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원구의 면]] [include(틀:청원구의 읍면동)] ||<-2> '''[[청주시|{{{#000000,#dddddd 청주시}}}]] [[청원구|{{{#000000,#dddddd 청원구}}}]]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북이면}}}'''[br]北二面 | Bugi-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청주시 북이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충청북도 || || '''기초자치단체''' || 청주시 || || '''일반구''' || 청원구 || || '''행정표준코드''' || 5735012 || || '''관할 법정리''' || 26리 || || '''하위 행정구역''' || 51행정리 106반 || || '''면적''' || 47.44㎢ || || '''인구''' || 4,397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92.6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청주시 청원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변재일]] ,,(5선),, || ||<-2> '''충청북도의원 | 제11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변종오]] ,,(초선),, || ||<-2> '''청주시의원 | 카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영석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최재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신대석성로 10 (신대리 4-8) || || [[https://www.cheongju.go.kr/bugi/index.do|북이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26개리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 47.46㎢. 청원구의 유일한 면이다. 이름의 유래는 남쪽 [[남일면(청주)|남일면]](南一面), [[남이면(청주)|남이면]](南二面)과 마찬가지로 북쪽의 2번째 면(北二面)이라고 해서 붙은 번호식 지명이다. ~~한자 외우기는 편하다~~[* 현재 보는 읍면명의 대부분이 일제강점기에 확정된 것이라 이런 방위+번호식 대충대충식 작명도 직접적으로는 일제가 원흉이긴 하나, 사실 조선시대에도 '북강외일면', '북강외이면'(현 [[오창읍]] 일대)으로 짓는 식으로 별 차이는 없었다.] 북일면(北一面)도 있었지만 읍 승격과 함께 [[내수읍]]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체로 100m 이하의 저산성 산지를 이루며, 서북쪽 면계를 흐르는 보강천 연안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했다. 벼농사 이외에도 채소 재배가 활발하며, 축산업에 종사하는 비율도 꽤 많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신대리이다. 잦은 개축으로 면사무소 시설이 꽤나 좋다. 그리고 자차를 이용하여 방문할 사람은 도로가 영 이상하게 되어 있어서 입구에서 신호 및 교통량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북쪽으로 [[진천군]] 초평면, 동쪽으로 [[증평군]] 증평읍, 남쪽으로 [[내수읍]], 서쪽으로 [[오창읍]]과 접한다. == 문제점 == === 지리적 요건과 인구 이탈 === 2007년에는 6천여 명이었으나 점점 인구가 줄고 있다. 대개 [[증평군]] 증평읍이나 [[내수읍]]으로 인구가 이동하고 있다. 지도만 봐도 알겠지만 북이면은 딱히 중심지랄 데가 없다. 남쪽 면사무소 일대도 [[내수읍]]과 1.5km 정도밖에 안 떨어져있고, 북쪽 일대는 증평읍 [[중앙로(증평)|중앙로]]가 지날 정도로 증평읍 시가지가 그냥 연담화되어있다. 빨릴 수밖에 없는 지리적 요건. 근래에는 내수읍도 인구가 줄고 있어 증평읍 쪽으로의 인구 이동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 환경오염 문제 ===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 바람을 타고, 교외지역으로서의 낮은 땅값으로 인해 각종 공장이 들어섰다. 이로 인해 주민 이탈, 환경오염 등의 고질적 문제가 생기고 있으며, 어느 마을은 암 발병률이 늘어났다고도 한다. 일례로, 통합청주시 출범 전 진주산업(현 클렌코)이라는 폐기물처리장이 들어선다는 발표가 있자, 이 지역 주민들이 시위를 하기도 했다. 위 사업체의 허가를 위해 동의서를 작성해 준 [[이장(직위)|이장]]은 --몰매맞고-- 쫓겨났다고 한다(...). ||<#7FC241>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uPV6co5ACo)]}}} [* 4:02부터 부터 북이면에 대해 서술한다.] || 정부가 만든 수도권정비계획법,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대한특별법으로 서울과 수도권의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청주시]]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등지의 폐기물이 유입되고 있으며, 실제로 청주에서 소각되는 물량 중 70%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다.[* 청주시를 비롯해 [[영광군]], [[나주시]], [[포항시]], [[김천시]], [[김해시]] 등의 지자체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서울 공화국]]인 한국에서 지방의 대표적인 피해사례로 볼 수 있다. 2021년 기준 북이면에 들어선 폐기물 소각장은 3곳이다. 폐기물 소각장이 연속으로 들어서자 전국의 비해 북이면 주민들의 [[암]]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폐기물 처리법에서는 하루 소각량이 100t 이하면 민간기업이 소각장을 계속 늘려도 제한이 없다. 이에 [[청주시청]]은 최근 행정 재량권을 행사하여, 폐기물 소각장이 밀집한 북이면 지역에 더 이상 신규 소각장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다.[[https://www-fnnews-com.cdn.ampproject.org/v/s/www.fnnews.com/ampNews/202111281122561183?amp_js_v=a6&_gsa=1&usqp=mq331AQKKAFQArABIIACAw%3D%3D#aoh=16381097780975&csi=1&referrer=https%3A%2F%2Fwww.google.com&_tf=%EC%B6%9C%EC%B2%98%3A%20%251%24s&share=https%3A%2F%2Fwww.fnnews.com%2Fnews%2F202111281122561183|#]] == 교통 == [[철도]]로는 [[충북선]]과, [[도로]]로는 [[충주시|충주]]-[[청주시|청주]]를 잇는 [[36번 국도]]가 면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청주시내로 나가는 도로가 매우 잘 되어 있으며, 오창, 증평, 내수 등지로의 접근이 모두 편리하다. 근처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나들목]]으로는 [[중부고속도로]]의 [[증평IC]]와 [[오창IC]]가 있다. === 버스 === * [[청주 버스 11]] * [[청주 버스 12]] * [[청주 버스 14]] * [[청주 버스 15]] * [[청주 버스 16]] * [[청주 버스 74]] * [[청주 버스 105|청주 버스 105, 105-1]] * [[청주 버스 111]] * [[청주 버스 113]] * [[청주 버스 117]] * [[청주 버스 119]] * [[청주 버스 715|청주 버스 715, 715-1]] == 교육 == [[대학교]]는 물론 [[중학교]], [[고등학교]]도 없다. --애초에 면 단위에 대학교가 있기 어렵다-- --근데 같은 청주시인 강내면에 [[한국교원대학교]]가 있긴 하다-- 3개의 [[초등학교]]가 있으며, 석성리에 있는 석성초등학교, 대길리에 있는 대길초등학교, 내추리에 있는 북이초등학교가 있다.[* 인지도로는 북이초>>석성초>대길초 수준. --석성, 대길은 인근 주민이 아니면 잘 모른다--] 때문에 관내 학생들은 초등학교를 졸업하고는 각자의 교통상 편리함, 혹은 학업상 목적[* 학구열이 있는 부모들은 청주시내로 소위 '유학'을 보낸다.]에 따라 이웃한 내수, 증평 등지의 중학교[* 내수중학교, 증평중학교, 증평여자중학교, 형석중학교 등.]로 진학하며, 고등학교는 대다수가 청주시내로 다닌다.[* 증평으로 다니는 경우도 있다. [[증평공업고등학교]], [[증평정보고등학교]], [[형석고등학교]] 등.] == 관할 리 == 26개 법정리가 있으며, 행정리는 51개가 있다. * 신기리 * 서당리 * 대길리 * 석화리 * 영하리 * 선암리 * 호명리 * 부연리 * 토성리 * 장재리 * 금암리 * 광암리 * 송정리 * 금대리 * 옥수리 * 내추리 * 추학리 * 장양리 * 용계리 * 석성리 * 화상리 * 화하리 * 내둔리 * 대율리 * 신대리 * 현암리 마을마다 전통적인 부락명이 있다. 예를 들면, 현암1구는 마을이 크다고 해 '대동(大洞)'으로 불리며, 바로 옆의 현암2구는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해 '신촌말'이라 불린다. 그러나 바로 위의 장양3구는 아무 이유 없이 '갱이'로 불린다(...). == 출신 인물 == * [[손병희]](금암리) * [[오성균(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