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 개요 == [[파일:attachment/북청선.jpg]] [[신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이르는 철도 노선. 길이 51.7km. 평균 역간 거리는 4.7km. 신북청역에서 [[북청역]]까지의 9.4km 구간은 1929년 부설되었다. 그러다 일제 말기인 1944년 [[북청군]] 내륙의 북청광산[* 광복 당시 행정구역산 이곡면 상리에 있었다.]에서 나오는 [[철광석]]의 수송을 위해 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가는 연장선을 착공했다가 광복을 맞았으며, 연장 구간은 북한에 의하여 1960년 10월 6일에 완공, 개통히였다. 단선이며 비전철화되었다. 하긴 현재의 [[북한의 철도 환경]]으로서는 전철화되어 봤자 쓰지도 못하는 게 현실이지만, 그래도 기대가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차이는 심하게 큰 법. 선로 상태도 심각하게 나빠서 [[덕성역]]을 지나가면 거의 노면전차 수준이다. 그야말로 변변치 못한 노선. 화물 전용 노선이라서 그런 건지도 모른다. === 노선의 명칭 === 이 노선을 부르는 명칭도 자료마다 다르다. 세 가지로 불리는데, 북청선, 덕성선, 북청철산지선이 그것. 일부 자료에서 덕성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북한이 1980년 [[덕성군]]에서 나오는 광물 자원을 수송하기 위해 연장하면서 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이며, 북청철산지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종점인 [[상리역]]이 철산로동자구 소속이며 덕성군은 원래 북청군에서 떨어져 나온 군이기 때문이다. 엔하위키에서는 1929년 부설 당시의 명칭인 북청선을 따라갔으며 이것이 나무위키에도 이어졌다.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북청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신북청역|신북청]] || 新北靑 || 기점 || 0.0 || 51.7 || [[평라선]] || ||<|4><:><#e0ffe0> 함남 북청군 || || [[량가역|량 가]] || 良 家 || 4.4 || 4.4 || 47.3 || || || || [[북청역|북 청]] || 北 靑 || 5.0 || 9.4 || 42.3 || || || || [[라하대역|라하대]] || 羅下坮 || 5.0 || 14.4 || 37.3 || || || || [[덕성역|덕 성]] || 德 城 || 4.6 || 19.0 || 32.7 || || ||<|8><:> 함남 덕성군 || || [[주의동역|주의동]] || 主義洞 || 3.7 || 22.7 || 29.0 || || || || [[양승역|양 승]] || 陽 勝 || 3.1 || 25.8 || 25.9 || || || || [[도평역|도 평]] || 島 坪 || 4.4 || 30.2 || 21.5 || || || || [[삼기역|삼 기]] || 三 岐 || 5.1 || 35.3 || 16.4 || || || || [[송중역|송 중]] || 松 中 || 7.9 || 43.2 || 8.5 || || || || [[상일역|상 일]] || 上 一 || 4.5 || 47.7 || 4.0 || || || || [[상리역|상 리]] || 上 里 || 4.0 || 51.7 || 0.0 || ||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북한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