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불릿 클럽)] [목차] == 개요 == ||
[youtube(4yW5KswJ0kc)] || || {{{#ffffff 불릿 클럽의 역사를 13분 만에 간추려 보여주는 영상}}}[* 프린스 데빗의 턴 힐부터 [[G1 스페셜 in 샌프란시스코]]에서 벌어졌던 불릿 클럽 OG의 결성까지 담은 영상이다.] || [[신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스테이블인 [[불릿 클럽]]의 역사를 기록한 문서다. == 불릿 클럽의 결성 - [[프린스 데빗]] 집권 시절 == ||<-2>
[youtube(UFb8Dxypi00)] || || {{{#ffffff History of BULLET CLUB - Part 1: Shoot Style}}} || ||
[[파일:/pds/201306/09/48/d0038448_51b3ea9f73bfb.jpg|width=100%]] || || {{{#ffffff 창립멤버 타마 통가, [[칼 앤더슨|{{{#ffffff 칼 앤더슨}}}]], [[핀 밸러|{{{#ffffff 프린스 데빗}}}]], 배드 럭 파레}}} || > '''We are Bullet Club.''' 2013년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으로 군림하던 프린스 데빗은 헤비급에도 도전장을 날려 당시 IWGP 헤비급 챔피언이던 [[타나하시 히로시]]와의 싱글 매치에서 패배하자 턴힐의 조짐을 보였다. 트위터를 통해 전현직 신일본 프로레슬링 선수들을 도발했고, 당시 신일본의 악역군단 스즈키군으로 가는 것이 아닌가 예상이 되었지만 [[TAKA 미치노쿠]]의 제안을 거절하며 독자적인 활동을 계속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4월 Invasion Attack에서 파트너인 [[타구치 류스케]]와 함께 타임 스플리터스([[KUSHIDA]]&[[알렉스 셸리]])의 IWGP 주니어 태그팀 타이틀에 도전하게 되었고, 타구치가 패하자 폭발하여 타구치를 직접 공격하며 본격적으로 턴힐했다. 이때 영 라이온 출신으로 해외 수행 중이던 킹 파레를 영입했다. 이후 5월의 PPV 레슬링 돈타쿠에서 [[칼 앤더슨]]과 [[타나하시 히로시]]의 경기가 끝나고 난입해 타나하시 히로시를 공격했고, 칼 앤더슨과 그의 부하 역인 타마 통가를 포섭해 본격적으로 불릿 클럽의 시작을 알렸다. ||
[[파일:Best of the Super Junior에서 우승한 프린스 데빗.jpg|width=100%]] || || {{{#ffffff 'Best of the Super Jr'에서 우승한 [[핀 밸러|{{{#ffffff 프린스 데빗}}}]]}}} || 2013년 6월 'Best of the Super Juniors 토너먼트'에 참가한 [[핀 밸러|프린스 데빗]]은 불릿 클럽의 도움을 통해 '''8전 전승'''으로 예선을 통과했고, 준결승전에서 [[케니 오메가]]를, 결승전에서 알렉스 셸리를 꺾고''' 'Best of the Super Juniors 토너먼트' 우승을 했다.''' 우승 직후 그 자리에서 신일본 정규군의 레슬러들과 난투극을 벌이며 [[타나하시 히로시]]에게 도전을 선언했고, 이후 6월의 PPV Dominion에서 [[타나하시 히로시]]를 꺾었다. 그리고 [[핀 밸러|프린스 데빗]]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도전하기도 했다. ||
[[파일:타마 통가 CMLL.jpg|width=100%]] || || {{{#ffffff CMLL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된 레이 부카네로와 타마 통가}}} || 8월 1일부터 11일까지 진행했던 '2013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에서 [[핀 밸러|프린스 데빗]]과 [[칼 앤더슨]]이 참가했다. [[핀 밸러|프린스 데빗]]이 [[오카다 카즈치카]], [[타나하시 히로시]], 코지마 사토시, [[마카베 토우기]]를 꺾었지만 결승 진출은 실패했다. ~~물론 칼 앤더슨도 마찬가지다.~~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 이후 'CMLL' 단체 소속 레슬러인 '레이 부카네로'가 불릿 클럽 멤버로 들어갔다. 그리고 9월 14일 레이 부카네로와 타마 통가가 [[타나하시 히로시]]와 [[수신 라이거]]를 꺾고 'CMLL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10월 11일에 타마 통가와 레이 부카네로는 불릿 클럽 내 서브 그룹인 '불릿 클럽 라티노 아메리카'를 구축했다. 10월 25일에는 최고의 태그팀이라고 불리는 [[영 벅스]]가 '2013 슈퍼 주니어 태그팀 토너먼트'를 기점으로 가입했다. 11월에 [[영 벅스]]의 데뷔전은 성공적이었고, ''' '2013 슈퍼 주니어 태그팀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포에버 훌리건스'를 꺾고 우승했다. 이후 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십까지 획득하면서 기세를 이어가기 시작했다.''' ||
[[파일:월드 태그 리그 우승한 대머리 둘.jpg|width=100%]] || || {{{#ffffff '2013 월드 태그 리그' 에 우승한 [[칼 앤더슨|{{{#ffffff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ffffff 독 갤로우스}}}]]}}} || 11월 11일 '2013 월드 태그 리그'에 참가했다. [[핀 밸러|프린스 데빗]]과 타마 통가 팀은 블록 A, [[칼 앤더슨]]과 불릿 클럽의 새로운 멤버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팀은 블록 B에서 예선전을 치렀다.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팀은 4승 2패라는 성적을 기록했지만, [[핀 밸러|프린스 데빗]] & 타마 통가는 3승 3패 기록으로 탈락했다.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팀은 '2013 월드 태그 리그' 우승을 기록하고, IWGP 태그팀 챔피언십까지 차지했다. ||
[[파일:프린스 데빗 마지막 경기.jpg|width=100%]] || || {{{#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 마지막 경기를 치르기 전 타구치 류스케와 악수하는 [[핀 밸러|{{{#ffffff 프린스 데빗}}}]]}}} || 2014 1월 [[레슬킹덤 8]]에서 1년간 방어하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이부시 코타]]에게 뺏겼고, 후에 본격적으로 [[WWE]]의 오퍼가 들어와서 프린스 데빗은 신일본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Apollo 55로 같이 활약하던 [[타구치 류스케]]가 부상에서 복귀하여 데빗에게 복수 선언을 하며 다시 타구치와의 대립해 4월 Invasion Attack에서 타구치와의 싱글매치에서 패자는 단체를 떠난다는 조건으로 경기를 했고, 세컨드로 나온 영 벅스의 배신으로 불릿 클럽에서 축출당했으며 시합에 패배해 신일본을 나오게 되었다. == 강력한 용병집단이 신일본을 점령하다 - [[AJ 스타일스]] 집권 시절 == ||
[youtube(x9Kv4EaP4zg)] || || {{{#ffffff History of BULLET CLUB Part 2: Phenomenal}}} || ||
[[파일:aj styles 등장.jpg|width=100%]] || || {{{#ffffff [[오카다 카즈치카|{{{#ffffff 오카다 카즈치카}}}]]를 공격하고 챔피언십을 도전하는 [[AJ 스타일스|{{{#ffffff AJ 스타일스}}}]]}}} || [[핀 밸러|프린스 데빗]]이 축출된 당일의 제 6시합인 [[오카다 카즈치카]]&YOSHI-HASHI 팀과 불릿 클럽과의 태그팀 경기 이후 [[AJ 스타일스]]가 난입하여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스타일즈 클래쉬를 먹이며 공격, 불릿 클럽 가입과 함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 의사를 밝혔다. 동시에 [[AJ 스타일스]]는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여러 미국 인디 프로레슬링 단체에 왔다갔다 하면서 출전하기로 했다. ||
[[파일:해냈다 해냈어 에제가 해냈어.jpg|width=100%]] || || '''{{{#ffffff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fffff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등극한 [[AJ 스타일스|{{{#ffffff AJ 스타일스}}}]]를 축하해주는 불릿 클럽 멤버들}}}''' || 5월 3일 '레슬링 돈타쿠 2014' 메인 이벤트에서 IWGP 헤비급 챔피언 [[오카다 카즈치카]]와 격돌했다. 경기 후반부에 원래 오카다의 스테이블 CHAOS의 멤버였지만, 자기 위치에 불만을 가지던 [[타카하시 유지로]]가 난입해 [[오카다 카즈치카]]를 공격하며 불릿 클럽에 가입[* 불릿 클럽 멤버 중 최초의 일본인 선수이다.]한 덕에 '''신일본에서 첫 데뷔전을 치룬 [[AJ 스타일스]]가 새로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등극하는, 데뷔하자마자 메인전선에 뛰어드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그와 동시에 칼 앤더슨이 불릿 클럽 1주년을 자축했다. ||
[[파일:Yujirowin.jpg|width=100%]] || || {{{#ffffff 불릿 클럽에 들어와 타이틀을 획득한 타카하시 유지로[* 타카하시 옆에 있는 미녀는 타카하시와 함께 나오는 미녀 댄서 MAO.]와 배드 럭 파레}}} || 6월 21일 'Dominion 6.21'에서 [[영 벅스]]는 IWGP 주니어 해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빼앗겼지만, [[배드 럭 파레]]는 [[나카무라 신스케]]를 꺾고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이 되었다. 그리고 8일 뒤 타카하시 유지로는 같은 팀 멤버 불릿클럽의 도움을 받고 이시이 토모히로를 꺽고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렇게 되면서 불릿 클럽 멤버들은 [[신일본 프로레슬링]] 내에 있는 모든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
[youtube(BPr83t5IB7Q, width=720, height=480)] || || {{{#ffffff [[타나하시 히로시|{{{#ffffff 타나하시 히로시}}}]]에게 기타샷을 날리는 [[제프 제럿|{{{#ffffff 제프 제럿}}}]]}}} || 7월 21일부터 8월 8일까지 진행하는 '2014 G1 클라이막스'에 참가한 불릿 클럽 멤버 중 배드 럭 파레, [[루크 갤로우스|덕 갤로우스]]는 블록 A조, [[칼 앤더슨]], [[AJ 스타일스]], 타카하시 유지로는 블록 B에 배치되었다. [[칼 앤더슨]]과 배드 럭 파레는 각 블록에서 3등, 타카하시 유지로는 6등,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는 9등을 기록했다. [[AJ 스타일스]]는 2등을 기록했지만, [[오카다 카즈치카]]와 헤드 투 헤드 매치에서 패배해서 탈락했다. '2014 G1 클라이막스'가 끝난 후 [[AJ 스타일스]]는 [[타나하시 히로시]]와의 논타이틀 매치를 치르게 된다. 이때 GFW 설립자이자 프로레슬링의 전설인 '''제프 제럿이 [[타나하시 히로시]]에게 기타샷을 날렸다!''' 이 경기를 기점으로 제프 제럿이 불릿 클럽에 가입했다. ||
[[파일:양덕후의 등장.jpg|width=100%]] || || {{{#ffffff 타구치 류스케의 챔피언벨트를 노리는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11월 8일 케니 오메가가 [[신일본 프로레슬링]] 이적과 동시에 불릿 클럽에 가입했다. 그리고 타구치 류스케가 가지고 있는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가지기 위해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진행한 '2014 월드 태그 리그'에 참여했다.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AJ 스타일스]] & 타카하시 유지로'가 블록 A에 배치됐다. '배드 럭 파레 & 타마 통가'가 블록 B에 배치됐다.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팀은 5승 2패로 블록 A 1위를 기록했지만, '[[AJ 스타일스]] & 타카하시 유지로'는 4승 3패로 무대를 마쳤다. '배드 럭 팔래 & 타마 통가'는 3승 4패로 블록 B조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굴욕을 맞봐야 했다. 12월 7일,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팀은 2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했지만, '[[고토 히로오키]]와 [[시바타 카츠요리]]'팀에 패배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
[[파일:코디 홀 가입.jpg|width=100%]] || || {{{#ffffff 불릿 클럽에 가입한 코디 홀}}} || 2015년 첫 해 PPV [[레슬킹덤 9]]에서 [[케니 오메가]]가 [[신일본 프로레슬링]] 데뷔무대를 치렀다. 결과는 '''케니 오메가가 새로운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되었다.''' 한편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는 IWGP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 패배해서 타이틀을 잃었다. 그리고 이 날 [[스캇 홀]]의 아들인 코디 홀이 불릿 클럽에 가입했다. 코디 홀은 [[칼 앤더슨]]과 같이 'young boy'라는 불릿 클럽 내 작은 스테이블을 구성했다. 이후 CMLL 투어에 가서 '멜피스토'도 불릿 클럽에 들어오게 하는 등 일본 뿐만 아메리카 대륙에도 세력을 넓히기 시작한다. ~~그와중에 [[케니 오메가]], 앤더슨과 갤로우스는 다시 타이틀을 잃었다.~~ ||
[youtube(uhz_Kyhshp0, width=720, height=480)] || || {{{#ffffff [[마리아(프로레슬러)|{{{#ffffff 마리아}}}]]의 섹시 댄스에 정신을 잃은 [[칼 앤더슨|{{{#ffffff 칼 앤더슨}}}]][* 중계 아나운서의 절규가 인상적이다. '''"당신에겐 3명의 아이들과 부인이 있어요!"''']과 [[AJ 스타일스|{{{#ffffff AJ 스타일스}}}]]. [br]이를 보다 못한 [[루크 갤로우스|{{{#ffffff 독 갤로우스}}}]]는 요망한 마리아의 죽빵을 날리려다 제지를 당하고.. }}} || 2015년 2월 11일 '뉴 비기닝 인 오사카'에서 [[영 벅스]]와 [[칼 앤더슨]] &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는 각각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과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을 다시 되찾았다. 하지만 [[영 벅스]]는 태그팀 챔피언벨트를 뺏겼다가 다시 되찾는 등 여러 굴곡이 있었다. 5월 3일 '레슬링 돈타쿠 2015'에서 불릿 클럽은 [[칼 앤더슨]],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그리고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의 아내인 엠버 갤로우스와 태그팀을 맺어 경기를 치렀지만, ~~[[마리아(프로레슬러)|마리아]]의 섹시 댄스 유혹에 넘어가~~ 패배했다. ~~아내가 TV로 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놓고 마리아의 섹시댄스에 정신줄 놓은 [[칼 앤더슨]]의 상태가 심히 걱정된다.~~ ||
[[파일:불릿 클럽 전성기.jpg|width=100%]] || || {{{#ffffff 불릿 클럽의 최전성기 모습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2015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에 출전한 불릿 클럽 멤버는 총 5명이다. 블록 A에 배드 럭 파레,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AJ 스타일스]]가 배치됐다. 블록 B에는 [[칼 앤더슨]]과 타카하시 유지로가 속해 있다. [[AJ 스타일스]]와 [[칼 앤더슨]]이 결승에 진출할 마지막 기회를 가졌지만, [[타나하시 히로시]]와 코지마 사토시에 패배해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8월 16일 [[영 벅스]]는 ~~또?~~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잃었다. 그리고 불릿 클럽을 대표해 'CHIKARA 2015 킹 오브 트리오스 토너먼트'에 출전해 결승전까지 갔지만, 팀 AAA에 패배했다. 9월 23일 [[케니 오메가]]는 [[칼 앤더슨]]의 ~~어그로로~~ 도움을 얻어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그리고 10월 23일부로 [[체이스 오웬스]]가 불릿 클럽 멤버가 되었다. == 신생 불릿 클럽, 부활의 신호탄 - [[케니 오메가]] 집권 == ||
[youtube(MmOH2Asi8QE)] || || {{{#ffffff History of BULLET CLUB Part 3: The Golden Elite}}} || === 2016년 === ||
[youtube(Ak9Vg-JvLJc, width=720, height=480)] || || {{{#ffffff [[AJ 스타일스|{{{#ffffff AJ 스타일스}}}]]를 공격하고 불릿 클럽의 새로운 리더가 된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2016년 첫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인 [[레슬킹덤 10]]에서불릿 클럽 멤버들은 다섯 개의 타이틀 매치를 소화한다. [[영 벅스]]는 IWGP 주니어 해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를 차지하면서 기분 좋은 승리를 알렸다. 하지만 타카하시 유지로, 배드 럭 파레, 타마 통가, 케니 오메가, [[칼 앤더슨]]과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 [[AJ 스타일스]]는 타이틀 방어와 탈환을 실패했다. [[레슬킹덤 10]] 이후 [[AJ 스타일스]]가 [[WWE]]로 이적한다는 소식이 나타나게 된다. [[신일본 프로레슬링]] 무대에서 '''케니 오메가가 [[AJ 스타일스]]를 공격하면서 새로운 불릿 클럽의 리더가 된다.''' ||
[[파일:the-elite.jpg|width=100%]] || || {{{#ffffff '디 앨리트' 멤버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와 [[영 벅스|{{{#ffffff 영 벅스}}}]]}}} || 새롭게 리더가 된 케니 오메가는 '''주니어 헤비웨이트 디비전 탈단'''을 선언했다. 그리고 [[케니 오메가]]는 쿠시다와 재경기를 치르지 않고, [[나카무라 신스케]]와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을 제안했다. [[영 벅스]]와는 '디 엘리트(The Elite)'라는 불릿 클럽 내 서브 그룹을 만들었다. 디 엘리트의 유튜브 채널인[[https://www.youtube.com/channel/UC2V6TA0OqHr9BojcHz9az-w|Being The Elite]]을 매주 운영하고 있다. 불릿 클럽을 좋아한다면 재밌는 영상들이 많이 있으니 한번쯤 보는 걸 추천한다. ||
[[파일:더 클럽의 마무리.png|width=100%]] || || {{{#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 팬들에게 마지막 무대에서 감사의 절을 하는 [[칼 앤더슨|{{{#ffffff 칼 앤더슨}}}]]과 [[루크 갤로우스|{{{#ffffff 독 갤로우스}}}]]}}} || 2월 11일 배드 럭 파레, 타카하시 유지로, 타마 통가는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 재도전 기회를 얻었지만 실패, [[영 벅스]]는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 패배로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케니 오메가가 [[타나하시 히로시]]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새로운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의 주인이 되었다. '''[[칼 앤더슨]]과 [[루크 갤로우스|독 갤로우스]]의 [[신일본 프로레슬링]] 마지막 경기는 배드 럭 파레, 타마 통가와 함께 승리를 하면서 아름다운 이별을 했다.''' 그리고 '디 앨리트'는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해 타이틀을 다시 불릿 클럽 품으로 탈환했다. ||
[youtube(DdnQBlD7hSs, width=720, height=480)] || || {{{#ffffff 불릿 클럽에 새롭게 들어온 애덤 콜}}} || 3월 12일 타마 통가가 IWGP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준비하기 위해 자신의 친동생인 '탕가 로아'[* [[하쿠]]의 친아들]를 불릿 클럽의 멤버로 섭외했다. 이후 ''''게릴라스 오브 데스티니(GOD)''''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인베이션 어택 2016에서 IWGP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승리했다. '디 엘리트'는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승리와 패배를 왔다갔다 한다. 그리고 5월 8일 [[ROH]]와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합작 무대인 '글로벌 워즈(Global Wars)'에서 '아담 콜'이 'GOD'와 [[영 벅스]]의 도움을 받아 불릿 클럽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 애덤 페이지도 불릿 클럽에 가입하고 이름을 '행맨 페이지'로 바꾸게 된다. ||
[[파일:해냈다 해냈어 케니가 해냈어.jpg|width=100%]] || || '''{{{#ffffff 외국인 선수 최초로 [[G1 클라이막스|{{{#ffffff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6월 19일 [[영 벅스]]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다시 탈환했고, 'GOD'와 케니 오메가는 경기에서 패배해 타이틀을 잃었다. 게다가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 마저 잃게 되면서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한편 불릿 클럽 멤버 중 [[케니 오메가]], 배드 럭 파레, 타마 통가는 '2016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타마 통가와 배드 럭 파레는 블럭 A에, [[케니 오메가]]는 블럭 B에 들어갔다. 조별 예선에서 배드 럭 파레는 5승 4패, 타마 통가는 4승 5패, 케니 오메가는 6승 3패를 기록했다. 케니 오메가가 8월 14일 결승전에서 고토 히로오키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외국인 선수 최초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 우승 기록을 세웠다.''' '2016 G1 클라이막스 토너먼트' 이후 8월 19일 아담 콜이 [[제이 리썰]]을 꺾고 새로운 [[ROH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9월 25일에는 '캡틴 뉴 재팬'이 불릿 클럽에 가입함으로서 불릿 클럽에 가입한 두 번째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10월 8일 '본 솔져'로 이름을 바꿨고, [[영 벅스]]는 'ROH 올스타 엑스트라바겐자'에서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차지했고, GOD는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을 탈환했다. 하지만 아담 콜이 12월에 ROH 월드 챔피언십을 잃게 되었다. ||
[youtube(cPl3C0IqVMA, width=720, height=480)] || || {{{#ffffff '2016 [[월드 태그 리그|{{{#ffffff 월드 태그 리그}}}]]' 결승전에 진출한 게릴라스 오브 데스티니}}} || '2016 월드 태그 리그'에 출전한 불릿 클럽 팀은 총 세 팀이다. 'GOD'와 '행맨 페이지 & 타카하시 유지로'가 블럭 A에, '배드 럭 파레 & 본 솔져', '케니 오메가 & 체이스 오웬스'는 블럭 B로 배치되었다. 'GOD'가 6승 1패, '행맨 페이지 & 타카하시 유지로'는 4승 3패, '배드 럭 파레 & 본 솔져'는 '''7전 전패'''~~응?~~, '케니 오메가 & 체이스 오웬스' 3승 4패를 기록했다. GOD가 A조 1위로 등극하면서 결승전에 진출하게 됐다. 상대팀은 B조에서 5승 2패로 1위를 차지한 G.B.H(Great Bash Heel)의 마카베 토기, 혼마 토모아키다. GOD가 좋은 경기를 보여줬지만 패배하면서 결국 G.B.H가 월드 태그 리그에서 2년 연속 우승했다. ||
[youtube(otnEERVP8eQ,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아메리카 나이트메어'를 자처하며 불릿 클럽에 들어온 [[코디 로즈|{{{#ffffff 코디}}}]]}}} || 12월 10일, [[코디 로즈|코디]]가 불릿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 게다가 코디가 소화하게 될 기믹이 바로 형인 [[골더스트]]가 [[WCW]]에서 활동 당시 사용했었던 '''아메리카 나이트메어'''로 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비슷한 이름의 기믹으로는 아버지인 더스티 로즈 기믹이 '아메리칸 드림'이다.] 그리고 [[레슬킹덤 11]]에서 [[신일본 프로레슬링]] 데뷔전에서 첫 승을 거뒀다. 같은 날 'GOD'는 '2016 월드 태그 리그' 결승전에서 패배를 당하면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 2017년 === ||
[[파일:6..성.png|width=100%]] || || {{{#ffffff [[데이브 멜처|{{{#ffffff 데이브 멜처}}}]]에게 6성 경기를 보여준 [[오카다 카즈치카|{{{#ffffff 오카다 카즈치카}}}]]와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레슬킹덤 11]]에서 영 벅스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잃었고, 'GOD'는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을 잃었다. 아담 콜은 다시 [[ROH 월드 챔피언]]을 탈환했다. 그리고 [[케니 오메가]]는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에서 [[오카다 카즈치카]]와 한 시간 동안 경기를 치렀지만 패배했다.[* 이 경기는 [[데이브 멜처]]가 별 6개를 줄 정도로 극찬했다고 한다.] ||
[youtube(skqGZqox5Z8, width=720, height=480)] || || {{{#ffffff [[크리스토퍼 다니엘스|{{{#ffffff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배신하고 불릿 클럽에 가입한 카자리안}}} || 1월 11일 코디 홀이 불릿 클럽을 탈퇴했다. 그 이후 정확히 한 달 뒤 2월 11일 [[ROH]]에서 '''프랭키 카자리안이 오랫동안 태그팀 활동을 한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배신하고 불릿 클럽에 가입했다.''' 동시에 아담 콜은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상대로 [[ROH 월드 챔피언]] 매치를 치러야 한다. 2월 26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 [[ROH]] 합동 흥행인 아너 라이징 재팬 1일차 대회에서 케니 오메가와 애덤 콜이 경기에서 승리한 후 케니 오메가가 마이크 연설을 하고 있을때 애덤 콜이 연설 도중 마이크를 가로채며 자기 할 말 다하고 마이크를 바닥에 내팽겨치자, 케니가 어이없는 표정을 짓고 마이크를 주워 연설을 한 후 둘이 아무일도 아니듯 결속의 제스처를 취하지만 애덤 콜은 혼자 백스테이지로 가버렸다. 케니 오메가와 영 벅스가 백스테이지 대화에서 애덤 콜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는 얘기를 하며, 케니 오메가와 애덤 콜 사이의 분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3월 1일 본 솔저가 신일본 프로레슬링 선수 프로필 명단에 없어지며 불릿 클럽에서 탈퇴하였다. 3월 11일 프랭키 카자리안이 애덤 콜과 다니엘스의 경기에 난입 한 후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벨트로 공격하는 자세를 취하다가 링 밖으로 던져버리고, '''애덤 콜이 보는 앞에서 불릿 클럽 T-셔츠를 찢어버리고 빅엿을 먹이며 탈퇴를 선언하며 1달 만에 턴페이스하였다.''' 그리고 아담 콜은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에게 사이드 슬램에 이은 3연속 문설트를 접수 당하며 벨트를 넘겨주고 만다. ||
[youtube(SYS0mX2oK3w,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영 벅스|{{{#ffffff 영 벅스}}}]]에게 RoH 태그팀 챔피언십을 도전하는 [[매트 하디|{{{#ffffff 브로큰 매트 하디}}}]]}}} || 한편 영 벅스는 평소처럼 ROH 무대를 마치고 나가려는 순간, '''[[매트 하디]]가 나와 '브로큰 하디즈가 태그팀 챔피언 벨트를 DELETE! 시키겠다.''''고 화면에 나와서 말했다. 그리고 3월 4일 진짜로 챔피언 벨트를 뺐겼다. ~~하디즈의 도장깨기 성공~~ 하지만 4월 1일 슈퍼카드 오브 오너에서 사다리 매치로 치러진 ROH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승리하면서 다시 챔피언 벨트를 되찾아왔다. ~~그리고 그 다음 날 하디즈는 WWE 레슬매니아 33에서 태그팀 챔피언이 된다.~~ ||
[[파일:뉴 재팬컵 2017.jpg|width=100%]] || || {{{#ffffff [[뉴 재팬 컵 2017|{{{#ffffff 뉴 재팬 컵 2017}}}]] 결승전에서 [[시바타 카츠요리|{{{#ffffff 시바타 카츠요리}}}]]를 상대하고 있는 배드 럭 팔레}}} || 우승하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셋 중 하나 선택해 도전할 수 있는 [[뉴 재팬 컵 2017]]이 개최됐다. 불릿 클럽 멤버들인 [[케니 오메가]], 타마 통가, 탕가 로아, 배드 럭 팔레, 타카하시 유지로가 출전했다. 그런데 팔레를 제외하고 모든 멤버들이 탈락했다. 심지어 [[타나하시 히로시]], [[스즈키 미노루]]가 탈락하고 주스 로빈슨, EVIL이 진출하면서 더 알 수 없게 됐다. 불릿 클럽 멤버들은 배드 럭 팔레의 결승 진출에 힘싣고 있다. 그리고 그에 부응해 배드 럭 팔레는 결승까지 진출했다. 하지만 [[시바타 카츠요리]]에게 패하면서 2014년에 이어서 두 번째 준우승을 거두게 됐다. ||
[youtube(KQhapzD7JkY,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애덤 콜을 탈퇴시킨 후 새로운 멤버가 된 마티 스컬}}} || >'''애덤, 감동적인 순간을 만들어낸걸 축하해. 아주 영웅이 되셨어. 자네는 ROH에서, 그리고 불릿 클럽에서 맹활약하면서 동화와 같은 경력을 이어왔어. 하지만 모든 동화에는 반드시 두 가지가 있지: 영웅, 그리고 악당.[* 마티 스컬의 별명.] 자넨 불릿 클럽에서 해고야.''' >---- >[[케니 오메가]], [[신일본 프로레슬링]] - [[ROH]] 합동 PPV 'War of the Worlds'에서 5월 12일 ROH PPV 워 오브 더 월드에서 애덤 콜이 [[타나하시 히로시]]에게 패배했다. 경기 후 영 벅스가 위로를 하면서 다시 재기를 노리는 듯 했으나 위에 있는 말을 남기며 영상을 마쳤다. 그리고 링 안에 마티 스컬이 등장해서 우산을 펼치는데 '''불릿 클럽 로고가 새겨져 있었고 영 벅스가 애덤 콜에게 슈퍼킥을 선사하면서 축출시키고 마티 스컬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ROH에서 불릿 클럽 공식 가입식의 일환인 영 벅스의 슈퍼킥~~ 이후 애덤 콜은 신일본과의 계약을 마치고 NXT로 진출하게 된다. 이후 마티 스컬은 불릿 클럽 멤버들 중에서 유일하게 Best of Super Junior 2017에 A조로 출전했는데 4승 3패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뒀지만, [[윌 오스프레이]]가 1등을 거두면서 우승은 물거품이 됐다. ||
[youtube(aWx2oVnD-uM,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오카다 카즈치카|{{{#ffffff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도전장을 내민 [[코디(프로레슬러)|{{{#ffffff 코디}}}]]}}} || 2017 뉴 재팬 컵에서 이시 토모히로부터 탈락한 [[케니 오메가]]가 5월 3일 복수에 성공하면서, [[오카다 카즈치카]]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리매치를 성사시켰다. 양 선수의 피니셔가 3번 이상 들어갈 정도로 설전을 벌였지만 60분이 지나도록 경기를 끝내지 못하자 결국 무승부가 됐다.[* 이 경기는 [[데이브 멜처]]가 별점 6.25을 주면서 또 다시 화제가 됐다.] 그런데 경기 중에 [[코디 로즈|코디]]가 항복을 하려는 듯 하얀 수건을 던지는 모습을 보이자 [[영 벅스]]가 말렸다. 경기가 끝난 후에는 [[코디 로즈|코디]]가 [[오카다 카즈치카]]에게 도전장을 내밀면서 다음 PPV에서 경기가 확정되었다. 더군다나 [[코디 로즈|코디]]는 [[ROH]]에 등장해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의 [[ROH 월드 챔피언|ROH 월드 챔피언십]]을 노리겠다고 밝혔다. 과연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ROH]]의 최고 자리에 동시석권할 수 있을지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한편 [[영 벅스]]는 로퐁기 바이스를 상대로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빼앗으면서 6회 기록을 썼다. 게릴라스 오브 데스티니 역시 IWGP 태그팀 챔피언인 워 머신을 상대로 승리해 새로운 태그팀 챔피언이 되었다. ||
[youtube(d56R_J7DONM, width=720, height=480)] || || '''{{{#ffffff [[크리스토퍼 다니엘스|{{{#ffffff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꺾고 새로운 [[ROH 월드 챔피언|{{{#ffffff ROH 월드 챔피언}}}]]이 된 [[코디(프로레슬러)|{{{#ffffff 코디}}}]]}}}''' || ROH PPV 베스트 인 더 월드 메인이벤트에 출전한 '''코디가 17분 경기 끝에 [[크리스토퍼 다니엘스]]를 꺾고 새로운 ROH 챔피언으로 올랐다.''' 일각에서는 정말 [[신일본 프로레슬링]] - [[ROH]] 통합 챔피언이 될 수 있다는 루머가 흘러나오면서 향후 거취가 주목됐다. 이 PPV에 참가한 [[영 벅스]]는 워 머신과 베스트 프렌드를 상대로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지키면서 명실상부 최고의 태그팀 자리를 지켜냈다. 마티 스컬은 [[쿠시다]]를 상대로 ROH 텔레비전 챔피언십에 도전했지만 실패했다. 행멘 페이지가 경기를 치렀지만 프랭키 카자리안한테 졌다. ||
[youtube(-1TsNw3TwEY, width=720, height=480)] || || {{{#ffffff [[코디 로즈|{{{#ffffff 코디}}}]]와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의 싸움으로 인해 불릿 클럽의 내분이 일어나는 장면}}} || 미국에서 펼쳐지는 G1 스페셜 in USA에서 [[코디 로즈|코디]]는 [[오카다 카즈치카]]를 상대하게 됐다. 경기 중 [[케니 오메가]]가 나타나더니, '''지난 경기에서 코디가 했던 것처럼 수건을 던지려고 했다.''' 같이 등장한 이든은 필사적으로 막았다. 수건을 빼앗은 코디는 땀을 닦은 후 '''[[케니 오메가]]에게 수건을 던졌다.''' 이후 어떻게든 분위기를 바꾸려고 노력했지만 [[오카다 카즈치카]]의 레인메이커를 맞고 패배했다. 메인 이벤트 경기가 끝난 이후에는 [[케니 오메가]]와 설전을 벌이면서 드디어 불릿 클럽의 내분 플레그가 나올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 ||
[[파일:TOP00.jpg|width=100%]] || || {{{#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ffffff 신일본 프로레슬링}}}]] 역사상 첫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fffff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된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PPV 첫 번째 경기인 카오스와의 경기에서 마티 스컬, 영 벅스, 배드 럭 파레와 타카하시 유지로는 마지막에 기습 롤업으로 패배했다. 게릴라스 오브 데스티니는 워 머신에게 패배해 타이틀을 잃었다. 이 날에는 IWGP U.S 챔피언십을 결정하는 토너먼트 1라운드도 같이 진행됐다. [[케니 오메가]]와 행맨 페이지가 출전했는데, [[케니 오메가]]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고 행맨 페이지는 탈락했다. 이후 마이클 엘긴, [[제이 리썰]], [[이시이 토모히로]]를 꺾고 초대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이 되었다. 사진에서 [[코디 로즈]]와 [[케니 오메가]]의 모습이 좋은 걸로 봐서는 화해한 듯하다. 'Being the Elite' 채널에서도 서로 사이좋게 지내는 모습이 영상에 담기면서 와해 각본은 없애거나 잠시 유보시킨 것으로 보인다. ||
[[파일:g1 climax 2017 kenny lose.jpg|width=100%]] || || {{{#ffffff G1 클라이막스 2년 연속 우승을 노리는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G1 클라이막스 2017가 7월 17일부터 치러졌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불릿 클럽 멤버는 [[케니 오메가]], 배드 럭 팔레, 타마 통가 이 세명만 출전했다. A조에 속한 배드 럭 팔레는 6승 3패로 [[타나하시 히로시]]와 동률을 이뤘지만, [[나이토 테츠야]]가 7승 2패로 결승전에 진출하면서 배드 럭 팔레의 역할은 여기까지였다. B조에 있는 타마 통가는 4승 5패를 기록하며 예선전에서 탈락했고 [[케니 오메가]]는 7승 2패로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 상대는 4년 만에 우승을 노리는 [[나이토 테츠야]]. 두 선수 모두 미친 경기력을 보여줬지만, [[나이토 테츠야]]가 데스티노 - 스피닝 데스티노 - 데스티노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케니 오메가]]는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
[[파일:헝멘 페이지.png|width=100%]] || || {{{#ffffff [[ROH|{{{#ffffff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이 된 [[영 벅스|{{{#ffffff 영 벅스}}}]]와 행맨 페이지}}} || 한편 [[영 벅스]]는 8월 13일 펑키 퓨처([[리코셰(프로레슬러)|리코셰]] & [[타구치 류스케]])에게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뺏겼다. 8월 20일 [[영 벅스]]와 행맨 페이지가 ''The Hung Bucks''라는 서브 그룹을 만들었다.[* ROH 슈퍼스타이자 불릿 클럽의 중추적인 존재인 아담 콜이 [[WWE NXT]]로 이적함에 따라, 서브그룹 공백을 막기 위해 행맨 페이지가 들어갔다는 추측이 있다.] 그리고 그 날 달튼 캐슬&더 보이즈를 꺾고 ROH 월드 식스 맨 태그팀 챔피언이 되면서, 불릿 클럽은 '''4개의 ROH 챔피언십 중 세 개를 차지해 ROH를 정복해버렸다.'''[* 차지하지 못한 타이틀이 [[KUSHIDA]]가 보유하고 있는 ROH 월드 텔레비젼 챔피언이다. 네 개의 타이틀을 다 가지려면 이 타이틀이 필요하지만 마티 스컬이 ROH 월드 텔레비젼 챔피언십을 계속해서 가져오지 못하면서 가능성은 낮아졌다. ~~지금 대립하고 있는 케니 킹이 지고 행맨 페이지가 꿀꺽하면 되는 각인가?~~] 하지만 ROH 9월 PPV인 Death Before Dishonor에서 [[코디 로즈|코디]]는 [[스즈키 미노루]]를 상대하고 [[영 벅스]]는 모터 시티 머신 건즈라는 강적들을 상대해야 한다. ~~골든 에볼루션처럼 멋지게 보여줬으면 하는데~~ ||
[[파일:레오 통가 등장 뚜둥.jpg|width=100%]] || || {{{#ffffff 불릿 클럽에 들어온 새로운 멤버 레오 통가}}} || [[2017년]] [[9월 6일]] GOD와 함께 등장하는 선수가 있었는데, 바로 레오 통가였다. 레오 통가는 타마 통가와 통가 로아의 친동생으로 알려졌다. 레오 통가가 들어온 이유가 [[케니 오메가]]의 무릎 부상 때문에 대체 인력으로 사용되기 위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9월 22일 ROH PPV인 'Death Before Dishonor XV'에서 [[영 벅스]]가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잃었다.[* 영 벅스는 이 날 두 개의 매치를 치렀는데, 그 중 하나가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였다. 즉, 영 벅스는 두 개의 타이틀에 모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십은 예상과 달리 빠른 시간에 끝냈지만, ROH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는 15분 동안 혈전 끝에 모터 시티 머신 건즈에게 타이틀을 뺏겼다.] 그러나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십과 코디의 ROH 월드 챔피언십은 방어하면서 ROH 내 타이틀 벨트 밸런스 조정에 들어간 것 같다. ||
[[파일:또 준우승....jpg|width=100%]] || || {{{#ffffff 다시 한 번 [[월드 태그 리그|{{{#ffffff 월드 태그 리그}}}]] 우승을 노리던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 11월 12일부터 12월 11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월드 태그 리그 2017]]가 진행됐다. 불릿 클럽 멤버들 중에서 A조는 배드 럭 팔래와 체이스 오웬스, 타카하시 유지로 & 행맨 페이지가 출전했고, B조는 ~~태그팀 매치 담당~~ G.O.D가 출전했다. 타카하시 유지로 & 행맨 페이지 팀이 예상외 성적인 '''2등'''을 달성했고, B조인 G.O.D는 공동 1등 2팀을 제치고 결승에 진출했다. 2회 연속 결승 진출에 이은 우승을 도전했지만 결국 패배해 또 다시 [[준우승]]을 달성했다. 한편 WCPW 챔피언이 된 마티 스컬은 기세를 이어서, 11월 5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인 '파워 스트러글'에서 [[윌 오스프레이]]를 꺾고 새로운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되었다. 충격에 벗어나지 못한 윌 오스프레이는 재도전을 요구했는데, 그때 [[KUSHIDA]]와 타카하시 히로무가 등장해 마티 스컬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새로운 챔피언이 된 마티 스컬은 [[레슬킹덤 12]]에서 페이탈 포 웨이 매치로 챔피언을 가려내자고 선언했다. 한편 [[월드 태그 리그 2017]]에서 준우승한 G.O.D는 배드 럭 팔래와 함께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해 새로운 챔피언이 됐다! 한편 [[영 벅스]]는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인 로퐁기 3K에게 특유의 말빨로 도전을 시사했다. [[케니 오메가]]는 [[IWGP US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지켜냈지만, '''[[크리스 제리코|누군가의 등장으로 분위기가 바뀌게 되는데....]]''' === 2018년 === ||
[[파일:오메가 챔프 방어!.jpg|width=100%]] || || {{{#ffffff 명경기 끝에 [[크리스 제리코|{{{#ffffff 크리스 제리코}}}]]를 이긴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레슬킹덤 12]]에서 재밌는 매치들이 많이 있었다. 불릿 클럽 멤버들 중에서 먼저 출전한 [[영 벅스]]는 로퐁키 3K를 꺾고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탈환하면서 7회 챔프 달성을 기록했다.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에서는 [[CHAOS(스테이블)|CHAOS]]에게 패배하면서 타이틀을 뺏겼다. ~~그런데 다음날에...~~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ROH 월드 챔피언|ROH 월드 챔피언 벨트]]를 뺏기면서 [[이부시 코타]]와의 스폐셜 매치를 치렀는데, [[이부시 코타]]가 승리했다. 마티 스컬은 도전자 4명을 상대했지만 결국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윌 오스프레이]]에게 뺏겼다. 그리고 대망의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는 34분 경기 끝에 ~~[[크리스 제리코|제리배]]의 엽사 촬영과 [[fuck|법규]]를 시전하는 걸 씹고~~ 외날개의 천사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1월 5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판 애프터매니아 격인 New Year Dash!에서 G.O.D와 배드 럭 파레가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을 탈환하는데 다시 성공했다. ~~이럴거면 어제 그냥 방어하게 냅두지~~ [[케니 오메가|디]] [[영 벅스|엘리트]]는 SHO, YOH, 치즈버거를 인디테이커로 꺾으면서 승리를 차지했다. 경기가 끝나자 [[케니 오메가]]가 제이 화이트를 불렀는데, 부른 이유가 바로 불릿 클럽 가입을 권유한 것이다. 주춤거리던 제이 화이트는 고심 끝에 불릿 클럽 티셔츠를 입었지만, 갑자기 블레이드 러너[* 스윙 리버스 STO로, [[WWE]]의 [[브레이 와이어트]]가 같은 피니셔를 쓰고 있다.]로 케니 오메가를 공격했다. 아무래도 케니 오메가의 다음 상대로 제이 화이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쇼가 끝난 뒤 제이 화이트는 불릿 클럽이 아닌 [[CHAOS(스테이블)|CHAOS]]에 가입했다.] 같은 날 레오 통가, 마티 스컬, 체이스 오웬스, 타카하시 유지로,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타구치 류스케]], [[KUSHIDA]], 데이비드 핀레이, 쥬시 로빈슨, [[이부시 코타]]를 상대했다. ~~마티 스컬의 개그와 레오 통가의 어부바 펀치와 함께~~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아메리칸 나이트메어로 경기를 끝냈지만, 경기 후 어제 경기가 분한 나머지 [[이부시 코타]]를 공격한다. 의자를 들고와 [[이부시 코타]]를 공격하려는 순간, '''[[케니 오메가]]가 나타나 [[코디(프로레슬러)|코디]]의 공격을 저지했다.'''[* 이 둘은 [[DDT#s-4|DDT 프로레슬링]] 시절 태그팀을 맺었던 사이다.] 겨우 봉합되나 싶었던 [[코디(프로레슬러)|코디]]와 [[케니 오메가]]의 사이가 다시 벌어지게 됐다. == 불릿 클럽 내전 (2018년) == === 1차 내전: [[케니 오메가]] vs [[코디 로즈|코디]] === ||
[youtube(gvn7s3mIiKQ)] || || {{{#ffffff '''History of BULLET CLUB - Part 4: Civil War'''}}} || [[Being The Elite]]에서 보다시피 코디와 케니 오메가의 사이가 더욱 악화됐다. 그런 와중에 2018년 1월 28일 [[더 뉴 비기닝 in 삿포로 ~눈의 삿포로 2연전~ 2018]]에서 제이 화이트가 새로운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됐다. 타이틀을 잃자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나타나 리더로서 자격을 묻는다. 이에 케니 오메가는 [[코디(프로레슬러)|코디]]와 또 다시 충돌하게 되고, 말리던 [[영 벅스|맷 잭슨]]을 밀치기까지 한다. '''결국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공격했고 쿠데타를 일으켰다.''' 지난 번에 못한 공격을 이어 나가려는 순간 [[이부시 코타]]가 나타나 [[케니 오메가]]를 구해준다. 팬덤의 추후 각본 예상은 케니의 축출 확정과 [[골든 러버즈]]의 부활 내지는 불릿 클럽이 케니파와 코디파로 분열되는 것 중 하나로 모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케니는 아직 자신이 리더라고 주장하며 코디와 맞서고 있다. 일단은 케니 지지파+이부시 코타 vs [[ROH]] 멤버[* 코디, 행맨 페이지, 마티 스컬]로 분열되는 양상. 케니와 친구였던 영 벅스는 이 시기에는 케니에게 상심해서 반발하고 있었다. 일단 신일본 순혈 1대 클럽 멤버들[* 배드 럭 파레, 타마 통가]이나 2진급 멤버들[* 탕가 로아, 히클레오, 체이스 오웬스, 타카하시 유지로]은 상황을 관망하고 있지만 몇몇이 케니와 영 벅스의 친목질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
[youtube(7TG6oCb-JRI)] || || {{{#ffffff 타마 통가와 탕가 로아에게 자신의 팀으로 들어오라고 설득하는 [[코디(프로레슬러)|{{{#ffffff 코디}}}]]}}} || 결국 갈라질 대로 갈라진 불릿 클럽은 'Strong Style EVOVLED'에서 G.O.D는 [[마티 스컬]]과 [[코디(프로레슬러)|코디]]를 상대하게 됐다. 그런데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경기 시작 전 G.O.D에게 자신과 힘을 합치자고 먼저 제안했다. 하지만 탕가 로아가 거절의 의사를 밝히자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공격함으로서 경기가 시작됐다. ~~[[마티 스컬]]은 이번엔 [[철새]] 개그를 가져왔다~~ 결국 G.O.D가 패배했다. [[골든 러버즈]]인 [[골든 러버즈]]는 [[영 벅스]]와 붙었다. 혈전 끝에 [[골든 러버즈]]가 더블 V 트리거로 끝낸다. 그런데 코디가 경기에 패배한 맷 잭슨에게 욕을 했고, 이후 닉 잭슨을 밀치기까지 한다. 케니 오메가가 급히 달려와 코디를 쫓아냈고 닉 잭슨과 화해한다. 하지만 맷 잭슨 아직 화해할 마음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Being the Elite에서 코디는 영 벅스에게 변명하지만, 감정만 더 격해졌다. [[사쿠라 제네시스 2018]]에서도 불릿 클럽 내전 두 개의 경기가 성사됐다. 2진급 멤버인 체이스 오웬스와 타카하시 유지로가 [[영 벅스]]와 맞붙고, [[골든 러버즈]]는 [[코디(프로레슬러)|코디]]와 행맨 페이지 팀을 상대하게 된다. ||
[youtube(cBAoS48ek-g)] || || {{{#ffffff 제2대 본 솔저로 등장한 이시모리 타이지}}} || 이 와중에 4월 13일에 신일본 공식 유투브에 본 솔저의 복귀 떡밥 영상이 떳다. 만우절 장난이라고 하기에는 만우절이 지난지 한참인지라 아니라고 봐야하고~~그리고 이미 [[이브이]]와 [[EVIL]]이 만우절 장난을 치기도 했고~~, 캡틴 뉴 재팬과 다시 계약이 됐던, 2대 본 솔저가 등장하던 뭔가 나오기는 할 것 같은 상황이다.[* 유투브 댓글에서는 만약 2대 본 솔저가 나온다면 ROH 소속인 플립 고든일것 같다는 반응이 있는데, 때마침 플립 고든이 영 벅스와 손을 잡은 적이 있기 때문에 이런 설이 나오고 있다. 이 외의 유력 후보는 [[영 라이온]]인 키타무라 카츠야, [[프로레슬링 NOAH]]에서 나와 프리 신분이 된 이시모리 타이지 정도가 언급되는 상황.] 그리고 5월 4일 [[레슬링 돈타쿠 2018]] 2일차에 [[KUSHIDA]]를 상대로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방어에 성공한 [[윌 오스프레이]]를 공격했는데 타마 통가의 소개로 이시모리 타이지가 불릿 클럽의 새 멤버로 합류했다.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25]]에서 블록 A에서 [[윌 오스프레이]]와 공동 선두로 앞섰는데, 윌 오스프레이를 꺾고 결승전에 진출한다. 블록 B조에서 진출한 [[타카하시 히로무]]와 맞붙었지만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런데 이 경기가 프로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로부터 '''5.5성'''을 받으며 많은 화제가 됐다. 이시모리 타이지가 1대 본 솔저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불릿 클럽 팬들에게 기대감을 불어 넣어줬다. ||
[youtube(ftdpsZrWTJQ)] || || {{{#ffffff '''마침내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fffff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된 [[케니 오메가|{{{#ffffff 케니 오메가}}}]]'''}}} || [[도미니언 6.9 in 오사카-조 홀]]에서 불릿 클럽에게 좋은 소식이 들렸다. 우선 영 벅스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이 아닌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해 승리하며 타이틀을 가져온다. [[코디(프로레슬러)|코디]], [[마티 스컬]], 행맨 페이지는 [[타나하시 히로시]], [[수신 선더 라이거#s-2]], [[레이 미스테리오]]를 상대로 승리를 챙겼다. 그리고 오카다 카즈치카의 12회 연속 방어를 깨고 '''[[케니 오메가]]가 생애 첫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이 됐다!''' 경기 중 [[AJ 스타일스|전 리더]]의 피니시 무브와 편익의 천사가 두 번 터지면서 새로운 챔피언이 됐다. 이부시 코타는 물론 그간 사이가 좋지 않았던 맷 잭슨과 포옹하며 훈훈하게 마무리됐다. 케니 오메가는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시작으로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까지 체급을 올려 타이틀을 차지한 최초의 외국인 선수가 됐다.[* 또한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을 제외하고 [[신일본 프로레슬링]] 내 모든 개인 타이틀을 휩쓴 선수이기도 하다.] 코디는 경기가 끝나고 와인과 함게 "불릿 클럽의 진정한 리더인 케니에게"라고 쓰여진 편지를 들고 케니의 문 앞까지 갔으나, 끝내 편지를 구겨버리고 발걸음을 돌리고 만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438937|디시인사이드 링크]]] 이로 인해 케니, 이부시, 그리고 영 벅스는 골든 엘리트라는 서브그룹을 만들게 된다. === 2차 내전: OG vs. The Elite === ||
[youtube(sWJrhJ48jYg)] || || {{{#ffffff '''History of BULLET CLUB - Part 5: New Era'''}}} || G1 스페셜 흥행이 열린 7월 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메인이벤트인 [[케니 오메가]]와 [[코디(프로레슬러)|코디]]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는 케니 오메가의 승리로 끝났다. 경기 중간중간 서로 내적갈등을 보여주기도 하며 경기가 끝난 후 승리한 케니 오메가는 코디에게 존중의 제스쳐를 보여주었다. 케니 오메가와 [[영 벅스]]가 함께 세레모니 후 퇴장하던 중 불릿 클럽 원년 멤버인 타마 통가와 그의 동생 탕가 로아, 두 형제의 아버지인 킹 하쿠[* 이날 이 세 사람은 카오스와 제 1시합을 치뤘다.]가 케니 오메가를 습격하고 입고있던 티셔츠 안에 입고 있던 또 다른 티셔츠를 보여주며[* 티셔츠에는 Firing Squad란 글귀가 적혀있었다.] '''케니 오메가와 영 벅스를 짓밟는다.''' 그리고 이들을 말리러 나온 [[마티 스컬]], 행맨 페이지, 타카하시 유지로, 체이스 오웬스까지 공격하며 완전한 분열 태세를 보여주었다. GOD는 마지막에 나온 코디에게 의자를 건내주며 케니 오메가를 공격할 기회를 주었으나 코디는 오히려 타마 통가를 공격하며 케니를 도우려 했으나 이미 경기로 체력이 바닥나 실패. GOD는 퇴장하며 '''"불릿 클럽에 리더는 없으며 우리가 오리지널이고 가족이다"'''라고 하며 또 다른 분열을 선언했다. 한편 링 위에서 체력을 회복한 불릿 클럽 멤버, 특히 '''코디와 케니 오메가는 다시 서로를 끌어안으며[* 이 장면이 마치 [[골든 러버즈]]의 재결합 장면을 연상시킨다.] 두 사람간의 내전 종료를 알렸다.''' 이 사건으로 당일 미국에 없었던 나머지 멤버인 배드 럭 파레와 이시모리 타이지의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G1 클라이맥스 시리즈 개막 하루 전 기자회견에서 스테이블의 창립 멤버인 배드 럭 파레가 "Fuck them!"이라는 욕설로 코멘트를 하였고, 이후 같은 불릿 클럽 멤버 행맨 페이지가 배드 럭 파레를 가리키며 "그 말은 누구를 겨냥해서 말하는 건지" 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G1 클라이맥스 개막전에서 페이지와 파레의 경기에서 GOD가 난입하여 페이지를 공격하면서 파레가 반칙패를 당했지만, 파레도 GOD와 같이 페이지를 린치하며 그들과 한편이 되며 불릿 클럽 안의 본인의 위치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페이지도 경기 후 인터뷰에서 파레와 GOD 멤버들을 겨냥하며 성장을 멈춰버렸다는 말과 욕설로 디스하였다. 이후 [[타마 통가]], [[탕가 로아]], 배드 럭 파레로 구성된 불릿 클럽 OG는 Elite 소속인 케니와 행맨과의 경기 이외에도 [[G1 클라이막스]] 일정 전반에 걸쳐 경기 도중 난입을 통해 여러 경기들을 엉망으로 만들었고, 급기야 B블록 마지막 일정에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긴급 성명을 통해 OG 측에 B조 경기에서 또 난입할 경우 3개월 간 출장 정지 및 벌금이라는 징계를 내리고, 타마 통가 vs [[야노 토루]] 이후 OG 멤버들을 전부 무도관에서 강제로 내보냈다. 결승전 당일에는 타마 통가와 탕가 로아, 그리고 임팩트 레슬링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돌아와 OG 쪽에 가세한 '본 솔저' 이시모리 타이지가 [[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십|NEVER 오픈웨이트 6인 태그팀 챔피언]]인 마티 스컬과 영 벅스를 상대했다. 원래 논-타이틀전이었으나, 탕가 로아의 도발에 자극을 받은 영 벅스 쪽이 원한다면 타이틀이라도 걸겠다며 맞받아치자 경기를 지켜보던 해롤드 메이 CEO가 타이틀전으로 변경했고, 치열한 접전 끝에 경기는 OG의 승리로 끝났다. 한편 코디와 영 벅스가 기획한 [[ALL IN]]이 성공적으로 흥행했다.[* 경기장인 시어스 센터 좌석수가 11,800개인데, 관중집계 결과는 10,451명으로 집계됐다.[[https://web.archive.org/web/20180713212534/https://deadspin.com/the-all-in-anti-wwe-supershow-sold-more-than-10-000-tic-1826076392|#]]] Elite 소속 불릿 클럽 멤버들이 흥행에 참여했고 ~~그와중에 경기 없는 체이스 오웬스~~ [[신일본 프로레슬링]], [[임팩트 레슬링]], [[NWA(프로레슬링)|NWA]], [[ROH]], [[CMLL]], [[AAA(프로레슬링)|AAA]] 등 '''WWE를 제외한 유명 단체 선수들이 대거 참여했다고 보면 된다.''' 첫 번째 경기에서 불릿 클럽 명예멤버인 [[스티븐 아멜]]이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에게 패배했지만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줬다. 기획 주최자 중 한 명인 [[코디(프로레슬러)|코디]]는 [[닉 앨디스]]를 꺾고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된다. 이로써 코디는 '''[[NWA(프로레슬링)|NWA 최초]] [[더스티 로즈|부자지간]] [[코디(프로레슬러)|챔피언]]'''을 기록했다. 행맨 페이지는 시카스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에서 조이 자넬라를 꺾고 승리했다. 엽기적인 도발로 화제를 모은 [[마티 스컬]]과 [[오카다 카즈치카]]의 경기는 26분 만에 [[오카다 카즈치카]]의 승리로 마무리됐다. [[이부시 코타|골든]] [[영 벅스|엘리트]]는 레이 미스테리오, 레이 페닉스, 반디도를 상대로 승리했다. 그리고 [[케니 오메가]]는 펜타곤 주니어와 명경기 끝에 승리했다. 그런데 불이 꺼지더니 '''펜타콘 주니어로 변장한 [[크리스 제리코]]가 나타나 [[케니 오메가]]를 공격했다.''' 이 둘의 대립이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도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
[[파일:god 태그팀 챔프.jpg|width=100%]] || || {{{#ffffff '''[[영 벅스|{{{#ffffff 영 벅스}}}]]의 타이틀을 가져온 [[타마 통가|{{{#ffffff 타마 통가}}}]]와 [[탕가 로아|{{{#ffffff 탕가 로아}}}]]'''}}} || 9월 30일 신일본 PPV인 [[파이팅 스피릿 언리쉬드]]에서 오랜만에 불릿 클럽이 경기를 치렀다.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쥬스 로빈슨]]을 꺾으며 IWGP U.S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로써 코디는 '''더블 타이틀 홀더'''가 됐다. ~~하지만 [[오스틴 에리즈]]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반면 영 벅스는 G.O.D에게 패배하며 타이틀을 뺏겼다. [[골든 러버즈]]는 [[CHAOS(스테이블)|CHAOS]]의 [[오카다 카즈치카]]와 [[이시이 토모히로]]를 상대로 승리했다. 경기 끝나고 케니 오메가가 이부시 코타에게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8]]에서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매치를 제안했다. 그러자 코디가 나타나 자신을 포함한 트리플 쓰렛 매치로 치를 것을 요구했다. 두 선수는 받아주면서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8]]에서 메인 이벤트로 자리잡게 됐다. ||
[youtube(z81jr3oiTmQ)] || || {{{#ffffff '''[[자도&게도|{{{#ffffff 게도 & 자도}}}]], [[제이 화이트|{{{#ffffff 제이 화이트}}}]]를 반기는 불릿 클럽 OG 멤버들'''}}} ||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8]]는 그야말로 혼란 그 자체였다. 우선 불릿 클럽 OG와 Elite와의 8인 태그팀 경기에서 OG가 승리하며 기선제압한다. [[마티 스컬]]은 [[KUSHIDA]]에게 패배해 공석이 된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등극엔 실패하였고 메인 이벤트인 [[케니 오메가]], [[이부시 코타]], [[코디(프로레슬러)|코디]]의 경기는 케니 오메가의 승리로 마무리했다. 코디와 이부시 코타는 케니 오메가의 승리를 축하해줬다. '''여기까지는 정말 평화로웠다...''' 새미 메인 이벤트였던 [[타나하시 히로시]]와 [[제이 화이트]]의 도쿄돔 IWGP 헤비급 권리증 쟁탈전 경기는 타나하시가 제이를 이기며 권리증 방어에 성공하고, 경기 이후 제이가 타나하시를 공격하던중 [[오카다 카즈치카]]가 나타나 [[타나하시 히로시]]를 구하러 온다. 이후 오카다는 前 매니저였던 게도를 공격하며 복수를 하려던 찰나, 게도의 파트너인 자도가 나타나 오카다를 말리게 되는데 그때 불릿 클럽 OG가 나타나 링을 둘러싼다. 그러고 링을 둘러싸더니 파레는 게도를 이시모리는 자도를 결박하며 오카다에게 게도를 공격하라고 소리를 외치고 오카다가 게도에게 일격을 가하려는 순간 '''타마 통가가 오카다에게 건 스턴을 날려 쓰러뜨리고, 이후 [[자도&게도]]와 같이 오카다를 공격한다!''' 그리고 제이가 다시 링 위로 올라와 오카다를 [[플랫라이너#s-3|블레이드 러너]]로 쓰러뜨리고 OG의 Too Sweet 제스처[* 보통의 Too Sweet과는 달리 거꾸로 모양을 취해 아래에서 손을 맞추는 식]를 취한다. 이렇게 되면서 [[자도&게도]], [[제이 화이트]]가 불릿 클럽 OG로 합류하게 되었고 슈퍼 주니어 태그 토너먼트에서 이시모리 타이지의 파트너로 [[호주]] 출신의 경량급 레슬러인 로비 이글스가 합류하게 되면서 OG는 하루만에 4명의 멤버를 충원하게 되었다. == 분열 이후 - [[제이 화이트]] 집권 == 2018년 10월 무렵부터 "우리 티셔츠에 불릿 클럽 디자인이 들어가는건 이게 마지막"이라고 얘기하는 등 떡밥을 뿌리던 디 엘리트 멤버들은 결국 2018년 10월 31일 [[제리코 크루즈]] 이벤트에서 불릿 클럽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다. 이후 [[행맨 페이지]] 등 또한 디 엘리트에 합류하는 등 '''[[디 엘리트]]'''는 독립적인 스테이블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다. ||
[[파일:BC_Block_party.jpg|width=100%]] || || {{{#ffffff '''[[제이 화이트|{{{#ffffff 제이 화이트}}}]] 新 체제 하의 불릿 클럽'''}}} || 한편 반대파를 완전히 "축출"하는데 성공한 불릿 클럽 OG는 "OG"라는 말을 빼버리고, 케니 집권 시절 [[트위너]] 군단으로서의 모습을 일소한 본래의 순수한 [[악역]] 군단 '불릿 클럽'으로 돌아갔다. 이후 팬들 사이에서 리더십에 관한 논란이 있었으나, 12월 22일 타마 통가는 트위터에 "[[https://twitter.com/Tama_Tonga/status/1076269382987321349|제이 화이트가 불릿 클럽의 리더가 됐다]]. [[https://twitter.com/Tama_Tonga/status/1076270608340660224|제이 화이트, 네가 이끌어라. 널 믿는다]]"라고 글을 남김으로써 [[제이 화이트]]가 불릿 클럽의 4대 리더에 취임되었다. [[월드 태그 리그 2018]]에 출전한 [[타마 통가]] & [[탕가 로아]]는 10승 3패로 승점 20점을 획득해 리그 1위가 됐다. 행맨 페이지와 타카하시 유지로는 5승 8패로 승점 10점으로 공동 9위가 됐다. 결승전에서 리그 2위인 [[SANADA]] & [[EVIL]]에게 패배하면서 또 다시 준우승했다. 다만 그 와중에 [[타나하시 히로시]], [[오카다 카즈치카]], 그리고 [[KUSHIDA]]라는 연합군에 맞서 제이 화이트를 위시한 불릿 클럽 일원들은 비겁한 술수를 동원하여 계속 승리를 거두는 등 우세를 점했다. [[레슬킹덤 13]]에서는 게릴라즈 오브 데스티니가 [[IWGP 태그팀 챔피언십]]을 잃었으나, 제이 화이트가 도쿄돔 싱글매치에서 [[오카다 카즈치카]]를 꺾는 큰 성과를 달성했고, 다음날 벌어진 [[뉴 이어 대쉬]]에서는 애매하게 디 엘리트에 걸쳐 활동하던 타카하시 유지로와 체이스 오웬스가 불릿 클럽으로 복귀하였다. ||
[youtube(Kt8Os6FzhSo)] || || {{{#ffffff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fffff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한 [[제이 화이트|{{{#ffffff 제이 화이트}}}]]'''}}} || [[오카다 카즈치카]]를 상대로 전적이 우세한 몇 안 되는 선수인 배드 럭 파레는 이번 경기에서 패배했다. [[더 뉴 비기닝 in 오사카 2019]] 메인 이벤트 매치인 [[타나하시 히로시]]와 [[제이 화이트]]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서는 하이 플라이 플로우를 블레이드 러너로 반격해 핀폴 승으로 이어지면서, '''[[제이 화이트]]가 제68대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이 됐다.''' 이번 타이틀 변동을 [[오카다 카즈치카]]의 레인메이커 쇼크에 빗대고 있다. 그만큼 예상치 못한 타이틀 변동이 이뤄졌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결국 4월의 메디슨 스퀘어 가든 ROH 합동 흥행에서 제이가 오카다에게 패해 타이틀을 내주었으나, 곧 이어진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26]]에서 불릿 클럽의 경량급 레슬러인 이시모리 타이지, 로비 이글스, 그리고 새로 영입된 [[엘 판타즈모]]가 모두 뛰어난 성과를 거둔데 이어 [[키즈나 로드 2019]]에서 이시모리와 엘 판타즈모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을 따는데 성공한다. [[G1 클라이맥스 29]]에는 [[제이 화이트]]와 [[배드 럭 팔레]] 두 명이 참가했으며, [[게도]]를 비롯한 불릿 클럽 선수들의 비겁한 획책 끝에 제이 화이트는 B블록 선두로 결승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한다. 그리고 결승전 전날, G1 기간 동안 [[ROH]]에서 태그팀으로 활약을 펼치고 온 [[타마 통가]]는 불릿 클럽이 새로운 "뛰어난 역량의 소유자(high-caliber athlete)"를 영입하는데 성공했다는 수수께끼의 트윗을 올린다. 결승전 당일, 불릿 클럽은 [[이시이 토모히로]], [[YOSHI-HASHI]], 그리고 [[KENTA]]를 상대로 전초전 태그 경기를 가지게 되었다. 경기 와중, 치열하게 싸우던 이시이가 켄타에게 태그를 시도했으나 켄타는 난데없이 태그를 거부한다. 이시이가 [[배드 럭 팔레]]에게 수플렉스를 성공시키는 등 분전했으나, 켄타는 급기야 이시이 토모히로에게 부사이쿠니를 시전하고 불릿 클럽의 승리를 돕고 요시하시, 그리고 LA 도장 소속의 [[영 라이온]]들을 공격한다. ||
[youtube(Dct7m-MJDFs)] || || {{{#ffffff '''[[시바타 카츠요리|{{{#ffffff 자신의 소울메이트}}}]]를 배신하고 불릿 클럽에 가입한 [[KENTA|{{{#ffffff KENTA}}}]]'''}}} || 이를 응징하기 위해 현 LA 도장 트레이너이자 KENTA 본인을 직접 영입한 [[시바타 카츠요리]]가 직접 올라와 불릿 클럽 멤버들을 차례차례 쓰러뜨리고 켄타를 무자비하게 공격했으나, 결국 비겁한 공격으로 시바타 자신이 KENTA의 P.K.를 맞는 등 린치를 당하고 만다. 어마어마한 야유을 받으며 결승전에 등장한 [[제이 화이트]]는 [[이부시 코타]]의 피니셔, 카미고에를 킥아웃해내는 등 대활약을 펼쳤으나 끝내 아슬아슬하게 패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불릿 클럽 멤버들은 경기 전 불릿 클럽 티셔츠를 입은 [[KENTA]]와 더불어 함께 나타나 제이 화이트의 세컨드로 링을 가득 메우며 신 체제의 위용을 신일본 프로레슬링 앞에 과시하였다. [[레슬킹덤 14]] 전후로 신일본 최악의 악역 집단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제이 화이트는 2관 챔피언이 되어 신일본과 팬들을 조롱하겠다고 선언하여 그와 맞붙게 되는 [[나이토 테츠야]]를 막아섰었다. 결국 나이토가 인컨챔을 탈환한뒤 2관 챔피언 자리에 올랐지만, 그가 마이크웍을 다 끝내기도 전에 KENTA가 공격하며 엔딩을 빼앗아 야유를 받았다. === 빈자리를 [[EVIL|어둠의 왕]]이 메꾸다 === 코로나 사태 이후, 불릿 클럽은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는데. 그 이유는 불릿 클럽의 핵심 멤버들이 전원 외국인 + 외국 거주라서 일본에 오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기 때문이다. 헤비급은 타카하시 유지로. 주니어는 이시모리 타이지와 자도, 게도만이 남아서 사실상 최약체인 상황이었다. 팬들은 불릿 클럽이 이대로 몰락 하는게 아니냐는 걱정을 표했는데... 그런데 [[뉴 재팬 컵 2020]] 결승전에서 L.I.J의 [[EVIL]]이 우승하도록 도운다! 그리고 EVIL이 불릿 클럽에 가입한다! EVIL은 결승전에 불릿 클럽을 난입시키는 것이 전부 자신의 계략이었다고 밝혔다. 도미니언 2020에서 새로운 음악과 복장을 입은 EVIL은 나이토 테츠야를 상대로 두 벨트[*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에 동시에 도전한다. 그리고 이번에도 불릿 클럽을 난입시켰으나, 타카하시 히로무의 도움으로 나이토가 극복하는 듯 싶었으나... BUSHI로 위장한 딕 토고[* [[TAKA 미치노쿠]]와 [[푸나키]]등이 속한 카이엔타이에서 활동했었던 선수. [[WWE|WWF]]에서도 잠시 활동했다.]가 EVIL을 도와주며 결국, EVIL이 2관왕[* 엄연히 따지면, 당시엔 로스 인고 시절에 얻은 6인 벨트가 있기에 3관왕이다. 그 후에도 3관왕을 유지하다가, 결국 박탈당하며 2관왕이 된다.]에 오른다. [* 불릿 클럽에서 일본인이 처음으로 헤비급 벨트를 획득한 사례이다. 일본인 멤버였던 유지로가 NEVER 무차별급 벨트를 획득한 적은 있지만, 그건 어쨌든 체급에 제한이 없는 벨트라 제외.] 그러나 섬머 스트러글 인 진구에서 나이토에게 두 벨트를 잃는다. 코로나 사태가 종식이후 외국인 멤버들이 일본에 돌아올 것인데, 그렇게 된다면 현재 임시 리더 역할을 하고 있는 EVIL과, 진짜 리더인 제이 화이트 사이에서 새로운 내전이 일어날 거란 추측이 나오고 있다. 리더인 제이 화이트가 기적적으로 [[G1 클라이맥스 30]]에 참가하게 되어서 아마 클라이맥스 이후부터 리더인 제이 화이트가 임시 리더였던 EVIL을 받아드릴지 아니면 THE ELITE때와 같이 내전이 일어날지 주목되고 있다. G1 대회기간 중에 경기 후 인터뷰에서 EVIL과 제이 둘이 서로를 향하여 비난하며 대립의 징조가 보이는 중이다. 제이 화이트는 [[이부시 코타]]를 상대로 '''역사상 최초로 G1 클라이맥스 가방을 빼앗는''' 이변을 만들어내며, 도쿄돔으로 가게되었다. EVIL은 나이토의 더블 타이틀에 다시 도전하였지만, 제이 화이트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타이틀 획득에 실패한다. 제이 화이트가 상술한 EVIL의 재도전때, 잠깐 EVIL을 공격하려다가 결국 EVIL을 도와주었는데. 제이는 G1 가방과 함께, 메인 전선으로 나가게되며, 둘의 분열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레슬킹덤 15]]에서 제이가 패배해서 벨트 획득에 실패하고 이후 인터뷰에서 제이가 완전히 넋이 나간 상태를 보여줘서 향후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다. === 2021년 === [[레슬킹덤 15]]에서 패배한 제이 화이트가 넋이 나가며 신일본에서 나가겠다고 언급하였고. 분열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던 뉴 이어 대쉬 흥행에서도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는 반전이 있었다. 이후 제이는 실제로 오랜 기간 동안 신일본에 출연하지 않았다. 결국 제이 화이트는 복귀하였다. [* 제이 화이트가 없는 동안, WWE의 로얄럼블 시즌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렇기에 제이가 진짜 신일본을 탈단하고 WWE로 가는게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다. 하지만 로얄럼블 시즌이 끝나자마자 귀신같이 제이가 복귀하며, 관심을 모으기 위한 어그로임이 드러났다.] 이후 EVIL과 제이와 다른 팀원들이 함께 투 스윗을 하고, 서로 분열의 조짐도 보이지 않으며 EVIL과 딕 토고를 불릿 클럽의 멤버로 완전히 받아들인다. 이후 제이 화이트와 G.O.D 등 외국인 멤버들이 일본 내에서 활동하지 않으며, 불릿 클럽은 일본에선 사실상 일본인 멤버들만이 활동한다. [* EVIL을 주축으로 하며, 자주 일본에 입국하는 체이스 오웬스나 엘 판타즈모를 제외하면 대부분 활동 멤버가 일본인이다.] 한편 제이는 미국지부에서 임팩트 레슬링 소속의 [[크리스 베이]]를 영입했고, 일본에선 EVIL이 YOH를 배신한 SHO를 영입하였다. === 2022년 - 돌아온 [[굿 브라더스]]와 축출된 [[타마 통가|G.]][[탕가 로아|O.]][[자도&게도|D]], 다시 한 번의 전성기 === [[노 서렌더 2022]]에서 [[에릭 영]]을 상대로 거둔 제이 화이트는 당일 태그팀 챔피언십에 참가한 G.O.D가 [[굿 브라더스]]에게 패하며 제이 화이트 & 크리스 베이가 G.O.D를 배신하고, 굿 브라더스가 다시 불릿 클럽으로 들어온다. 임팩트 레슬링에서는 제이 화이트를 위시한 불릿 클럽 멤버들과 [[에릭 영]]을 위시한 바이올런트 바이 디자인과 백스테이지에서 신경전을 벌이던 중 불릿 클럽에서 추방당한 G.O.D가 제이에게 분노를 드러내며 불릿 클럽 멤버들을 기습하였고 VBD 멤버들도 합세하여 제이 일행을 공격하였고 G.O.D와 VBD는 임시 동맹을 맺게 된다. [[새크리파이스 2022]] 대회에서 VBD에게 임팩트 월드 태그팀 벨트를 내주고 만다. 한편 신일본에서는 G.O.D 추방 관련하여 제이를 리더로 만든 게도는 다른 멤버들에게 어느 편에서 설지를 물어보았고 체이스 오웬스의 경우 G.O.D 멤버들과의 정이 있었는지 고심하는 모습을 보였고 게도는 제이를 따른다고 밝혔다. [[뉴 재팬 컵 2022]]에서 [[타구치 류스케]]를 격파하고 1회전을 통과한 EVIL은 2회전에서 대결하는 G.O.D 멤버 타마 통가를 가리켜 그동안의 태도가 마음에 안들었다고 불만을 드러내며 내전의 불씨를 지피게 되었다. 그리고 3월 13일, 2회전에서 타마 통가와 EVIL이 맞붙었고 EVIL이 승리를 거둔다. 이후 모든 불릿 클럽 멤버들이 GOD와 자도를 린치했고 게도 또한 자도를 공격하면서 GOD와 자도는 축출되었다. [[리벨리온 2022]]에서 각각 경기가 잡히면서 [[크리스 베이]][* 본래는 [[조나단 그레샴]]이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부상으로 불참하게 되었다.]는 [[아너 노 모어]] 소속의 [[에디 에드워즈]]와 맞붙지만 패하고, 제이 화이트는 [[크리스 세이빈]], [[스티브 매클린]]을 상대로 트리플 쓰렛 매치를 가지지만 스티브 매클린이 승리를 거두며 패하고, 굿 브라더스는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 참가하지만 패하며 챔피언 벨트 탈환에 실패한다. 제이 화이트가 AEW에도 등장하고 있고, 리벨리온이 벌어지기 전에 맞붙던 아너 노 모어와 마주치면서 [[언더 시즈 2022]]에서 불릿 클럽과 5 VS 5 태그팀 매치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이후, [[레슬링 돈타쿠 2022]]에서 US챔피언십을 다시 탈환한 타나하시를 복면을 쓴 누군가가 습격을 한다. 그 정체는 신일본과의 계약이 만료되 잠시 휴식을 취하러 떠난줄 알았던 [[쥬스 로빈슨]]이 턴힐 후 불릿 클럽에 가입하게 된다. 이후 쥬스는 US타이틀을 가지고 떠나 버린다.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에 참가한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 [[에이스 오스틴]]이 엘 판타즈모, 체이스 오웬스, 배드 럭 팔레를 도우며 불릿 클럽에 가입한다. 6월 12일 도미니언 에서 칼 엔더슨이 타마를 이기고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을 획득하고 제이가 오카다를 이기고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획득한다. 포비든 도어에서는 제이가 오카다 애덤 콜 애덤 페이지와의 4웨이 메치에서 승리해 IWGP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차 방어에 성공한다. G1에는 제이, 팔레, 체이스, 쥬스, EVIL, 유지로, 판타즈모 ,KENTA 총 8명이 참가한다. 제이 화이트가 임팩트 레슬링을 떠나면서 아직까지 임팩트 레슬링 소속인 불릿 클럽 멤버 4명은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2]]에서 경기가 잡히면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모터 시티 머신건즈]]([[크리스 세이빈]] & [[알렉스 셸리]])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아너 노 모어와 적대관계인 굿 브라더스는 아메리카스 모스트 원티드([[제임스 스톰]] & [[크리스 해리스]]) & [[히스 슬레이터|히스]]와 같이 아너 노 모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며칠 후 불릿 클럽 멤버 4명(굿 브라더스 & 크리스 베이 & 에이스 오스틴)은 아너 노 모어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매주마다 불릿 클럽과 아너 노 모어의 대립이 벌어지면서 [[이머전스 2022]]까지 대립이 진행되면서 굿 브라더스 & 크리스 베이 & 에이스 오스틴 & [[히쿠레오]]는 아너 노 모어와 격돌하게 되지만 패하고, 아너 노 모어는 굿 브라더스의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자리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아너 노 모어의 대표로 [[맷 테이븐]] & [[마이크 베넷]]이 굿 브라더스를 상대하게 되면서 굿 브라더스는 패하면서 챔피언 벨트를 뺏기고, 굿 브라더스는 모터시티 머신 건즈와도 맞붙지만 패하고, 경기 후에 모터시티 머신 건즈가 악수를 청하자 굿 브라더스는 이것을 흔쾌히 수락한다. 이후로 굿 브라더스는 계약 만료로 임팩트 레슬링을 떠난다. 임팩트 레슬링에 [[UNITED EMPIRE]] 소속의 [[어시 오픈]]([[마크 데이비스(프로레슬러)|마크 데이비스]] & [[카일 플레처]])이 등장하면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가 나서서 상대하지만 패한다. [[빅토리 로드 2022]]에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 & 쥬스 로빈슨이 [[잭 프라이스]] & [[제이슨 호치]] & 잭슨 스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9월 28일에 벌어진 AEW에 쥬스 로빈슨이 등장하면서 AEW 챔피언 존 목슬리를 상대하지만 패하게 된다. 쥬스 로빈슨은 임팩트 레슬링에 있는 다른 불릿 클럽 멤버인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와 같이 다니는 모습을 보인다. 10월 10일 굿브라더스가 WWE로 [[디 O.C|이적했다.]] NJPW에서 열린 44번 거리의 럼블에 출전해서는 첫번째 메인이벤트에선 제이 화이트 & 쥬스 로빈슨 & 엘 판타즈모가 팀 필티([[톰 롤러]] & [[로이스 아이작스]] & [[조렐 넬슨]])와 팀을 이뤄 [[존 목슬리]] & [[에디 킹스턴]] & [[호미사이드]] & [[어메이징 레드]] & [[CHAOS(스테이블)|CHAOS]]([[오카다 카즈치카]] & [[코마츠 요헤이]])에게 패하지만 두번째 메인이벤트에선 제이 화이트 & 쥬스 로빈슨가 출전해 에디 킹스턴 & 오카다 카즈치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10월 21일 새로 생긴 NJPW 오세아니아 지부에서 호주 출신의 베테랑인 [[잭 본자]]가 불릿 클럽에 가입을 했다. [[오버 드라이브 2022]]에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모터 시티 머신건즈를 상대로 넘버 원 컨텐더 매치로 격돌하지만 패한다. [[하드 투 킬 2023]]에서 모터 시티 머신건즈, [[잭 라이더 & 커트 호킨스|메이저 플레이어스]], [[히스 슬레이터|히스]] & [[라이노(프로레슬러)|라이노]]를 상대로 페이탈 4 웨이 방식으로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지만 모터 시티 머신건즈가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 결성 10주년 - [[데이비드 핀레이]] 집권 시절 == === 2023년 - [[데이비드 핀레이|새로운 리더]] 그리고 세력 확장. === [[노 서렌더 2023]]에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일본에서 활동중인 [[KENTA]]와 같이 팀을 이뤄 [[KUSHIDA]] & 모터 시티 머신건즈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2월 18일에 열린 배틀 오브 더 밸리 2023에서 KENTA는 프레드 로서를 꺾고 새로운 스트롱 오픈웨이트 챔피언에 오르지만, 제이 화이트는 에디 킹스턴과의 경기에서 패하며 신일본을 떠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경기 후에 제이 화이트는 [[데이비드 핀레이]]의 습격까지 받는다. 2월 25일에 방영된 임팩트 레슬링에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모터 시티 머신건즈에게 도전을 하면서 그들을 꺾고 새로운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3월 6일, [[신일본 창단 기념일 2023]]에서 데이비드 핀레이가 불릿 클럽의 새 멤버로 영입되었고 그대로 5대 리더로 취임하였다. [[새크리파이스 2023]]에서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TMDK]](셰인 헤이스트 & 배드 듀드 티토)를 상대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고,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서는 모터 시티 머신건즈, 어시 오픈([[마크 데이비스(프로레슬러)|마크 데이비스]] & [[카일 플레처]]), TMDK(셰인 헤이스트 & 배드 듀드 티토)를 상대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도 승리를 거두고, KENTA는 [[스즈키 미노루]]를 상대로 스트롱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둔다. ||
[youtube(I3lEwmh5mCw)] || || {{{#ffffff 엘 판타즈모 축출과 불릿 클럽의 확장 }}} || [[사쿠라 제네시스 2023]]에서 데이비드 핀레이 & KENTA & 엘 판타즈모는 타마 통가 & 히쿠레오 & 마스터 와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경기 후에 불릿 클럽 멤버간의 의견 충돌이 생기며 엘 판타즈모는 블릿 클럽 멤버들에게 공격당하며 스테이블에서 축출당한다.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모터 시티 머신건즈를 도발하며 [[리벨리온 2023]]에서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게 돠면서 또한번 방어에 성공한다. AEW에 출현한 제이 화이트가 현 불릿 클럽의 멤버인 쥬스 로빈슨과 연합해서 [[불릿 클럽 골드]]를 결성했다. 이름만 불릿 클럽을 땄을 뿐 별개 스테이블일지, 내전의 서막일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레슬링 돈타쿠 2023]]에서 리더 [[데이비드 핀레이]]가 뉴재팬 컵 에서 승리한 [[타마 통가]]의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한다.[* 돈타쿠 당일인 5월 3일은 불릿 클럽 결성 10주년이 되는 날이다. 마침 10년전에 불릿 클럽이 결성된 이벤트도 레슬링 돈타쿠 였다.] 결국 타마를 무찌르고 타이틀 탈환에 성공한다. [[도미니언 6.4 in 오사카-조 홀|도미니언]]에서는 핀레이가 엘 판타즈모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 그리고 [[댄 몰로니]], [[알렉스 코글린]], [[가브리엘 키드]]를 클럽으로 영입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6월 24일 AEW에서 제이 화이트가 [[오스틴 건]], [[콜튼 건]]을 불릿 클럽 골드로 영입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7월 4일에 벌어진 [[신일본 인디펜던스 데이]] 쳇째날에 게이브 키드 & 알렉스 코글린은 비샤몬(고토 히로오키 & YOSHI-HASHI)를 꺾고 새로운 NJPW 스트롱 오픈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고, 클락 코너스 & 드릴라 몰로니는 UNITED EMPIRE의 Catch 2/2([[TJP]] & [[프란시스코 아키라]])를 꺾고 새로운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둘째날 5일에는 게이브 키드 & 알렉스 코글린이 비샤몬을 상대로 IWGP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지만 채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고, KENTA는 에디 킹스턴을 상대로 스트롱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매치에서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언더 시즈 2023]]에서 서브컬처([[마크 앤드류스]] & [[플래시 모건 웹스터]])를 상대로 승리를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거둔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슬래미버서리 2023]]에서 [[무스(프로레슬러)|무스]] & [[브라이언 마이어스]], [[리치 스완]] & [[새미 캘러핸]], 서브컬처를 상대하지만 서브컬처가 승리를 거두면서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G1 클라이맥스 33]] 대회 기간 중인 2023년 8월 8일에 데이비드 핀레이가 [[에디 킹스턴]]을 이기고 C블럭 1위로 준준결승전 진출 확정후 백스테이지 인터뷰에서 핀레이 본인이 추방시킨 제이 화이트가 AEW에서 불릿 클럽 골드를 결성하여 활동하는것을 가리키며 불릿 클럽을 사칭한 코스프레로 간주하며 신일본에서 활동하는 불릿 클럽이 진짜라고 밝히며 불릿 클럽 골드를 적대 세력으로 규정한다.[* 2023년 8월을 기준으로 핀레이 라인의 불릿 클럽 워 독스, EVIL 라인의 하우스 오브 토쳐, 제이 라인의 불릿 클럽 골드 3개의 파벌로 구성되며 내부 분열의 위기가 보여지고 있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데이비드 핀레이 &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 & KENTA & 알렉스 코글린 & 클락 코너스가 팀을 이뤄 [[조쉬 알렉산더]] & [[PCO]] & [[엘 판타즈모]] &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 THE DKC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올 인 2023]]에서 제이 화이트 & 쥬스 로빈슨 & 타케시타 코우노스케가 팀을 이뤄 케니 오메가 & 애덤 페이지 & 이부시 코타를 상대하게 되면서 타케시타 코우노스케가 케니 오메가에게 기습 롤업으로 사용하면서 승리를 거둔다. [[올 아웃 2023]]에서는 제이 화이트 & 쥬스 로빈슨 & 더 건스(콜튼 건 & 오스틴 건)가 팀을 이뤄 [[영 벅스]] & [[FTR(프로레슬링)|FTR]]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디스트럭션 in 고베 2023]]에서 [[카네마루 요시노부]]가 [[타이치(프로레슬러)|타이치]]와 [[SHO]]의 KOPW 2023 쟁탈전에서 타이치를 배신하고 하우스 오브 토쳐에 가입했다. [[바운드 포 글로리 XIX]]에서 켄타는 크리스 세이빈을 상대로 X 디비전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고,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는 더 라스컬츠를 꺾고 통산 2회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에 오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불릿 클럽, version=229, paragraph=2)] [[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분류:프로레슬링 태그팀 및 스테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