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남방가재과]][[분류:수산물]][[분류:애완동물/십각목]] ||<-2> '''{{{#fff {{{+1 붉은발남방가재}}}[br]Australian red claw crayfish}}}''' || ||<-2> [[파일:cherax_quadricarinatus.webp|width=100%]] || || [[학명|'''{{{#000,#fff 학명}}}''']] || ''' ''Cherax quadricarinatus'' '''[br](von Martens, 1868)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가재하목]](Astacide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남방가재과(Parastac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남방가재속]](''Cherax'')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붉은발남방가재'''(''C. quadricarinatus'')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붉은발남방가재, 레드크로우 || || '''[[영어]]''' ||Australian red claw crayfish || [youtube(Yme4qkjjnCg, width=480px, height=270px)] [목차][clearfix] ## == 개요 == 레드크로우. [[남방가재]]의 종 중 하나. 종명은 네 개의 [[용골]]을 뜻하며, 머리에 있는 네 개의 융기선에서 유래한다. == 상세 == 몸길이 25㎝까지 자란다. 갑각은 청색 혹은 청록색이며 흰 반점으로 덮여있다. 갑각은 성장하면서 녹색에 가까워지며, 관절이 붉게 물든다. 이마뿔은 날렵하고 3~5쌍의 가시가 있고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있다. 머리에는 네 개의 융기선이 있으며, 이 중 둘은 이마뿔 뒷융기로 머리의 80%를 가로지른다. 뒷목가시는 3쌍이다. 성체 수컷은 집게의 부동지 바깥으로 탈회하여 붉은색인 영역을 가진다. 배마디 좌우로 L자형 붉은 무늬가 희미하게 나타난다. 적정 수온은 22~32℃으로 가재 중에서는 고온에 서식한다. 느린 수류의 흐르는 물이나 웅덩이에서 생활하며 우기가 되면 하류로, 건기가 되면 상류로 이동한다. 수질 변화를 매우 잘 견디며 생존 가능한 수질 폭이 넓은 편이다. 염도 17 ppt에서도 장기간 살 수 있고, [[암모니아]], [[아질산염]], 질산염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보인다. 산소 용존량이 1 ppm 이하로 매우 낮은 환경[* 민물 수조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산소 용존량은 6~8 ppm이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4 ppm 이하에서 이상행동을 보이며 2 ppm 이하에서 사망한다.]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런 높은 생존력은 계절마다 웅덩이가 메마르는 환경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호주]]의 [[노던 준주]] 북부, [[퀸즐랜드]] 북동부, [[파푸아뉴기니]]가 원산이며 호주 남부와 서부에도 인공적으로 퍼졌다. [[동남아시아]]와 [[중앙아메리카]], [[남아프리카]]에 [[생태계 교란종]]으로 나타나며, [[한국]]에도 식용 양식을 목적으로 도입했다. == [[인터섹스]] == 붉은발남방가재를 비롯한 일부 갑각류는 WZ[[성결정계]]를 가졌으며 ZZ가 수컷, WZ가 암컷으로 기능한다. 붉은발남방가재는 전체 개체의 1~8%가 WZ 유전형을 가진 인터섹스이며, 해당 개체들은 암수 모두의 생식공을 가졌지만 난소가 억제되어 수컷으로 기능한다. 갑각류는 웅선화선(androgenic gland)이 수컷의 성징을 통제하는데, 이 웅선화선을 제거하면 해당 개체는 정자 형성이 중지되고 난황 형성이 발현된다. 이 인터섹스인 WZ 수컷과 WZ 암컷의 자손은 25%가 ZZ 유전형, 50%가 WZ 유전형, 25%가 WW 유전형을 가진다. 이전까지 야생에서 자웅이체인 동물에게서 WW 암컷이 발견된 바가 없으므로 의미 있는 연구 결과다. == 사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방가재)] ||
<-2> '''{{{#444,#bbb 사육 정보}}}''' || || 크기 || 최대 25 ㎝ || || 식성 || 잡식, 잔사식 || || 수명 || 최대 5년 || || 성향 || 공격적{{{-2 (아성체)}}} / 평화적{{{-2 (성체)}}} || || 최소 용적 || 120 리터 || || 적정 온도 || 22 - 32℃ || || 적정 PH || 6.5 - 8.0 || || 적정 KH || 3 - 20 dKH || || 질산염 || 20 ㏙ 미만 || 해양 갑각류와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식감과 풍미가 뛰어나며, 생명주기가 간단하며 강인하고 단백질 먹이를 적게 요구하는 등 양식에 적합한 면모를 보여 호주에서 식용 및 관상용으로 양식되는 종이다. 다만, 식용 양식 시장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지는 못한다. 양식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종이라 남방가재 중에서 관상용으로는 가장 접근성이 높은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