고체연료를 사용한다면 발사 시간을 대폭 감소함으로서 대응이 어려워지게 된다.]을 선보이면서 한미 국방당국도 바짝 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http://v.media.daum.net/v/20170214075509185|기사]] [* 처음에는 노동이라고 했지만, 얼마 후 무수단([[화성-10]]형) 계열일 가능성을 인정했고, 결국 북한 보도를 통해 그 존재가 드러났다.] == [[북극성-3]] == [[SLBM]]이었던 [[KN-11]]의 이름인 '''북극성'''을 이어 받은 것으로 보아 북한은 기존의 탄도미사일에는 '''화성''', SLBM 기반 탄도미사일에는 '''북극성'''이라는 이원화된 명칭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 제작 관련 사진에서 '''북극성-3'''이라는 명칭으로 추정되는 미사일 사진도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https://mn.kbs.co.kr/news/view.do?ncd=3519074|#]] 아마도 고체연료 기반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 아닐까 추정된다. 그러나 신형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이었음이 발사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해당 항목 참조. == 모형화 == [[파일:hobbybossbukuksung.jpg]] 중국의 모형 메이커 [[트럼페터(모형 메이커)|트럼페터]]에서 자회사 하비보스 명의로 1:35 플라모델을 2020년에 발매했다. [[분류:조선인민군]][[분류:탄도 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