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500원짜리 문방구 만화의 명맥을 잇는 작가 최불암. '내 뇌의 망상을 그림으로 옮기겠다.' 하지만 그의 뇌는 정상이 아닌데…''' 작가 [[최의민]]이 자신의 홈페이지 노히트노런닷컴과 [[네이트]] 뉴스 스포츠 펍 카툰란에 연재하는 웹툰. 다른 [[야구]]관련 카툰([[최훈]]의 프로야구 카툰, [[샤다라빠]]의 꼴데툰등)과 같이 그주의 이슈를 B급센스로 풀어내는 만화다. 그런데 2010년 6월 11일에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특집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제목인 불암콩콩코믹스는 옛날 문방구 500원짜리 만화 '[[다이나믹콩콩코믹스]][* 드래곤볼 해적판, 쿵후보이 친미 해적판 등을 내던 유명한 회사(?)다.]'에서 따왔다고. 특징은 '''다른카툰에 비해 독하다. 정말 지독하게 독하다.''' [[엘롯기]] 아일랜드, [[조인성(야구)|바깥 양반]], [[이승엽|악마 승엽]] 등 다른 카툰에 비해 몇 배는 독한 테이스트로 선수나 감독들을 까는 만화를 그린다. 2009년까지는 매우 부지런해서 뭔가 이슈가 터지면 바로 만화를 그렸는데, 2010년 들어서 3달 가까이 침묵하다가 시즌 시작 후에야 거의 2주에 한 번꼴로 띄엄띄엄 올라와 최훈을 닮아간다고 까이고 있다. GM을 빼고 프로야구 카툰만 놓고 본다면 매일매일 올리는 최훈이 훨씬 부지런하다. 그리고 [[뱅크신|한 선수를 그리면 그 얼굴을 다른 만화에서도 쓰는]] 습관이 있는 것 같다. 한 예로 '쌍라이트' 편에서 선수들이 차밖으로 튀어나가는 장면이 있는데, 최준석-김동주는 다른 편에서 나온 얼굴을 다시 썼고, 심지어 바로 위컷에 있던 정수빈 얼굴도 다시 썼다. 또한 요즘 주류 스포츠 [[웹툰]]의 대세인 [[병맛]]이 극한으로 농축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네이트에서 연재 중인 프로야구 웹툰에서 그 모습을 잘 볼 수 있다. 이 캐리커처를 연상시키는 특유의 얼굴 묘사는 대부분 야구선수들의 굴욕 짤방을 소스로 하여 그리는 듯하다.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꽤 잘 그려진 그림을 갖고 있다. 소위 말하는 '미형' 이 아니기에 가려지는 면이 있지만 그래도 생김새가 실제 선수들과 꽤 비슷한 데가 있다. 그러나 재미를 위해 각 선수들의 외모상 특징을 '못나게' 희화화시킨 모습이 일품. 그냥 못나게 희화시키는 것 같아도 각 선수들의 컴플렉스를 포함한 외형적 특징을 상당히 잘 잡아내는 편이다. 다만 백인계 외국인 용병 선수들은 대체로 비슷하게 그리는 경향이 있다. 야구선수들에 대해 조금이라도 안다면 대강의 내용을 이해하면서 즐길 수 있다. [[존 애킨스]]와 [[클리프 브룸바]]는 코믹하지만 매우 리얼하게 그려진 머리들이 버블헤드 같다면서 무척이나 좋아했다. 이후 니코스키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은 불암콩콩코믹스에 나온 자신의 그림으로 바뀌었다. 홍낄낄! 만화 내에서 묘사되는 선수들은 대체로 아래와 같다. * 동명이인 * [[권희동]] - [[아기공룡 둘리]]의 [[희동이]]. 마침 팀도 적절하게 [[NC 다이노스|공룡 팀]]. *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 - 부활 [[김태원(음악인)|김태원]] * [[김경진]] - 코미디언 [[김경진(코미디언)|김경진]] * [[김대우(1984)|김대우]] - 대우그룹 로고 * [[덕 클락]] - [[킹오파]]의 [[클락 스틸]],[[슈퍼맨]]의 [[클라크 켄트]] * [[데이브 부시]] - 미국 전 [[조지 워커 부시]] 대통령 * [[릭 밴덴헐크]] - 녹색 피부의 [[헐크]] * [[마리오 산티아고]] - [[요시(마리오 시리즈)|요시]]에 탑승한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 [[박재상]] - 가수 [[싸이]]로 나온다. 다만 한편에서만 맨 얼굴로 나오는데, 그 싸몰레드 팬티 착용 사진으로 나온다. 요즘은 아예 두개를 합쳐서 싸이가 아몰레드 팬티를. * [[브라이언 코리]] - [[마법사의 아들 코리]]의 코리 *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 - 가수 송창식으로 나와서 노래를 부른다.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 코미디언 유민상. * [[이성민(1990)|이성민]] - 배우 [[클라라(배우)|클라라]] 시구 패션. * [[조조 레이예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의 [[조조]]. * [[짐 아두치]] - [[마두치]] * [[한희]] - [[달려라 하니]]의 [[하니(달려라 하니)|하니]][* [[이우의 야구수첩]]에서는 박한이가 하니역이다.]. * 인물별 특징 * [[홍현우]], [[오지환]] - 오지환은 과거 삭발 이벤트 임팩트가 큰 탓에 머리가 있는데도 삭발로 나온다.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최진행]] - 약 * [[김성한]] - 엉덩이 * [[김민성]] - 원숭이같은 외모와 구레나룻. 우끼는 덤이다. * [[김성근]] - "마... ~~하지 않나 시프요"와 같은 말투. * [[김용희]] - 얼굴을 끄덕이는 추임새 * [[김응국]] - 김흥국 * [[제리 로이스터]] - HONG KILL-KILL 과 같이 얕은 영어로 자주 말한다 김성근을 싫어한다 연안부두 만들어도 실신할 정도. * [[박경완]], [[정우람]] - [[탈모]] * [[박기혁]] - 뼈라는 별명 그대로 엄청 말라서 [[해골]]로 그려진다. * [[박병호]] - 팔뚝에 한글로 "문신" * [[박한이]] - 헬멧을 킁킁거리는 타격준비자세 때문에 수비할 때도 항상 헬멧을 반쯤 쓰고 나타난다. * [[송일수]] - 어눌한 [[한국어]] 및 [[일본어]] 대사. * [[카도쿠라 켄]], [[조성환(1976)|조성환]], [[홍성흔]] - 크고 아름다운 [[주걱턱]] . * [[유원상]] - 피부. 여드름이 가득한 피부를 짜서 공격하는 것은 [[이토 준지]]의 글리세리드 패러디.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이후로는 가을에 강하다고 [[전어]]로 그려진다. * [[에릭 테임즈]] - 무성한 수염을 자랑하며 등장하며, [[관우|미염공]]에 비유된 적도 있다. 한 번은 '태임즈'라는 이름으로 [[이태임]]이 드라마 [[결혼해주세요]]에서 입었던 그 유명한 비키니 차림으로 등장한다. * [[안승민]] - [[노안]]. * [[이대호]], [[최준석]] - [[비만]]. 둘은 가끔씩 사람이 아닌 [[돼지]]로 나올때도 있다. 이대호는 과거 롯데백화점 앞에 놓인 풍선인형으로도 그려지는데, 일종의 결전병기로 묘사된다. 이대호 내지는 이대호 팬으로 추정되는 사람이 댓글로 작게 좀 그려달라고 하소연한 적이 있다. * [[이용규]], [[김선빈]] - 스포츠 단신. * [[이재우]] - 박용택 클론 * [[이종욱]] - [[옹박]]에서 착안한 태국 사람 같은 외모와 피부색. 일명 종박. * [[이진영]] - 남들보다 10배는 큰 머리. * [[이현곤]] - 특유의 주먹코가 엄청 크게 부각되어 나온다,광고소환 * [[조범현]] - 마술사 [[이은결]]로 나온다. * [[채병용]] - 채육수의 구슬진 땀. * [[최동수]] - 이호준 클론 * 별명 * [[강귀태]] - [[야민정음|강커태]] * [[고영민]], [[용덕한]] - [[북한]]의 대남[[간첩]] * [[김경문]] - 불암콩콩코믹스 세계관 공식 달. 덧붙여 호구드립까지 나온다. * [[김기태(1969)|김기태]] - 주로 [[2015년]] 이후부터 삭발과 별개로 자주 등장. 뒷기태/눕기태에 런동 드립까지 차례대로 필요한 곳마다 쓰고 있다. * [[김용의]] - 아기공룡 둘리의 [[또치]] * [[김응용]] - 코끼리 코를 달고 나오며 약점은 참외. ([[김응용 감독 참외 사건]]) * [[니우라 히사오|김일융]] - [[황금박쥐]] * [[김정수(1962)|김정수]] - 까치 * [[김주찬]] - 무뇌 플레이로 지탄받았던 과거 때문에 착탈식 [[뇌]]를 달고 등장하며, 필요시 그 뇌를 던져 무기로 쓴다. * [[김현수(1988)|김현수]] - [[무한궤도]]가 달린 [[로봇]]으로 등장한다. 아니면 기계나 맹구 * [[나성범]] - 암섹타(I'm Sex Tiger) * [[노경은]] - [[캥거루]] * [[노모 히데오]] - 선수 전체가 모자이크 되어있다. 하지만 특유의 토네이도 투구는 어렴풋이 볼 수 있다. * [[니퍼트]] - 예수 * [[마해영]], [[박재홍(야구)|박재홍]], [[이종범]] - [[빵 사건|빵]] * [[박석민]] - 파마머리와 이마에 두른 띠 * [[박진만]], [[박찬호]] - 만두 * [[박희수]] - [[그래플러 바키]]수 * [[백인천]] - 골프 * [[서동욱]] - 전봇대 * [[양현종]] - 양쪼다를 반영한 바보같은 눈매. * [[안지만]] - 삐딱한 뉴에라 모자와 금속 장신구, 힙합 이미지, 포카칩 * [[오승환]] - 돌부처로 돌하르방 직구 * [[오재원]] - 하도 식빵을 잘 구워서 머리가 [[식빵]]으로 나온다. * [[유동훈]] - [[달의 요정 세일러문]] * [[유두열]] - 유두에 모자이크 * [[이범호]] - 얼굴에 달린 꽃 * [[이병규(1974)|이병규]] - 라면수비로 라면드립은 꼭 나온다. 이제는 작은 병규도 컵라면을 들고 나온다. 아예 작은 병규는 큰병규를 작게 그려놓은 경우도 있다. * [[이양기]] - 모심는 데 쓰는 [[이앙기]]를 타고 나온다. * [[이재주]] - [[잭 스패로우]] * [[이호준]] - 로또포. NC로 가서는 로또를 끊었다고. * [[이현승(야구선수)|이현승]] - 10억군인 * [[이혜천]] - 핵, 방사능 이미지 혹은 어깨에 두른 염주 * [[임경완]], [[정재훈(1980)|정재훈]] - 작가 * [[장민석]] - [[총검술]] * [[잭 한나한]]- 홀로그램 타자. 반투명하게 나온다. * [[정성훈]] - 정성훈훈. 유니폼에 이름이 이렇게 씌여서 나온다. * [[조계현]] - 싸움닭을 반영하는 입에 달린 새부리 * [[조인성(야구)|조인성]] - 바깥드립과 [[심수창]]과의 참된 약속, [[안경]] *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 - 손에 쥐어진 포크 * [[차일목]] - 목에 다리가 날아온다. * [[최정]] - 마그넷 * [[페르난도 타티스]] - 만두 * [[황재균]] - XX머신. 맹활약 중인 [[에릭 테임즈]]가 자주 나오는 불암콩콩코믹스에서 안 나올 수 없는 별명이다. * [[홍상삼]] - 산삼 * [[최동원]], [[김시진]], [[선동열]] - 각각 참치, 꼴뚜기, 멍게. 마구마구 최동원편에서 최동원이 직접 이 만화는 수산물 홍보 만화냐 라고 절규한다. 선동열은 [[각도드립]] 때문에 [[각도기]]는 필시 지참 상태. [[각도기]]로 오심하는 심판들을 베어버린다. * 별명이 많은 선수들([[김태균]], [[박용택]] 등) - [[김별명]]이나 [[별명택]] 문서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별명들을 반영한 모습으로 그때그때 달리 나온다. * [[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스탠드(?)]] * [[배영수]] - [[펠릭스 호세]] : [[참교육]]의 표본 * [[이원석(1986)|이원석]] - [[리오넬 메시]]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당시 [[이원석(1986)#s-5.1|이원석의 발언]]으로 맺어진 인연 * [[나지완]] - [[김태균]] : 얼굴이며 체형이 굉장히 비슷하게 묘사된다. * [[이진영]] - [[이대형]] : 이대형의 타격폼을 놀리는 이진영 * [[이순철]] - [[마해영]] : 서로 멱살 잡은 합성 사진 * 배영수 - 정수근 : 서로 유니폼을 입고 잡담하는 모습 * [[심수창]] - [[조인성(야구)|조인성]] : 헤드락 * 짤방 * [[강민호]] - 덕아웃에서 보인 다양한 표정들. 주로 추레하게 찍힌 짤이나 혀를 내밀고 유혹하는 짤, [[애비메탈]] * [[강정호]] - 쇄골이 심하게 드러난 셔츠를 입었을때 사진, [[다들 그렇게 게이가 되는 거야]] * [[권혁]] - [[슬램덩크(만화)|포기를 모르는 남자지]] * [[김경언]] - 바람도사 짤을 기반으로 한 기괴한 머리스타일을 하고 나온다. * [[김광현]] - 점프 짤방, [[어서 와]], [[타짜: 신의 손]] * [[김문호]] - 상하이 조 * [[김병현]] - [[김좆키]], 라쿠텐 입단 후 투구 자세를 잡은 어두운 사진, 제가 감독이면 저 안 써요 * [[김성근]] - [[사자의 상사병]], 성경동화의 너는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될 지어다, [[지상 최강의 남자 류]], [[흰 수염 해적단]], [[호혈사일족]], 사자에게 복음 전파하기 * [[김원형]] - [[럭키짱|진정한 복싱의 모든 것을 보여주마]], 최연소 노히트노런을 달성했을 때의 기사에 나온 사진 * [[김재박]] - 2005년 5월 당시에 올라온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는 기사에 나온 웃은 사진. [[데스노트(데스노트)|다운노트]],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 * [[김종국(야구선수)|김종국]] -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 [[김진욱(1960)|김진욱]] - [[슬램덩크(만화)|상북의 불안요소]], [[커피]]. 몸에서도 피 대신 커피가.... * [[나주환]] - [[불타는 그라운드]]에서 노후보장으로 좌완투수 아들 드립을 치며 보여준 요염한 손짤 * [[나지완]] - 인천 아시안 게임 때의 점프 * [[류중일]] - 삼성 점퍼를 입고 웃은 얼굴 눈이 거의 일자로 찍힌 사진. 초기에는 중일(中一)이란 한자를 비꼰 가쿠란 복장, [[김정일]]을 패러디한 류정일이나 관중일 모드로도 나왔다. * [[류현진]] - [[저팔계(날아라 슈퍼보드)|저팔계]] * [[마해영]] - 마몰레드, [[슬램덩크(만화)|울지 마라]], [[슬램덩크(만화)|이 것은 ㅇㅇ의 몫]],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 * [[박정권]] - 훈련하다가 퍼진 모습이 거지처럼 찍힌 거지짤 * ~~[[박현준]]~~ - 직접 나오지는 않지만 LG 트윈스 백순길 단장과의 전화통화 짤방. * [[브렛 필]] - 샌프란시스코 시절 호랑이 쫄쫄이 입은 사진 * [[봉중근]] - [[안경현]]과 벌인 백 바디 드롭 * [[서건창]] - 면도기 광고 * [[서재응]] - [[2009년 한국시리즈]]의 [[정근우]]와 붙을때 표정, [[스터프 166km|뛰어봐 병신아]],가끔씩 응원단장으로 나왔다. * [[선동열]] - 나에겐 오직 야구뿐이야 * [[손승락]] - 두 발을 다 띄우고 점프하는 역동적인 투구폼, [[스터프 166km|박찬화에게 전해]] * [[손시헌]] - 패션 테러리스트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사복 패션, 와이 낫 손시현 * [[송원국]] - [[슬램덩크(만화)|어서 이 천재를 주전으로 쓰시라구요]] * [[송은범]] - 한화 홈 옷을 입고 미남 포즈를 취한 사진 * [[송진우(야구)|송진우]] - [[안영명]]과 [[김동수(야구)|김동수]] 간의 붙은 시비에서 날린 그림같은 니킥, 잔돈은 애들 과자나 사줘요 * [[안영명]] - 커먼요 * [[양상문]] - [[안돼 안 바꿔줘 바꿀 생각 없어 빨리 돌아가|빨리 돌아가]],[[한잔해]] * [[염경엽]] - 담배 뭉치를 한 줄로 연결하여 피우는 사진 * [[윤석민(투수)|윤석민]] - 웃으면서 힙합 흉내낸 사진 * [[이대형]] - 삼단분리타법, 하늘을 바라보는 사진 * [[이보근]] - 유이의 시구 때 유이를 바라보던 표정 * [[이성열(1984)|이성열]] - [[북두의 권|넌 이미 죽어있다]] * [[이순철]] - 배트 던진 사진 * [[이승엽]] - 홈런볼 광고 * [[이여상]] - [[대전광역시|대전시]] 용전동 이영상씨. * [[이용규]] - [[김치와 드셔보세요]] * [[이정민(야구선수)|이정민]] - [[허용투수]]. 얼굴이 이승엽 56호 홈런 허용투수 캡쳐 짤 * [[이종범]] - 금종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 * [[이종운]] - 감독 내정 당시 찍은 삿대질 컨셉샷. * [[이택근]] - 팬티 화보 * [[윤희상]] - [[심영(야인시대)|심영]] * [[정근우]] - [[택연|옥]]근우 * [[정수근]] - [[슬램덩크(만화)|농구가 하고 싶어요]], 중지를 올린 사진 * [[정수빈]] - 도루하다 찍힌 할머니짤 * [[정찬헌]] - 정근우를 빈볼 맞췄을 때 표정 * [[정현욱(1977)|정현욱]] - 웃음이 나오냐? * [[조동찬]] - [[슬램덩크(만화)|물론! 난 천재니까]] * [[조원우(야구)|조원우]] - 롯데 감독에 내정된 후에 찍힌 삿대질 사진 * [[진갑용]] - 2012년 한국시리즈 우승 세레머니 사진 * [[채태인]] - 망치를 들고 타격연습하는 사진, 신항로개척, 체흐 * [[최형우]] - 유퉁, [[물 같은 걸 끼얹나]], 국밥 * [[카림 가르시아]] - [[빌리 헤링턴]] * [[펠릭스 호세]] - [[허세쀼세허]] * [[펠릭스 피에]] - 610 대첩에서 벽에 기대고 지은 표정 * [[허구연]] - [[폭두고딩 타나카|아~ XX하고 싶다~]], [[그러니까 남자들은|2pac]] * 이외 각종 분야 인물들 * [[강승원]] - [[의사양반]] * [[곽한구]] - 차도둑 * [[거스 히딩크]] - wbc 네덜란드 감독 * [[김강우]], [[비(연예인)|정지훈]] - 각각 강우콜드와 우천취소로 비의 상징 * [[김구라]] - 가끔 예능프로([[세바퀴]],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복면가왕]])와 접목시킨 화가 나오는데 그 때 김구라의 말투를 굉장히 잘 캐치해낸다. * 김민주 前 넥센 치어리더 - 턱돌이에게 기합받는 사진 * [[김대기(프로게이머)|김대기]] - 적절 * [[김상중]] - 그것이 알고 싶다 * [[김성모]] - 맥심 표지 * [[김정은]] - 한국 야구 구단의 핵을 보고 평화협정을 제시하는 북한 지도자 * [[김보성]] - 의리 * 대원군 - 용병이 받기 힘든 골글 * 두산 베어스 - 쮸쀼쮸쀼 * [[박솔미]] - 저쪼 * [[백종원]] - 백주부 * [[삼성 라이온즈]] - 구단이 돈이 없잖아요 * 선판규(선동열 부친) - [[슬램덩크(만화)|철 좀 들어라]] * [[우루사]] - 주루사 * [[유이(배우)|유이]] - 꿀이 좔좔 흐르는 허벅지 * [[유세윤]] - 개코원숭이 *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이상화]]- 심하게 두꺼운 허벅지 * [[이유리(배우)|이유리]] - [[연민정]] * [[이휘재]] - 바람 * [[장나라]] - [[이종범]]과의 악연 * [[장범준]] - 벚꽃엔딩 * [[정인영(방송인)|정인영]] - [[임찬규]][[임찬규 물벼락 사건|와의 악연]] * [[지연(1993)|지연]] - 중앙으로 몰린 눈 * [[최불암]] - 수사반장 * 카일 콜리건 - [[꼴리건]] * [[허재]] - 이게 블락이야?! * [[홍진호]] - 콩간지 스포츠 카툰계의 다크호스로 떠오르며 야구 웹툰은 [[샤다라빠]], [[최훈]], 불암의 3강 체제로 개편되었다.(바운스킴과 황지성도 꾸준히 롱런중)[* 부작용으로 요즘 네이버 최훈 카툰 올라오면 리플들이 '불암 vs 최훈'으로 도배가 된다. 베플도 상당수.][* 샤다라빠는 롯갤에서 연재중단 사유에 관해 답변했는데.... '기본적으로 야구는 롯데 말고는 잘 몰라서 전구단을 다뤄야하는 웹툰연재가 힘들었다.'라고 말했다. 대신 '''롯데만''' 다룬 꼴데툰은 지속적으로 비정규 연재중.] 천재와 골수 야갤러라는 극단의 [[http://news.nate.com/spo/cartoonList?cp=zv|평가]]를 받는 중. 그러나 작가의 이전작 [[이블승엽]]에 비해서는 '''매우 순화된 단계.''' 그런데 정작 네이트에서 [[이블승엽]]을 같이 연재했다.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TD]]라는 용어를 대중화 시킨 장본인이다. 이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으나, 분명한 것은 이 만화 [[http://sports.news.nate.com/view/20090706n14757?mid=s1004&isq=3498|수비방해 편]]이 나오기 전에 DTD라는 용어를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Down Team is Down]]으로 사용한 사람은 없었거나 극히 드물었다는 점이다. 특히 [[조인성(야구)|바깥양반]]이라는 편에서 대차게 까면서 '조바깥'이라는 별명이 붙게 한 결정적 만화가 되었다. 야구계의 각종 드립이나 기담에도 능통하며, 그로 인해 만화 내에서도 드립의 주인공들인 [[요시 그란도 시즌]]의 [[백인천]], DTD의 [[김재박]], [[장사하자]]의 [[이장석]]이 단골 수준으로 자주 나온다. 약물 복용 하면 매번 나오는 선수들은 [[배리 본즈]], [[알렉스 로드리게스]], [[최진행]]. 이상하게 [[삼성 라이온즈]]는 만화에 잘 등장하지 않는다. 의외로 소스감이 많은데도 안 나온다. 어느 정도냐면 '야구의 신'편에서는 7대구단이 한꺼번에 모두 출동했는데 삼성은 마지막에 한 컷, '''그나마 인간으로 나오지도 않았다.''' 그나마 [[선동열]]이 감독이던 시절에는 선동열이 가끔 나왔는데 감독이 바뀐 이후로는 [[그런거 없다]].[* 그래도 몇 편 나오기는 했다.[[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908n14606?mid=s1004&isq=3969|1]][[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506n08261?mid=s1004&isq=3969|2]][[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406n04070?mid=s1004&isq=3969|3]][[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29n03374?mid=s1004&isq=3969|4]][[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514n05895?mid=s1004&isq=3498|5]][[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418n05606?mid=s1004&isq=3498|6]][[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29n03374?mid=s1004&isq=3498|7]][[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21n04463?mid=s1004&isq=3498|8]]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대개 한두컷이거나 모든 구단이 다 등장하는 편이다.] [[2011 한국시리즈]]는 아예 통으로 날아갔다.[* 2011 플레이오프는 롯데와 SK가 5차전까지 꽉꽉 채웠던 반면 한국시리즈는 삼성이 4승 1패로 우승하면서 너무 빨리 끝나버렸다. 그래서 플레이오프 다음화에서 그것에 자신이 멘붕한 모습을 초반에 보여준다.] 이것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 등에서는 최의민이 삼까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이것 때문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2012년 들어서면서 삼성 라이온즈의 비중이 굉장히 올라갔다. [[2012년 한국시리즈]]만으로도 세 편을 그려서 내기도 했고. 게다가 2013년 한동안 휴재하다가 복귀하면서 그린 만화는 [[채태인]]을 칭찬하는 내용. 다음화에서 9개 구단 중 삼성만 안나오면서 또다시 삼성의 공기화가 진행되는가 했지만...[* 내용이 [[설국열차]] 패러디인데, 삼성은 정체가 곧 스포일러인 역할(윌포드 및 엔진실)이라서 일부러 안 그린 것일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있다.] 바로 다음화에서 조동찬을 응원하는 만화를 그려내며 삼까라는 기존의 이미지에 맞지 않게 삼성을 칭찬하는 웹툰을 많이 그려내고 있다.[* 사실 2009년에 진갑용이 부상당했을 당시 진갑용의 쾌유와 삼성 4강을 기원하는 만화를 따로 하단에 그려준걸로 봤을땐 굳이 삼까라 하기도 애매하다. 애초에 까였으면 4강 갈거라는 내용으로 그렸을까?] 그런데 [[2013년 한국시리즈]]가 종료되고도 한국시리즈를 결산하는 만화가 11월 9일에 뒤늦게 올라왔다. 이 후 2014년 최종전편에서 사실상 삼까가 아님이 확정되었다. 2015년도 [[김호령]]에게 인사이드 파크 모텔을 선사하는 [[김상수(타자)|김상수]]가 나오고, [[AOA(아이돌)|사뿐사뿐]] 걸어가는 나바로에게 새로운 주루코치 [[트래비스 블랙클리]]가 부임하는 깨알같은 장면까지... 사실 삼성은 개성있는 개그캐가 많긴 하지만 2015년까지 5년 연속 페넌트레이스 1위를 바라보는 팀이기에, 결국 만화에서는 '리그의 절대자' 역할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전개 == === 2009년 === [[네이트]] 첫 데뷔작인 '위기 탈출법'을 적절히 띄워놨지만... 후에 돔구장편이라든가, 특히 문제의 '300승'이후 이게 무슨 야구만화냐라는 식의 반응이 이어졌다. 베플이 '계란후라이가 먹고 싶다'일 정도면 말 다했다... 허나 아픈만큼 성숙해진다라고 했던가. 점차 병맛과 야구의 비율이 맞아 떨어지면서, 떨어진 명성을 복구하는가 싶더니 이윽고 '[[http://sports.news.nate.com/view/20090810n05815?mid=s1004&isq=3498|바깥양반]]' 편에서 대히트[* 세바퀴에서 조인성이 심수창에게 전화를 내며 스피드퀴즈를 하는데, 주제는 조인성의 별명이'''었'''던 앉아쏴. 이때 심수창이 '도루저지는 무슨! 우규민 세이브 하는 소리!'와 열받은 조인성이 '너 어디야'라고 물은데 대한 '''"바깥에 있다 왜!"'''라는 희대의 명언을 남긴다...]를 친다. 또한 최불암의 특이한(?) 능력은 만화 자체를 보면 그저 병맛이 묻어나오는 만화지만 그 내용에 일주일간의 경기가 모두 묻어나와 있다는 점이다. 이후 최훈을 급속도로 따라잡기 시작, 최훈 카툰의 미칠듯한 연재속도에 지친 사람들이 점차 불암쪽으로 돌아서고 있다고. 시즌 종료 후, 사람들이 팀별정리를 기대하고 있었지만 이블승엽 개정판을 네이트에 연재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휴재. 다만 노히트노런닷컴에는 이블승엽이 완결되어 올라와있다. 네이트에만 갑작스레 휴재로 올라온 이유는 흑막으로 [[이명박]]이 나올 만큼 만화에 민감한 부분이 상당히 있었고, 부적절한 내용도 많았기 때문이었다. 대표적으로 [[최희섭]]의 메이저리그식 [[자지|지자]]홈런.[* 상대팀 선발투수 홍드로가 수위높은 유니폼으로 투구를 할때 상대타자 이범호의 [[발기|타격폼이 흐트러지자]], 최희섭은 "저런건 아메리카에서는 은꼴 축에도 못 낀단 말이다!"라는 말을 던지고 타석에 들어선다. 이후 큰 파울타구를 날리고 곧이어 야구 배트처럼 커진 그곳으로 공을 받아쳐(!) 담장을 넘겨올린다. 그리고 세계 최초 장외 몸에 맞는 볼(...)로 1루에 진출한다. 1루를 밟으며 세레모니를 하는 것은 덤.] === 2010년 === 하지만 2010년 3월 30일, '커태 X [[강귀태|귀태]]'로 시즌 개막과 함께 돌아오게 된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00427n15799?mid=s1004&isq=3498|'유도탄과 핵폭탄' 편(4월 27일)]]에서 [[기아 타이거즈]]와 [[넥센 히어로즈]]전에서 있었던 오심과 편파해설에 대해 그 어떤 기자도 하지 못한 말을 해주며 야구 팬들의 체증을 쑥 내려가게 해줬다.[* 최훈도 편파해설+오심을 언급하긴 했지만 야갤러들은 불암콩콩의 만화를 한수 위로 쳐줬다.] 거기다 여기에만 얽매이지 않고 대책없는 [[홍어]]드립도 함께 깠다.[* 하지만 이 만화 이후 장기간의 휴재로 야갤러들 사이에선 '''홍어땜시 짤렸다'''라는 루머가 흉흉했다. 게다가 그 이유로 지목된 것이 그 편 안에 진성야갤러들만 아는 홍어드립이 숨어있었다.(영광굴비~ 니가 우째~로 나오는 [[무등산관광]] 가사) 뭐 떡밥으로 쓰기 뭐하니 작작 홍어드립치라는 불암갑의 메시지도 숨어있었다.] 5월 25일에는 심판들의 무분별한 퇴장 명령을 깠는데, 노히트노런에는 관둬야 하나 일주일을 고민했다고 한다. 그리고 만화 말미에 얼마 전 죽은 전 KIA 용병 [[호세 리마]]를 그려 그를 애도하기도 했다. 6월 11일에 그린 월드컵 특집에서는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이운재]]의 싸인 = 수원의 유명 고짓집 인증서설[* 이운재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 레전드여서 그런지 예전부터 수원의 유명 고깃집치고 이운재 사인이 없는 곳이 없어서, 수원 사람들은 고깃집에 이운재 사인이 있느냐 없느냐로 이 집이 좋은 고깃집인지를 파악한다고 카더라.]을 이야기 했다. 연재주기가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2010년 7월 6일 이후 '''1달 째''' 네이트 연재분이 없다. 슬슬 [[최훈]] 따라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아니 최훈을 넘어섰다. 그런데 최훈에 비해서는 까이는 정도가 훨씬 덜하다(...).[* 최훈은 본인이 자초한 탓도 있지만 이틀만 늦어도 '''정신나간 놈'''이라는 말이 올라올 정도.] 마구마구 입야구 만화 이후로 아무런 소식이 없어 '''[[렙토스피라]]에 감염되어 카보베르데로 출국, 치료를 받고 있다더라'''[* 이 글의 원본을 세로드립하면 '''트랩카드'''가 나온다. 낚시.], '''마구마구 홍보만화를 그려주고 받은 엘리트 카드 조합했다 시망(...)'''했다더라 하는 소문만 무성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부람갑이 죽었슴다''','''내만내(내려갈 만화가는 내려간다)''' 등의 댓글을 달고 있었으나 8월 25일, '이대로 죽을 수 없다'며 [[http://www.nohitnorun.com/234|다시 등장]], 야갤러들을 환호케하고 있다. 참고로 이말년이 말하길 '''똥꼬가 터졌다'''고 한다. 하지만 그 후로 또 [[버로우]]. [[이종범]]=[[이호성]] 패러디 해명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igers&no=1008797&page=1&search_pos=-1003889&k_type=1100&keyword=%EB%B6%88%EC%95%94&bbs=|#]] 네이트에 [[http://news.nate.com/view/20101001n03833?mid=s1004|준플레이오프만화]]를 올렸다. 생존신고 완료... 수많은 억측들을 다 낚시라고 일축했다. 다만 '''슬럼프'''(뇌에 무좀난거 같다고 표현)여서 놀았다고. 사람들은 '다 좋은데 근황이라도 밝히라'며 어쨌든 돌아왔으니 다행이라는 반응. 그런데 광저우 만화에서는 윤석민 공황장애와 김광현의 안면장애 묘사에서 패럴림픽 비하로 인해 까이고 있다. 사실 패럴림픽은 장애인 측에서 들고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지라 건드리기 민감한 부분이었고, 결국 작가가 댓글란에 사과글을 쓴 뒤 관련 만화는 하루만에 삭제. 본인도 자신이 경솔하였단 것을 인정하였지만 쏟아지는 비판 및 악플들과 불암甲의 팬들이 키배를 벌이면서 여러모로 불안한 상태이다... 야갤에서는 결국.. 아니 올 것이 왔다는 반응. 야갤 떡밥(소재)으로 만든 만화를 정반대의 속성[* 야갤이 마초적인 분위기인 반면 네이트는 미니홈피 때문에 여성의 의견이 많은 편이다.]을 가진 네이트에서 올린 것 치고 지금까지 버틴 것도 신기한 것이다. [[http://dcimg1.dcinside.com/viewimage.php?id=baseball_new&no=29bcc427b78377a16fb3dab004c86b6fcc182254367d30ef24fc9127ec2020c8f7f929df9bda13026faef8d2083e9a7ac57fd407e4f929481a8a636c82a0bb150a8792779f96f2efd44f6be2cb6607a4ef&f_no=a0513cac3106b45f9bf1fc8531.JPG]] 삭제로 원작은 볼 수 없는 명장면. 이 짤 하나로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야구가 모두 설명된다. [[http://www.nohitnorun.com/240|새 만화를 올리면서 자신의 홈피에 민주화, 홍어드립 같은 지역드립 그만하라는 글을 썼다.]] 하지만 네이트 베플은 이미 광란 상태. 2009년부터 골든글러브 시상자를 예상하고 있는데, 2009년에는 강봉규, 강정호, 2010년에는 이용규 빼고 다 맞췄다. 그나마도 2009년에는 강봉규와 이택근 사이에서, 2010년에는 이용규와 이종욱 사이에서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골글 예상을 전부 적중시키지 못한다면 [[도봉산]]에서 헤드스핀을 하겠다고 약속했고[[http://news.nate.com/view/20101205n04498?mid=s1004|3]] 실제로 저질렀다.[[http://news.nate.com/view/20101214n10346?mid=s1004|#]] === 2011년 === 2011년 6월 13일 '나는 7위다'를 마지막으로 연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가의 근황을 걱정하는 댓글들이 대거 올라오고 있다. 게다가 최불암이 운영하는 개인 사이트 '노히트노런 닷컴'의 도메인이 짤렸다. [[http://lupin3.tistory.com/|노히트노런에서 넘어가는 블로그 자체는 아직 살아있다]]. 7월 21일 '레전드 열전'에 '[[한대화]]' 편이 올라온 것이 확인되었다. 8월4일, '부당거래'를 올리며 2달만에 연재 재개.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공백이 있었던 이유가 건강이상이 생겨서였다고 한다. 하여튼 2011년 9월 기준으로는 다시 연재가 충실해졌다. [[2011년]] 3월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21n04463|2011 시범만화]] 편에서 '''[[홍진호|콩]]을 까더니''' [[추석]]에 올라온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912n04477?mid=s1004|추석선물]] 편에서는 '''시작부터 콩을 까고 있다'''. 2009년에 비해 2010년과 2011년 연재 횟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한 때는 평균 연재 간격이 [[직구와 조크볼]]보다도 더 길었다. === 2012년 === 그러다가 2012년부터 다시 꾸준히 연재되나 싶었으나, 6월 6일 '완투쓰리포' 편을 마지막으로 아무 공지도 없이 연재가 끊겼다. 연재를 중단했다면 사과는 고사하더라도 해명이나 알림글이라도 올려야 하는데 아무 말도 없이 갑자기 연재를 중단해버려서 엄청나게 욕을 얻어먹었다. 개인 홈페이지에 공지를 올리긴 했으나 그 내용은 [[http://www.nohitnorun.com/320|잘못된 자세로 작업하다 허리 망가지고 슬럼프라 못하겠다며 곧 돌아오겠다는 매우매우 성의없는 짤막글.]] 저 '공지'를 쓴 게 6월 초인데 시즌이 끝나가도록 단 한 번도 네이트로 연재만화가 올라오지 않았다. 그림을 그리지 못할 정도로 상태가 심하다면 설명을 하면 될 터인데 그냥 "[[이범호|허리아프고 슬럼프와서 그림 못그리겠다]]"식으로 표현한 게 문제. 독자들에 대한 예의는 물론 프로 의식조차 의심받는 꼴이었다. 2012년 10월 9일 '''준플레이오프 시즌이 시작되자''' [[박준서]]의 뜬금포 드립과 함께 돌아왔다!! 허나 작가는 '''석굴암'''. 노히트노런닷컴에 의하면 "불암콩콩은 뇌염모기쏘여서 뒤져씀 그래서 제가 옴 반갑습니다" 자, 다들 새작가 석굴암의 그레이트 콩콩 코믹스를 축하해주자(...) 그러나 2012년 10월 14일자 준PO카툰에서 ''최불암''이 '석굴암 이타이이타이병 걸려서 죽었다'면서 다시 돌아왔다. 결국 포스트시즌 한 달 사이에 7편을 올렸다, 준플로 두 편, 플옵으로 두 편, 그리고 코시로 무려 세 편. 4개월의 공백은 이 한달을 위한 것이었을까? === 2013년 === 그리고 '''2013년'''... 1월 19일 스타트를 끊고 4월 16일 현재까지 '''매주 쉬지 않고''' 연재했다. 그러나 한화가 승리한 이후로 귀신같이 연재가 밀려서 4월 16일 후 한달넘게 신작이 감감무소식. 다만 4월 초부터 [[Daum]]에서 [[게토레이]] 퍼펙트 플레이어를 다루는 웹툰을 매주마다 연재하고 있다. [[http://sports.media.daum.net/cartoon/series/gettoperpect/|보러가기]] 2013년 8월 2일 [[채태인|채천재]]편으로 귀환했다. 게다가 성실연재모드로 돌입한 듯... 인줄 알았는데 진격의 LG편 이후로 또 연재 안하고 있다가 10월 9일 준플레이오프 특집을 올리며 다시 재개. 그리고 12월 4일에 골덴 글러브편을 연재하며 아직 건재함을 알렸다. 그 이후로,또 만나자 히어로즈편과 위대한 가을야구 편을 공개하기도 했으나,2013 한국시리즈편을 공개를 한 이후로는 또 소식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니 결국 [[http://sports.news.nate.com/view/20131109n06514?mid=s1004|2013 참피온]]이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이로서 2011년과 같은 사태는 일어나지 않은 셈. === 2014년 === 3월 10일에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310n07163?mid=s1004|겨울왕국을 패러디한 '''겨울 공화국''']]으로 스타트를 끊었다. 2014년 첫 스타트를 끊은 회차인만큼 댓글란은 간만에 최의민의 약빨이를 칭송하는 댓글로 폭발하였다. 그리고 마구마구에서 짤렸던 레전드카툰을 부활시켜 [[박경완]]편을 그렸다. [[파일:attachment/322.png]] 박경완 특집편이 끝난 후 올린 개막전 편에서 오류가 있었다. 정신병자 드립으로 [[박한이]]의 에러를 깠는데 이날 경기를 봤다면 [[정형식]] 대신 박한이를 깐다는게 말이 안된다. 이게 왜 말이 안되냐면 간단하게 설명해서 '''정형식이 개막전 한경기 때문에 2014년 항목이 따로 분리될 정도였다. 게다가 박한이의 에러 자체도 박한이가 실수한게 아니라 정형식이 자기 수비범위를 무시하고 박한이에게 [[개돌]]하는 바람에 벌어진 일이다.''' 왜 이런 말도 안되는 오류가 난건지 추측해본다면 경기 내용은 확인도 안하고 기록에 박한이 에러가 있으니 대충 [[정신병자]] 드립을 끼워 맞춘 듯하다. 게다가 하필 같은 네이트에서 연재하는 황지성의 야Talk에서도 똑같이 박한이만 까는 병크를 저지르기도 했다. 자세한 정황은 [[박한이/2014년]] 문서와 [[정형식/2014년]] 문서를 참고. 그리고 초기 개막전 판에서 [[김광현]] 관뚜껑 이야기를 쓰는 준 [[고인드립]]성 내용을 올렸는데, 이를 본 SK팬들의 항의가 들어와 김광현이 나온 장면을 삭제했다. 이 후 홈런풍년 편이 연재되었으며 이어진 [[세월호]] 특집편에서는 평소와는 달리 드립은 철저히 배제하고 [[류현진]]이 세월호 참사를 생각하며 뛰었다는 내용을 통해 세월호 실종자들의 무사 복귀염원 카툰을 그려 많은 호평을 받았다. 그 다음에 나온 한화와 LG간의 벤치 클리어링 특집에서는 간만에 드립력을 폭발 시켰으나 일부 한화팬들로부터 LG의 잘못인데 왜 한화도 똑같이 잘못한 것처럼 그리냐는 항의를 받기도 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연재된 홍보웹툰인 아드레날린 편에서는 그야말로 드립의 절정을 이루며 돈을 따로 받아야 열심히 하냐(...)는 소리와 함께 큰 호평을 받았으며, 이어지는 저지먼트 데이에서는 심판을 찰지게 까면서 다시금 호평을 받아내는 등 2014년 4월 연재분들은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호평도 잠시, 4월 28일 연재분 이후 한달동안 업데이트가 없어서 다시 까일 조짐이 보이고 있다...가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609n09988?mid=s1004&isq=3969|6월 9일에 드디어 하나 올라왔다.]] 그런데 [[애비메탈|마무리 부분]]이 역대급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다시 까방권을 획득했다. 6월 25일에는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625n27524?mid=s1004&isq=3969|하늘이 돕는다 2]]편이 업로드되었다. 7월 11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711n06336?mid=s1004&isq=3969|하늘땅 별땅]]편이 업로드되었는데, 엄청난 논란 끝에 사퇴한 [[홍명보]] 디스와 더불어 [[김응용]]까지 한큐에 까며 상처받은 국민과 한화팬들의 마음을 달래 주었다.로 할 것을... 다음 편은 8월 25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825n15750?mid=s1004&isq=3498|4강이 뭐길래]]. 본격적으로 피터지는 4강 싸움을 치르고 있는 팀들을 다뤘다. 특히 근래 이슈화된 [[롯데월드몰|제2롯데월드]]+[[싱크홀]], [[아이스 버킷 챌린지]] 등의 소재를 다룬 것이 백미. 여기서 한화는 그냥 고춧가루도 아니고 고춧가루 탄 물을 뿌린다. [[아이스 버킷 챌린지|얼음도 동동 띄워서]]...깨알같이 까는 실력은 변함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런데 며칠 후, 믿을 수 없는 광경이 펼쳐진다...'''5일 후인 8월 30일에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830n05951?mid=s1004&isq=3498|주먹이 운다]] 편으로 다시 돌아온 것!''' [[말죽거리 잔혹사]]의 배경을 패러디했다. 그런데 주인공이 '''한화''', 심지어 NC나 넥센은 털리는 역할로라도 나오지 나머지는 언급도 없다. 다만 최근 한화가 무서운 경기력을 보여주었던 것은 사실이었다. [[이재학]], [[찰리]]를 상대로 승리, 넥센전 5점차 뒤진 상태에서 끝내 따라붙어 연장 역전승리.. . 9월 9일에는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909n11914?mid=s1004&isq=3969|추석증후군]] 편이 올라왔다. 아시안게임이 코앞에 다가온 9월 20일에[[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920n07166?mid=s1004|방심하지마]] 편이 올라왔다. 내용은 간단히 전례 [[타이중 참사]]를 잊지 말라는 아시안게임 예고이나 역시 언제나 그렇듯 재미와 분량은 충분하다. 아시안게임 태국전을 마치고 9월 23일 경기를 정리하는 내용으로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923n04959?mid=s1004|태국과 한국]] 편이 올라왔다. 구설수에 올랐던 목동구장 조명문제, 보는 사람이 안타까워지는 예능수비 등을 다뤘다. 최선을 다해준 태국 대표팀에게도 예의를 표하는 모습이었다. 9월 29일 아시안게임 경기를 모두 마치고 [[왔다! 장보리|결방된 어떤 드라마]]를 패러디한 제목의[[http://sports.news.nate.com/view/20140929n19475?mid=s1004|왔다! 금메달]] 을 올렸다. 적절한 [[나지완]] 디스와 [[맹승지]] 디스가 볼거리. 더불어 왔다! 장보리의 등장인물 등장도 깨알요소. 10월에는 무려 4차례나 연재하며 성실모드로 달리고 있다. [[비정상회담]]을 패러디한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014n05854|정상아닌 회담]] 편으로 [[유네스키 마야]]의 법규 사건을 재치있게 풍자했다. 최종전 직전에도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017n36480|불암콩콩]]이 올라왔는데 첫 컷부터 컬러로 삼성 선수들을 그려내며 사실상 삼성 안티설은 묻혔다. 물론 삼성빼고 야구하자(...)는 내용도 있지만 이건 까려는 멘트보단 칭찬에 가까우므로 패스. 이날 카툰은 내용은 짧았으나 LG와 SK의 상황을 적절하게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스트시즌에 접어들자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021n06362|2014 가을야구]] 편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027n05755|신나는 준플레이오프]] 편으로 준플레이오프를 집어삼킨 [[선동열|두]] [[김성근|감독]]의 [[미친 존재감]]을 제대로 묘사했다. 그러나 한국시리즈가 다 끝난 시점에 코시편은 고사하고 플옵편도 올라오지 않는 것으로 봐서 Again 2011이 될듯하다. 그나마 실드를 쳐주자면 올해는 포스트 시즌이 정말 유행을 타지 못했다. 왜냐하면 야구 외의 사건이 많이 터져서이다. 그래도 이 정도로 안 올리는 건 문제가 있다. 노히트노런닷컴을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여전히 작가 글이나 최근 작가의 근황을 말해주는 말이 없어 불암콩콩코믹스를 보는 팬들의 심정은 답답할 노릇이다. 결국 한국시리즈는 생략하고 대신 골글 예측편 첫컷을 삼성 우승 축하컷을 무려 '''컬러'''로 올리는 것으로 대신했다. 한편 2014년 골글은 워낙 예측 난이도가 쉬웠던지라 이번에는 불암갑의 골글 예측 실패 징크스가 드디어 깨졌다. 섣달 그믐날이 되어 [[인터스텔라]]를 패러디하여 2014 시즌을 정리한 [[http://sports.news.nate.com/view/20141231n14077?mid=s1014&isq=3498|크보스텔라]](영화 약스포 주의) 편이 연재되었다. [[매튜 매커너히|매튜]] [[야민정음|맥'''귀'''너히]]와 [[앤 해서웨이|앤 해서왜이]]가 '''[[현대 스텔라|스텔라]]'''를 타고 크보 행성들을 탐험한다. === 2015년 === ==== 네이트 ==== 2015년이 시작되자마자 네이트의 모든 스포츠 웹툰과 한개를 제외한 모든 칼럼들이 타 매체로 이적하거나 연재 종료를 선언하면서 불암콩콩코믹스 역시 연재종료의 전철을 밟을까 우려의 시선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더욱이 네이트의 카툰과 칼럼이 모두 연중되며 네이트의 '스포츠 Pub' 섹션이 아예 사라져 버렸다. 현재 나무위키에 연결되어 있는 불암콩콩코믹스 링크를 클릭하면 네이트 스포츠란으로 갔다(불암콩콩코믹스 만화란이 아닌). 즉, 이제 왠만하면 네이트에서 연재 끝났다는 시선들이 많았는데... 3/27일자로 신작이 나왔다! 2015년에도 네이트에서 연재를 계속 한다는 이야기. 내용은 [[무한도전 식스맨 : 시크릿 멤버]] 특집을 패러디하여 무도 멤버들이 2015년 무한도전에 나설 KBO 구단들을 탐사하는 플롯이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327n19697|거친 그놈들이 돌아왔다]] 3월 30일 개막 2연전을 모두 극적인 역전승으로 장식한 KIA의 이야기를 담은 [[http://news.nate.com/view/20150330n15650|느낌소굿]] 편이 연재되었다. 야구친구 연재로 인해 네이트에서의 연재가 끝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지만, 4월 6일 네이트에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406n11120|거포들이 돌아왔다]]' 편을 연재하면서 건재함을 알렸다. 이 연재를 기점으로 불암콩콩코믹스 만화란이 다시 생겼다. 4월 14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414n08295?mid=s1014&isq=3498|롯데-한화 간 벤치클리어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4월 27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427n11620?mid=s1014&isq=3498|혜자 혜자 김헤자]] 편으로 돌아왔는데 여기서 본인이 밝히길 '''"한화가 없으면 만화가 안나와요. 잉잉".''' 5월 6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506n07664?mid=s1014&isq=3498|분노의 주먹]] 편에서는 [[메이웨더 vs 파퀴아오]]의 복싱 경기를 깠다. 5월 18일 [[http://news.nate.com/view/20150518n10382|역주행]]편이 올라왔다. LG의 성적 부진과 넥한전을 다루었다. 6월 1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601n20636?mid=s1014&isq=3498|공룡시대]]편이 올라왔다. NC의 5월 야구평정과 이호준의 미친 타점을 주제로 다뤘다. 7월 7일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707n11112?mid=s1014&isq=3498|발로킹]]편이 올라왔다. 고영민의 2루 블로킹 논란을 다루고 있다. 야구 친구에서도 3연속으로 지연 연재를 시전한 것으로 보아 소재가 떠오르지 않는 것 같다. 이후 야친에서만 계속 업데이트 되었고 시즌이 끝날 때까지 네이트에서는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 ==== 야구친구 ==== 그런데 4월 3일 카카오톡 [[야구친구]]에서도 매주 금요일마다 연재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야친 불암콩콩코믹스의 첫 작품은 '[[http://www.yachin.co.kr/w/71/2|참 좋은 시절]]' 편. 4월 9일 이성열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면서 자타공인 뽕열빠 불암갑의 차기작이 팬들의 관심을 끌었는데, 아니나다를까 영화 [[위플래쉬]]를 패러디한 '[[http://yachin.co.kr/w/71/4|봉플래쉬]]라는 절정의 병맛을 담아낸 명작을 선보이며 그의 성열사랑을 다시금 만천하에 알렸다. 4월 17일 잠실에서 기묘한 퍼포먼스를 보여준 김기태 감독을 다룬 [[http://www.yachin.co.kr/w/71/6|잠실흙침대]]편이 올라왔다. 4월 24일 극한의 스릴을 보여주는 롯데불펜을 '''[[http://www.yachin.co.kr/w/71/8|롯데시네마]]'''에서 다루었다. 5월 1일 짧고 굻게 4월 각 구단을 총평한 [[http://yachin.co.kr/w/71/10|4월야구끝]]편을 연재했다. 5월 8일 매번이 개싸움의 향연인(...) [[http://www.yachin.co.kr/w/71/11|한화대KT]]전을 그렸다. 5월 15일 크보에서 성행하는 야구의 막장행보를 다룬 [[http://www.yachin.co.kr/w/71/13|창의력야구]]를 그렸다. 5월 22일 삼성에게 깨끗하게 시리즈를 내준 두산을 다룬 [[http://www.yachin.co.kr/w/71/15|곰과사자]]를 그렸다. 5월 29일 [[마산구장 공 투척 사건|NC와 두산의 벤치 클리어링 사건]]을 다룬 [[http://www.yachin.co.kr/w/71/16|고백은 바로바로]]편을 그렸다. 7월 31일 크보의 핫한 선수들을 [[http://www.yachin.co.kr/w/71/32|복면야왕]]에서 다뤘다. 8월 23일에는 최근 북한의 도발때문에 다룬 [[http://www.yachin.co.kr/w/71/39|전쟁과 평화]]가 나왔다. 그뒤로 야구친구에서도 매주 꾸준히 연재중이나, (카카오톡으로 매번 받아본다면야 쉽지만) 컴퓨터로 확인하려면 아직 야구친구 홈페이지가 개설되지 않아 정리되어 있는 곳은 없고 일일이 만화 업로드일에 매일 페이스북 야친 페이지에 접속해 주소를 확인해야 한다. 그나마 작가 홈페이지에 [[http://www.nohitnorun.com/category/%EB%B6%88%EC%95%94%EC%BD%A9%EC%BD%A9%EC%BD%94%EB%AF%B9%EC%8A%A4/%EB%B6%88%EC%95%94%EC%BD%A9%EC%BD%A9for%EC%95%BC%EC%B9%9C|야친 수록 만화들을 올리고 있다.]] 매주 금요일에 올라가지만 6월19일자 연재는 6월 21일에 올라왔고 7월 3일자 연재도 7월 5일에 올라왔다. 사정때문에 일요일에 올리는 경우도 있는뜻 하다. 9월 11일은 [[더 지니어스]]를 패러디한 [[http://www.yachin.co.kr/w/71/45|더 야니어스]] 편이 연재되었다. 9월 25일에는 [[http://www.yachin.co.kr/w/71/49|칠테면쳐봐]] 라는 편이 야구친구에 등록되었다. [[위 고 노리치|잘들어, 우린 잠실로 간다!]] 드립과 [[https://youtu.be/HPPL8WoBdcc|박병호와 박석민의 충돌]]까지 다루었다. 10월 2일에는 [[http://yachin.co.kr/w/71/51|앗!뜨거웠던9월]] 편이 연재되었다. 이것은 [[이영표]]의 나이키 광고 패러디로 이영표 역할을 삼성의 [[류중일]] 감독이 맡았다. 물론 사실상 내용을 보자면 한화 헌정편이었다. 10월 15일에는 [[http://www.yachin.co.kr/w/71/54|준PO를 다루었다]]. 10월 25일 [[http://www.yachin.co.kr/w/71/57|PO를 다루었다]]. 10월 31일에는 [[http://www.yachin.co.kr/w/71/59|한국시리즈]], 11월 6일에는 [[http://www.yachin.co.kr/w/71/60|한국시리즈 에필로그편]]이 올라왔다. 11월 6일 이후로는 비시즌 기간이라 매주 연재에서 격주 연재로 바뀌었다. 11월 21일 [[2015 WBSC 프리미어 12]]를 다룬 내용이 올라왔다.[[http://www.yachin.co.kr/w/71/64|보러가기]] [[2015 WBSC 프리미어 12/논란|이번 대회의 각종 병크들]]과 19일에 치러진 [[도쿄 대첩(야구)|4강 한일전]]을 약 한사발 거하게 말아서 보여줬다는 평. [[http://www.yachin.co.kr/w/71/68|격주 연재로 인해 2015 골글예상을 건너 뛰게 되었다]]. === 2016년 === 네이트 스포츠의 스포츠PUB에서 불암콩콩코믹스 메뉴가 아예 사라져버렸다.[* 다만 이전 링크를 타고 접속하는건 가능] 이제 야구친구에서만 연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1월 4일에 원숭이의 해를 맞아 원숭이띠와 원숭이 얼굴로 선수들을 연관지은 [[http://www.yachin.co.kr/w/71/71|원숭이의 기운]]편이 올라왔다. 그리고 이 편을 끝으로 크보가 개막하고 나서도 별다른 공지 없이 야친 만화는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다. 대신 3월 23일부터 슬러거 모바일 홍보 만화를 연재중이다. 총 8편이라고 하며[* 그런데 총13편이 올라왔다.], 첫편에서 빠던을 다뤘다. [[http://cafe.naver.com/sluggerm/36|보러가기]] 30일 올라온 2편에선 슈가맨을 패러디했다. 첫 노히트노런의 주인공 방수원, 데뷔 첫타석 대타 초구 끝내기 만루홈런의 송원국이 나왔다. [[http://cafe.naver.com/sluggerm/136|보러가기]] 4월 7일에는 [[김재박]]과 함께 야구의 과학에 대한 내용을 그렸다. [[http://cafe.naver.com/sluggerm/345|보러가기]] 그리고 제 12편인 그라운드의 악동 편이 연재되고 야친으로 컴백하나 했는데... '''2016년 11월 25일까지도 연재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1월 야구친구에 올린 만화 이후로 정식 만화는 연재되지 않은 상태이다. 노히트노런닷컴에도 공지 등은 없고 휴재상태로 보인다. 그런데 12월 8일, [[http://www.yachin.co.kr/w/71/74|2016 골든글라부]]편으로 1월 4일 이후 야구친구에 332일만에 돌아왔다. 이후 연재가 지속될지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다. 2016년 12월 30일까지 연재되지 않고 있을뿐더러 3주나 연재를 쉬고 있다. === 2017년 이후 === '''[[4월 7일]]에 둘이 합쳐 0.3톤 편으로 오랜만에 다시 돌아왔다.''' 하지만 노히트노런에만 올렸고 [[야구친구]]에는 올리지 않았다. [[4월 12일]]에 토토왕 편을 노히트노런에 연재했다. [[4월 29일]]에는 못 살겠다 토토왕 편을 노히트노런에 연재했다. 앞으로는 야구친구에 안올리고 노히트노런에만 올리는 듯하다. 그러나 그의 종특은 어디 안 가서 다음 연재는 두 달이 지난 6월 30일에 [[황재균]]의 MLB 데뷔 기념으로 올라온 '황 더 드림 재균' 편이었다. 그리고 또 연재 중단. 2018년 이후로는 1월 1일에 안부글만 올리는 안부인사 전문 블로그가 되어버렸다. 웹툰 재개는 기약조차 할 수 없는 상태다. 2020년부터는 새해인사조차 올라오지 않았고, 제일 좋아하는 야구 선수 [[이성열(1984)|이성열]]이 2021년 10월 30일 은퇴했는데도 축전 하나 올라오지 않아 야구 및 웹툰계와는 연을 끊은 듯하다. == 비판 == 가장 큰 비판은 위에서 여러 차례 언급했듯이 연재 중단이 잦고 연재 주기가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무단연재중지가 하루이틀도 아니고 연례행사마냥 매년 벌어지고 있는데다가[* 특히 2012년부터 이런 경향이 강해졌다.] 애초에 매주 무슨 요일에 올라온다고 공지한 웹툰도 아니고, 그냥 어느 날 갑자기 아이디어 떠오르면 하루이틀만에 후다닥 그려버리는 편이라 부정기 연재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이제는 네이트에서도 빠졌고 야구친구에서도 더 이상 연재가 되지 않고 있는 터라 옹호가 무의미하게 되었다. 2013년 4월 다음에서 퍼펙트 플레이어 연재를 시작하기 전까지만 해도 건강 이상이라는 쉴드가 있었지만, 이 연재 이후로는 그런 거 없다. 또한 2013년 들어서 플롯이 비슷비슷하다는 듯한 말도 있다. 예를 들어서 준플레이오프나 플레이오프 만화는 꼭 탈락한 팀이 "XXX감독 축하하오. 그대들은 자격이 있소"라며 마무리 된다던가 코시 우승 만화는 매년[* 2010년 제외. 여긴 그냥 폭발로 끝났으니] 단체사진 + 깽판으로 마무리 되는 등 비슷한 내용이 매번 반복된다는 것.[*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2013년 골든 글러브 예상만화는 아주 독해졌다.] 2015년 코시 우승 만화에서는 [[유희관|아리랑볼 던지는 D컵 좌완]]의 깽판으로 마무리. == 기타 == 이 만화에서 나온 유행어로 '홍낄낄'이 있다. 근데 2011년 이후로는 별로 이 대사가 나오지 않았다...가 2014년 들어서 다시 사용중. 두산의 용병인 [[크리스 니코스키]]가 본인을 희화화 시킨 캐릭터가 이성열과 [[이원석(1986)|이원석]]이 후로게이짓을 하는 걸 보고 '''[[박재범/2PM 영구탈퇴 사건|Korea is gay]]'''라 말하는 컷을 발견하고 자신의 [[트위터]]에서 해당 만화에 대하여 물어봤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090914n09217|해당 회차]]) 자기 머리가 이렇게 크냐면서 물어본건 덤.[[http://blog.naver.com/yoonk4649/130069240712|#]] [[이성열(1984)|이성열]]과 [[이승엽]]빠다. 과거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참고로 2010년 이성열 포텐 폭발을 예언했고 [[http://sports.news.nate.com/view/20090914n09217|맞혔다.]] 관중들은 [[드래곤볼]] 캐릭터(주로 [[베지터]]와 [[프리저]])랑 [[스트리트 파이터]] 캐릭터(주로 [[장기에프]]와 [[달심]])가 주로 나온다. [[심영(야인시대)|심영]]과 [[의사양반]], [[뽀로로]], [[스폰지밥]]도 한번 나온 적 있다. 심지어 레전드 카툰 박찬호편엔 열혈초등학교 캐릭터들도 나온적이 있다 [[마구마구]]를 즐겨 하는지 [[이블승엽]] 때부터 [[마구마구]]가 만화 소재로 많이 등장했다. 2010년엔 [[마구마구]] 홈페이지에서 열리는 프로야구 올스타전 기념 행사 홍보물을 그리기도 했다. 2011년 5월 [[마구마구]] 홈페이지 리뉴얼 기념으로 '레전드 열전'을 연재 시작. 이 역시 깨알의 결정체이다. [[http://ma9.netmarble.net/Magazine/Cartoon/BbsListView.asp]][* 단 마구스탯의 서비스가 종료된 관계로 보려면 작가 홈페이지로 가서 봐야한다.] 2009년부터 매년 만화로 골든글러브를 예측하는데 이게 찰지게 잘 맞는다. 다만 경합을 벌이는 포지션 중에서 한 명씩은 꼭 틀리는데, 자세히 보면 맞힌 다른 선수들은 왜 그런지 이유를 친절하게 써주는데 틀린 선수들은 다 어이없는 이유를 쓴다. 그런걸로 봐서는 일부러 하나는 틀리게 하는 것 같기도 하다. * 2009년 : [[외야수]] [[강봉규]] → 실제로는 [[이택근]] 이택근은 미녀 연기자 애인이 있다. 그래서 총각 강봉규가 받는다. * 2010년 : [[외야수]] [[이용규]] → 실제로는 [[이종욱]] 이종욱이 3년 연속 골글 수상은 어렵다. * 2012년 : [[3루수]] [[박석민]] → 실제로는 [[최정]] 최정이 하나를 더 받았으니까 박석민 차례. 올해는 박석민이 더 웃겼다. * 2015년 : [[유격수]] [[김하성]] → 실제로는 [[김재호]] 빠따에서 가장 우수한 모습을 보인 김하성을 꼽을 수 밖에 없다.[* 진짜로 못 맞힌 건지, 아님 일부러 틀린거라면 가장 이유가 이유같은 케이스가 될 듯. --[[콩라인|신인왕도 놓치고 골든 글러브도 놓치고 전부 2위로 끝내고]]--] 다만 모두의 기대를 야멸차게 배신하는 이변까지는 예측하지 못하는 듯. 2009년 유격수는 [[나주환]], [[강정호]] 중에서 강정호를 찍었는데 실제 투표에서는 뜬금없이 [[손시헌]]이 되는 엄청난 논란을 불러 일으킨 적이 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아무 주저없이 [[이병규(1974)|이병규]]와 [[안치홍]]을 찍었는데 실제 투표에서는 [[손아섭]]과 [[서건창]]이 되는 바람에 논란이 일어났다. 2013년에도 또 하나만 틀렸다(...)[[오승환]]의 전례를 생각해서 [[손승락]]을 제치고 [[배영수]]가 받는다고 기껏 머리를 굴렸더니, 차마 평자 4점대 다승왕에게 골글을 주기는 기자들 양심이 찔렸는지 경합 끝에 손승락이 받았다. 2014년에는 결국 '''드디어 전부 다 맞혔다'''. 사실 이번엔 난이도가 너무 쉬워서 일부러 틀리기엔 너무 티가 나서 그냥 다 맞힌 듯. 번외판이지만 시즌 첫 경기부터 시작해 13연패 중이던 [[http://sports.news.nate.com/view/20130416n04262?mid=s1004|한화 이글스의 2013년 시즌 첫 승을 예측하는 만화]]를 그렸는데 놀랍게도 실제로 [[한화 이글스/2013년/4월|4월 16일 해당 경기에서 실제로 한화가 NC에게 승리해 첫 승을 이루며]] 재조명 받았다. 2010년 한국시리즈를 제외하고는 항상 결말이 우승사진을 찍는 장면에서 누군가 끼어들어 사진을 가득 채우는걸로 끝난다. 2009년엔 김종국, 2012년엔 박석민, 2013년은 박한이, 2015년은 유희관이다. 물론 2011년, 2014년은 안그렸으니 논외. 연재를 사실상 종료한 2019년 시점에서 [[에릭 테임즈]]가 [[https://tv.kakao.com/channel/2653205/cliplink/394916823|복면가왕에 출연]]할 것을 [[https://nohitnorun.com/437?category=514531|예언하여(2015년 야구친구 연재본)]] 오랜만에 재조명받았다. [[분류:웹툰/목록]][[분류:2009년 웹툰]][[분류:웹툰 연재처/기타]][[분류:야구 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