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붉은바다거북}}}[br]Loggerhead sea tur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ggerhead_sea_turtle.jpg|width=100%]]}}} || ||<#f93> [[학명|{{{#000 '''학명'''}}}]] || ''' ''Caretta caretta'' '''[br]([[Linnaeus]], 1758)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파충류|파충강]](Repti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거북|거북목]](Testudin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바다거북|바다거북과]](Cheloniidae) || || '''아과''' ||붉은바다거북아과(Carett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붉은바다거북속(Carett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붉은바다거북(''C. caretta'')'''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width=240px]] || ||<-2> '''서식 지역''' || ||<-2><#ffffff,#1f202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ggerhead_turtle_range.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붉은바다거북은 전세계 해양에 분포하는 [[바다거북]]의 일종이다. == 상세 == 성체는 갑각 길이가 약 90cm, 무게는 약 135kg 이며 최대 450kg 까지 자라며 바다거북 중에선 [[장수거북]] 다음으로 큰 종류이다. 근연종인 [[푸른바다거북]]과는 생긴건 비슷하지만 얼굴의 그물무늬 판이 없으며, 크기가 조금 더 작다. 잡식성으로 [[복족류]], [[이매패류]], [[갑각류]] 같은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으며 [[해파리]]나 [[오징어]], [[날치]] 등을 먹기도 한다. == 인간과의 관계 == 붉은바다거북은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많이 감소하여 현재 많은 국가에서 법으로 보호하고 있지만 [[멕시코]]에서는 아직까지도 바다거북의 알이 거래되고 있다. 또한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도 문제이다. 바다거북이 삼킨 플라스틱은 질식 등을 유발하며 체내에 여러가지 해로운 화학 물질이 축적되며 이러한 화학물질은 알의 껍데기를 약하게 만들거나 이상 행동을 유발하게 한다. 이외에도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VU)등급으로 등재되어 있다. == 기타 == [[몰디브 루피야|몰디브 50라리]] 주화와 [[콜롬비아 페소|콜롬비아 1천페소]] 주화에 새겨져 있다. [[분류:붉은바다거북속]][[분류:화폐의 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