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해시의 읍면동)] ||<-2> '''[[파일:김해시 CI.svg|height=15]] [[김해시|{{{#000000,#dddddd 김해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북부동}}}'''[br]北部洞 | Bukb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김해시 북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김해시]] || || '''행정표준코드''' || 5350059 || || '''관할 법정동''' || 대성동, 구산동, 삼계동 || || '''하위 행정구역''' || 82통 461반 || || '''면적''' || 13.92㎢ || || '''인구''' || 82,163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902.5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김해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민홍철]] ,,(3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학범]] ,,(3선),, || ||<-2> '''김해시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동관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은희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송유인(정치인)|송유인]]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해반천로 160[* 삼계동 1469-7] || || [[https://www.gimhae.go.kr/00954/01200/02442.web|북부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북부동은 법정동인 '''[[구산동(김해)|구산동]], [[대성동(김해)|대성동]], [[삼계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 역사 == === 역사문화재 및 관광 === || [[파일:문화재청 CI_상하.svg|width=50]] ||<-2> {{{#fff '''북부동 문화재'''}}} || || [[수로왕비릉|{{{#fff 김해 수로왕비릉}}}]] || 구산동 || 사적 제74호 || || [[대성동 고분군|{{{#fff 김해 대성동 고분군}}}]] || 대성동 || 사적 제451호 || || {{{#fff 김해 구산동 고분군}}} || 구산동 || 사적 제75호 || || {{{#fff 구산동 마애불}}} || 구산동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 || {{{#fff 김해 구산동 백운대 고분}}} || 대성동 || 경상남도기념물 제223호 || || [[구지봉|{{{#fff 김해 구지봉}}}]] || 구산동 || 사적 제429호 || || {{{#fff 김해 구산동 지석묘}}} || 구산동 || 경상남도기념물 제280호 || || {{{#fff 김해 여여정사 육조법보단경}}}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97호 || || {{{#fff 김해 여여정사 지장보살본원경}}}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17호 || || {{{#fff 김해 여여정사 불설예수시왕생칠경}}}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07호 || || {{{#fff 김해 향교}}} || 대성동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7호 || || {{{#fff 파사 석탑}}} || 구산동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7호 || || {{{#fff 허성재선생 철명편목판}}} || 대성동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74호 || || [[파일:문화재청 CI_상하.svg|width=50]] || {{{#fff '''국립김해박물관 소장자료'''}}} || ||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fff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 보물 제1922호 || || [[창녕 계성Ⅱ지구 1호분 금귀걸이|{{{#fff 창녕 계성Ⅱ지구 1호분 금귀걸이 }}}]] || || || [[창녕 교동 12호분 금귀걸이|{{{#fff 창녕 교동 12호분 금귀걸이 }}}]] || || == 인구추이 == ||<-102>
[[파일:김해시 엠블럼.svg|width=60]] {{{+1 '''{{{#000000 김해시}}} {{{#000000 북부동}}} {{{#000000 인구추이}}} ''' }}} || || ||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 || [[2008년]] || 74,622명 ||<-60> ||<-40> || || [[2010년]] || 77,097명 ||<-65> ||<-35> || || [[2012년]] || 77,937명 ||<-70> ||<-30> || || [[2014년]] || 85,038명 ||<-80> ||<-20> || || [[2016년]] || 85,267명 ||<-81> ||<-19> || || [[2018년]] || 82,739명 ||<-78> ||<-22> || || [[2020년]] [[1월]] || {{{#2f5599 '''82,601명'''}}} ||<-77> ||<-23> || 김해 관내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행정동이다. 전국으로 보았을때도 순위권에 든다. 2019년 1월 기준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이었다. (82,601명)''' 다만 2019년 7월 [[부천시]]의 행정동이 통합되며 [[부천시/행정#s-3.2|신중동]]이 가장 인구가 많은 행정동이 되었다. 현재는 [[부천시]]를 제외하고 가장 인구가 많은 행정동이다. 2016년을 기준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 8만명의 벽이 무너지기도 했으나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 법정동 == === [[대성동(김해)|대성동]] === === [[구산동(김해)|구산동]] === === [[삼계동]] === == 관내주요시설 == === 행정시설 === * 북부동행정복지센터 === 편의 및 복지시설 === === 학교 === ==== 초등학교 ==== * 김해구봉초등학교 * 김해신명초등학교 * 김해구산초등학교 * 김해구지초등학교 * 김해화정초등학교 * 김해분성초등학교 * 김해삼계초등학교 ==== 중학교 ==== * 김해구산중학교 * 김해서중학교 * 김해삼계중학교 * 김해분성중학교 * 김해여자중학교 ==== 고등학교 ==== * 김해여자고등학교 * 김해구산고등학교 * 김해분성고등학교 * 김해분성여자고등학교 *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 대학교 ==== * 가야대학교 김해캠퍼스 * 부산장신대학교 == 기타 == === 시내버스 === * [[김해 버스 1]] * [[김해 버스 2]] * [[김해 버스 2-1]] * [[김해 버스 3]] * [[김해 버스 4]] * [[김해 버스 5-1]] * [[김해 버스 6]] * [[김해 버스 7]] * [[김해 버스 8]] * [[김해 버스 8-1]] * [[김해 버스 9]] * [[김해 버스 14-1]] * [[김해 버스 56]] * [[김해 버스 58, 59|김해 버스 58]] * [[김해 버스 58-1]] * [[김해 버스 58, 59|김해 버스 59]] * [[김해 버스 59-1]] * [[김해 버스 60]] * [[김해 버스 61]] * [[김해 버스 72]] * [[김해 버스 82]] * [[김해 버스 100]] * [[김해 버스 140]] * [[김해 버스 상동공영1]] * [[김해 버스 상동공영2]] * [[부산 버스 123]] * [[부산 버스 127]] * [[부산 버스 1004]] === 도시철도 === * [[부산김해경전철]] [[가야대역]], [[장신대역]], [[연지공원역]] == 이야깃거리 == [[분류:김해시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