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빌리 브란트)]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external/germanhistorydocs.ghi-dc.org/Brandt_Polen.jpg|width=100%]]}}} || '''{{{+2 Brandt Kniefall}}}''' 브란트의 무릎꿇기는 당시 서독 총리였던 [[빌리 브란트]]가 [[1970년]] [[12월 7일]] [[폴란드]] [[바르샤바]] [[게토]] [[유대인]] 추념비에서 쏟아지는 폭우를 맞아가며 눈물을 보이며 참회의 무릎을 꿇은 사건을 말한다.[* 당시 [[헝가리]]의 뉴스 캐스터는 "무릎을 꿇은 것은 브란트 한 사람이지만 일어선 것은 [[독일]] 민족이었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의 행동에 감동을 받은 [[폴란드 총리]] 유제프 치란키에비치는 다음 행선지로 가는 차안에서 브란트를 끌어안고 울었다. 치란키에비치 자신이 나치 강제수용소에서 살아남은 피해생존자 당사자였는데도 그랬다. 그리고 “[[용서]]한다. 그러나 잊지는 않겠다.(Forgivable, but Unforgettable)”라고 말했다. 브란트는 갑자기 머리 숙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대답했고 바르는 이를 두고 "만행을 저지르지 않은 한 사람의 머리에 떠오른 한 순간의 영감으로 우리는 [[홀로코스트|역사적인 죄과를 고백할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 == 상세 == 브란트 총리가 추념비를 방문할 때까지만 해도 폴란드인들은 서독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갖고 있었다. 이는 당연한 것이 폴란드는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내내 [[나치 독일]]에게 점령당해서 엄청난 고초를 겪은데다, 참혹한 [[독소전쟁|독일과 소련의 전투]] 와중에 전국토가 쑥대밭이 되며 자국민들이 학살당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2차 대전 종전 이후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폴란드와 독일 간의 국경선은 여전히 쟁점이었다.]] 따라서 그가 방문한다는 소식을 반가워할 리가 없었는데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인 와중에 추념비에서 갑자기 눈물을 흘리며 무릎을 꿇은 장면을 생방송으로 지켜본 뒤에는 서독에 대한 감정이 많이 좋아졌다. [[폴란드]] 총리가 브란트에게 감사의 말을 할 정도. 혹자는 당시 브란트의 파격적인 사과는 "이렇게 '''할 필요가 없는''' 그가, 이렇게 '''해야 할''' 사람들을 대신해서 무릎을 꿇었다"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이 서독이 전쟁범죄에 대해 반성하고 늬우치고 있다고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며 반독 감정이 심한 폴란드인들도 매한가지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브란트는 당시에는 보수 우익세력에게 '''[[매국노]]'''라는 비난을 들어야 했다. 왜냐하면 '''과거 영토의 소유권을 자기 마음대로 일방적으로 포기'''했기 때문이다. 영토 문제에 대해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항목 참조할 것. 당시까지만 해도 [[제2차 세계대전]] 패전으로 인해 소련 등에 의해 동방 영토를 강제로 상실한 것은 연합국의 일시적인 조치였으며, 동방 영토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회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졌다. 역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에 의해 분리되어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던 [[자르 보호령|자를란트]]의 경우 1957년 다시 외교적인 노력으로 서독이 재병합한 바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독일인들에게 통일은 [[동독]]은 물론, [[동프로이센]], [[슐레지엔]] 등 동방 영토까지 포함하는 개념이었다. [[서독]]에서는 한때 동방 영토에서 강제로 쫓겨난 실향민들이 정당을 구성하여 총선에서 수십 석씩 차지했을 정도였다. 당시 많은 독일인들은 동방 영토 역시 [[자를란트]]처럼 외교력에 의해 언젠가 되찾을 수 있을 것이며, 그래야만 한다고 믿고 있었다. 하지만 브란트가 동방 정책을 밀어붙이며 이를 위해 일방적으로 동방 영토를 포기해 버리자 대해 거센 역풍이 있었다. 특히 실향민들에게 브란트는 조상 대대로 수백년간 살아온 고유한 영토를 개인의 영달과 [[1972 뮌헨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마음대로 팔아먹은 매국노로 여겨졌을 정도이다. 야당인 기민당은 물론이고, 연정 파트너 자민당 내에서도 상당한 반발이 일어나 급기야 의회에서 불신임 결의를 받게 되었다.[* 브란트가 동독에게 경제지원을 하는 '동-서독 기본조약'까지 체결하여 반발이 더 거세졌다.] 독일연방공화국 사상 최초이자 유이한 불신임 투표가 치러졌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불신임 투표에서 2표 차이로 극적으로 부결되면서 간신히 총리직을 유지하게 된다. 2표 차이로 간신히 불신임을 면했지만 이미 연정이 붕괴되어 내각이 와해되었을 뿐만 아니라 결정적으로 의회에서 과반을 잃게 되어 향후 정권의 존립 당위성이 사라진 상태였다. 한편 당시 브란트의 불신임 투표에 [[1968년]]부터 서독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있던 [[소련]]은 발칵 뒤집어졌다. 1971년 정상회담을 통해 브란트에게 개인적 호감을 느끼기도 했던 소련 서기장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에게 개인적인 메시지를 전달해 브란트를 지켜달라고 부탁했고 [[유리 안드로포프]]는 [[독일 연방의회]]를 매수하는 계획까지 검토하기도 했다. 실제로 동독 [[슈타지]]는 브란트 불신임표를 차단하기 위해 [[기민련]]에 5만 마르크를 퍼붓기도 했다. [[분류:1970년/사건사고]][[분류:독일의 사건 사고]][[분류:폴란드의 사건 사고]][[분류:냉전]][[분류:독일-폴란드 관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빌리 브란트, version=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