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도서]][[분류:한국 소설]][[분류:2021년 소설]][[분류:장편소설]][[분류:베스트셀러]] [목차] [clearfix] == 개요 == {{{+1 UNCANNY CONVENIENCE STORE}}} [[2021년]]부터 출간된 김호연 작가의 [[장편소설]] 시리즈. 2021년에 1편, [[2022년]] 2편이 출간되었다.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대표적인 벚꽃 에디션을 포함해 여러 버젼의 표지가 나왔다. 대한민국 전 서점 [[베스트셀러]] 답게 1편과 2편을 합쳐 2022년 겨울, 통합 판매부수 [[밀리언셀러|100만 부를 돌파하였다]]. [[리디]]에서 [[전자책]][[https://ridibooks.com/books/2177000101?|▶]]으로도 감상 가능하다. [[미국]]을 비롯해 [[태국]], [[대만]],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권과 [[러시아]], [[튀르키예]], [[불가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브라질]] 등 11개 언어권 13개국으로 수출됐다. 특히 대만에서는 출간 3개월 만에 성품서점(Eslite) 번역 소설 1위, 금석당서점(Kingston) ‘2022년 가장 영향력 있는 책 10권’에 선정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 발매 현황 == === 1권 === ||<-2>
{{{#ffffff '''{{{+1 불편한 편의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불편한 편의점_고화질1.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인본주의|휴먼]] || || '''작가''' ||김호연 || || '''출판사''' ||나무옆의자 || || '''출간일''' ||2021. 04. 20. || || '''전자책''' ||2021. 05. 06. || || '''쪽수''' ||268쪽 || || '''ISBN''' ||9791161571195 || ==== 벚꽃 에디션 ==== ||<-2>
{{{#ffffff '''{{{+1 불편한 편의점}}}'''[br]40만부 기념 벚꽃 에디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불편한 편의점_고화질2.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인본주의|휴먼]] || || '''작가''' ||김호연 || || '''출판사''' ||나무옆의자 || || '''출간일''' || || || '''쪽수''' ||268쪽 || || '''ISBN''' ||9791161571188 || ==== 큰글자도서 ==== ||<-2>
{{{#ffffff '''{{{+1 불편한 편의점}}}'''[br]큰글자도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불편한 편의점_고화질3.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인본주의|휴먼]] || || '''작가''' ||김호연 || || '''출판사''' ||나무옆의자 || || '''출간일''' ||2022. 08. 05. || || '''쪽수''' ||268쪽 || || '''ISBN''' ||9791161571331 || === 2권 === ||<-2>
{{{#ffffff '''{{{+1 불편한 편의점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불편한 편의점_고화질4.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인본주의|휴먼]] || || '''작가''' ||김호연 || || '''출판사''' ||나무옆의자 || || '''출간일''' ||2022. 08. 10. || || '''쪽수''' ||320쪽 || || '''ISBN''' ||9791161571379 || ==== 단풍 에디션 ==== ||<-2>
{{{#ffffff '''{{{+1 불편한 편의점 2}}}'''[br]20만부 기념 단풍 에디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불편한 편의점_고화질5.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코미디]], [[인본주의|휴먼]] || || '''작가''' ||김호연 || || '''출판사''' ||나무옆의자 || || '''출간일''' || || || '''쪽수''' ||320쪽 || || '''ISBN''' || || == 등장인물 == * '''독고''' 1편의 주인공. 쪽집게적인 행보를 보인다.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마스크를 끼는 순간, 과거를 자각했다. * '''염 여사''' 편의점 사장. * '''근배''' 2편에서 새로 온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 미디어 믹스 == [[라디오드라마]][* 김호연 작가 작품 중에선 3번째 라디오드라마화. 이전인 2016년 10월과 2018년 1월에 각각 <망원동 브라더스>와 <고스트라이터즈>가 각색되어 전파를 탄 바 있기 때문이다.], [[연극]][* 김호연 작가 작품 중에선 2번째. 이전에 <망원동 브라더스>가 무대화된 바 있기 때문이다. 마침 망원동 브라더스 연극판도 같은 시기에 공연 중이고 극단도 극단 지우로 동일한지라 재관람 할인 이벤트를 두 작품이 공유하기도 한다. 불편한 편의점 연극표를 가져오면 망원동 연극판을 싸게 볼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한 식. 3번째 무대화 작품인 <연적> 연극(23년 10월 초연)도 역시 극단이 같아서 동일하며, 패키지 판매를 하기도 한다.],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아직 제작 중이라 공개되지 않은 드라마를 제외하면 모두 1권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 라디오드라마 === 2021년 10월, KBS [[라디오 극장]]에서 오디오드라마로 방영되었다. 최초 미디어믹스로, 전 21화×19분. [[https://www.podbbang.com/channels/8800|다시듣기]]는 2023년 10월 31일까지 청취 가능.[* 라디오 극장은 방영 후 2년 이내인 작품들만 다시듣기를 할 수 있다. 그 기한이 지나면 다시듣기가 삭제되어, (아마 방송국에 보관은 되겠지만)일반인은 접할 수 없는 [[환상의 작품]]이 되어버린다(...) 이전에는 2015년 작품까지도 거슬러 올라가 들을 수 있었으나, 23년 3월부터 저작권 기한이 엄격해졌다.] 원작이 그리 분량이 많은 작품이 아니어서인지 오리지널 씬도 꽤 많은 것이 특징이다.[* 시현은 썸남 관련 스토리가 추가되었고, 원작에서는 살짝 암시만 나온 '짜몽 소년' 관련 이야기도 추가되었으며 선숙의 아들 관련 이야기, 인경의 집안 사정 이야기 등 모든 인물들의 이야기가 좀더 길어졌다. 그래서 피해자들(?)도 생겼는데 민식은 더 심하게, 오랫동안 찌질거리는 인물이 되었으며(...) 경만의 경우도 감동이 좀 반감된 느낌이 있긴 하다. 곽씨의 경우에도 과거사가 다소 생략되었다. 원작에서는 마지막 챕터에서야 밝혀지는 독고의 과거도 꽤 초중반부부터 천천히 조금씩 떡밥이 풀리는데, 그러다보니 원작에 비해 미스터리 요소가 강화되었다. 독고는 원작에서는 염 사장과 기껏해야 인경에게만 옛 이야기를 꺼냈으나 라디오드라마에서는 시현에게도 자신의 과거사를 상당히 자세하게 털어놓는 것으로 나온다.] * 독고: [[이규석(성우)]] * 염영숙: [[성선녀]] * 시현: [[이지선(성우)]] * 오선숙: [[남유정(성우)]] * 정인경: 유인선 * 그 외: 전속성우들 [[https://program.kbs.co.kr/scr/radio/theater/pc/board.html?smenu=be29bc&bbs_loc=R2002-0238-03-234022,list,none,1,0|#]] === 연극 === 음악극[* 노래가 나오지만 [[뮤지컬]]처럼 많은 수준은 아닌 장르.] 형식으로, 2023년 4월 8일부터 대학로 후암씨어터에서 [[오픈런]] 공연 중이다. 상연시간 100분. 원작에서도 그랬지만 [[옥수수수염차]]가 중요한 소재로 나온다. ~~협찬 받았으려나?~~ * 독고: 장우진, 김동준, 이강혁 * 염영숙: 조영임, 문상희, 박은영 * 시현: 정예지, 정이수, 서지영 * 오선숙: 한윤서, 홍가경, 김은지 * 경만: 김준희, 김윤희, 김서준 * 정인경: 차미연, 장희재, 임혜진 * 멀티맨[* 다른 노숙자, 진상 손님, 오선숙의 아들, 정인경의 지인 김 감독, 성형외과 원장 등.]: 김나온, 지상록 === 드라마 === [[ENA]]에서 23년 하반기 방영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