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대외관계)] [include(틀:몽골의 대외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10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100%]] || || [[북한|{{{#ffffff '''북한'''}}}]] || [[몽골|{{{#ffd900 '''몽골'''}}}]] || [목차] == 개요 == [[북한]]과 [[몽골]]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북한의 2번째 수교국일 정도로 공산정권 시절에는 상당히 친밀했었다.[* 1948년 10월 15일 수교. 소련과의 수교 이후 단 3일 만에 수교하였다.] 이후 1980년대까지만 해도 꽤나 교류가 있던 상황이었고 북한 영화가 꽤나 인기를 끌기도 했지만 1990년대 이후 몽골이 체제를 전환하여 [[대한민국]]과 수교하고 북한의 경제가 몰락하면서 현재는 데면데면한 관계로 남아 있다. === 20세기 === 1995년 북한과 몽골은 농산물 수입검역협정에 체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997622?sid=100|#]] 1996년 북한 외교부와 몽골 외무부는 평양에서 외교부문 협조합의서를 채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095833?sid=100|#]] 1999년 7월 김대중 한국 대통령이 몽골을 방문하자 북한은 이에 불만을 삼고 김대중정부를 비난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415864?sid=100|#]] 1999년 11월 몽골 총리는 북한을 방문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54039?sid=100|#]] === 21세기 === 2000년 몽골 학생이 남북한을 유학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016436?sid=104|#]] 2012년 9월 몽골 대통령은 북한의 경제개혁을 돕겠다고 밝혔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907001161|#]] 2013년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당시 몽골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했으나 '''[[김정은]]이 만나주지 않아 [[정상회담]]을 하지 못했다.''' 이는 상당한 외교적 결례다. 방문 당시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연설을 했는데 '''"[[팩트폭력|어떠한 폭정과 독재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습니다. 자유롭게 사는 것은 인간의 욕망이며, 이는 영원한 힘입니다.]]"'''라는 등 평양 한복판에서 대놓고 독재를 비판하고 올바른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연설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 엘벡도르지 전 대통령은 몽골의 민주화를 주도한 민주운동가 출신이다.] 2013년 4월 북한은 이란, 몽골에 원유와 식량을 요청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1304251700424346?t=y|#]] 2022년 6월 북한은 몽골과 외교관계를 복원하기로 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623_0001918500&cID=10301&pID=10300|#]] == 상호 교류 == 코로나 팬데믹 이전까지 북한은 몽골에 매년 꾸준히 자국의 노동자들을 보냈다. 2016년 기준 1,000여명 정도의 북한 노동자가 몽골에 있으며,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867386&plink=ORI&cooper=NAVER|대다수는 광산에서 일하고 있다.]] 몽골은 2018년 몽골 내의 북한 노동자들의 계약이 6월에 끝난다고 밝혔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09840812|북한 노동자들의 철수 작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 교통 교류 == 현재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은 없다. 애초에 베이징, 선양, 블라디보스토크를 제외하면 평양발 국제선이 전무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모든 국제선이 잠정 중단된 상태이다. == 대사관 == 북한은 [[울란바토르]]에, 몽골은 [[평양시|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 관련 문서 == * [[북한/외교]] * [[몽골/외교]] * [[북한/역사]] * [[몽골/역사]] * [[북한/경제]] * [[몽골/경제]] * [[북한/문화]] * [[몽골/문화]]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몽관계, version=423, paragraph=8)] [[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북한의 대국관계]][[분류:몽골의 대국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