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덕양구의 법정동]] [include(틀:덕양구의 법정동)] ||<-2> '''[[고양시|{{{#000000,#dddddd 고양시}}}]] [[덕양구|{{{#000000,#dddddd 덕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북한동}}}'''[br]北漢洞 | Bukh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고양시]] || || '''일반구''' || [[덕양구]] || || '''행정표준코드''' || 4128110700 || || '''관할 행정동''' || [[효자동(고양)|효자동]] || || '''면적''' || 6.72㎢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법정동]]. 행정동인 [[효자동(고양)|효자동]]에서 관할한다. == 지명 유래 == 경성부 은평면 북한리 → 고양군 신도면 북한리 → 고양군 신도읍 북한리 → 고양시 북한동 →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지명은 이름 그대로 [[북한산]](北漢山)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한산성]]은 성 밖이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소속이나, 성 안은 북한동 소속이다. 또한 북한동은 북한산 밑 기슭에 위치한다.] [[북한]](北韓)과는 전혀 관련없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고양군 신혈면과 하도면, 경성부 은평면 일부가 신도면으로 통합될 때 신도면 북한리가 되었다. 1973년 신도면이 신도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92년]] [[고양시|고양군]]이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로 승격되면서 북한동으로 개칭되었다. == 역사 == 삼국 시대부터 주민이 거주했다고 하며, [[북한산성]] 축조 당시 인부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장소 및 군량과 무기를 보관하는 창고가 생기면서 사람이 많이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때는 500가구 2천여 명의 주민이 있었으나, 6.25 전쟁을 겪으면서 인구가 줄어들었다. 남은 주민들은 북한산 등산객들을 상대로 한 식당과 상가 영업을 하기 시작했으나 북한동을 포함한 북한산 일대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고, 정화 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워 식당들이 오폐수를 그대로 방류하는 등 환경 훼손 논란과 민원이 많았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2001년부터 북한동 주민들의 이주 사업을 추진하였고, 2010년 북한산 입구 진관동 등지로의 이주가 완료되어 현재는 사찰과 암자, 역사관 등만 남아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348409|출처]] == 주요 문화재 == * '''[[북한산]]''', '''[[북한산성]]'''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서문길 375 (북한동 산1-1)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