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참다랑어속]][[분류:생선]][[분류:횟감]] ||<-2> '''{{{#fff {{{+1 북방참다랑어}}}(태평양참다랑어)[br]Pacific bluefin tun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cific-bluefin-tuna-rw04-021.jpg|width=100%]]}}} || ||<#F93> {{{#000 '''학명'''}}} || ''' ''Thunnus orientalis'' '''[br](Temminck & Schlegel, 184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고등어목(Scomb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등어과(Scomb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다랑어속(''Thunn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북방참다랑어(''T. orientalis'')'''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등어과 다랑어속에 속하는 어류. [[참다랑어]]라고 불리는 세 종 중 하나다. 세 종의 참다랑어 중 횟감으로 최고로 치는 종이며 대한민국에서 양식하는 참다랑어의 종이 이 녀석이다. == 특징 == 동아시아 해안부터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에서 서식하며 몸길이는 3m, 체중은 450kg까지 자라는 대형 어류다. 보통 수심 0~200m의 표층에서 서식하지만 수심 550m에서 발견된 기록도 있다. 덩치가 크고 속도가 빨라서 웬만한 물고기들은 사냥할 수 있으며 바다 내의 천적은 바다표범이나 대형 상어, 범고래, 돌고래 정도밖에 없다. 산란기는 4월에서 8월 사이며 수명은 15~26년 정도로 추정된다. 어류 중에서는 드물게 항온성이며 이는 참다랑어에 해당하는 나머지 두 종도 해당한다. 2012년에는 북방참다랑어 포획률이 1960년도에 비해 약 '''80%'''나 감소하였으며, 이대로 가다가는 가까운 미래에 [[멸종]]할 가능성이 커진 적도 있었다. 결국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VU)으로 분류되었는데, 다행히 이후 준위협으로 내려가긴 했지만. 또한 몬터레이 베이 수족관의 Seafood Watch라는 어업 및 양식업의 해양 및 담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에서 참다랑어를 'Avoid' 리스트로 분류하였다. [[https://www.seafoodwatch.org/seafood-recommendations/groups/tuna?type=pacific-bluefin&q=Tuna,%20Pacific%20Bluefin&t=Tuna,%20Pacific%20Bluefin|Monterey Bay Aquarium Seafood Watch]] == 요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참다랑어)]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참다랑어, version=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