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 ||||||||||<:> [[파일:fNcbNTR.jpg|width=480]]|| ||||||||||<:>'''[[분비나무|{{{#black 분비나무}}}]]'''|| ||||||||||<:><#BDFF12>''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 청분비나무[br]East Siberian Fir[br]Hinggan || ||<|9><:><#D7FFCE> 분류|| || [[계]] ||||||'''식물계'''|| || [[문]] ||||||구과식물문(Pinophyta)|| || [[강]] ||||||구과식물강(Pinopsida)|| || [[목]] ||||||구과목(Pinales)|| || [[과]] ||||||소나무과(Pinaceae)|| || [[속]] ||||||전나무속(Abies)|| || [[종]] ||||||'''분비나무'''|| == 개요 == [[구상나무]]와 비슷하게 생긴 상록 [[침엽수]]이다. [[상록수]]이기 때문에 겨울에 많이 돋보이는 나무이다. 추울수록 푸르게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만 나는 토종 나무이며[* 덕유산,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의 아고산지대에 서식한다.] 구상나무와 잎이랑 수피를 비교해 보지 않으면 헷갈리기 쉬운 나무이다. 구상나무와는 다르게 잎 뒷면이 백색이며[* 흰색 페인트를 흩뿌려 놓은 것처럼 정말로 흰색이 눈에 띈다!], 수피는 갈라지지 않은 황갈색이다. 성숙한 구과는 난상 원통형이다. 주로 북부지방에서 자라며 남쪽 지방에서는 지리산과 덕유산같이 높은 산에서만 자라지만, 나무가 예쁘기 때문에 조경수나 가로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