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르샤쿠니 왕조 샤)] ||<-3><#000080> '''{{{#FFF 아르샤쿠니 22대 샤}}}''' [br] {{{+2 {{{#FFF '''Վռամշապուհ | 브람샤푸흐'''}}}}}} || ||<|3><#000080> '''{{{#FFF 제호}}}''' ||<#000080> '''[[한국어|{{{#FFF 한국어}}}]]''' ||브람샤푸흐 || ||<#000080> '''[[아르메니아어|{{{#FFF 아르메니아어}}}]]''' ||Վռամշապուհ || ||<#000080> '''[[영어|{{{#FFF 영어}}}]]''' ||Vramshapuh || ||<-2><#000080> '''{{{#FFF 존호}}}''' ||[[샤]] || ||<-2><#000080> '''{{{#FFF 생몰 년도}}}''' ||미상 ~ [[414년]] || ||<-2><#000080> '''{{{#FFF 재위 기간}}}''' ||[[392년]] ~ [[41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메니아]] [[아르샤쿠니 왕조]]의 22대 [[샤]]. == 생애 == 브람샤푸흐는 페르시아 이름인 '바흐람'과 '샤푸르'를 합친 바흐람-샤푸르를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한 것이다. 5세기에서 6세기에 활동했던 아르메니아 역사가 [[라자르 파르페치]]는 그를 [[호스로프 4세]]의 형제라고 기술했으며, 호스로프 4세를 왕위에 올린 [[샤푸르 3세]]와 뒤이어 왕위에 오른 [[바흐람 4세]]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기술했다. 392년 호스로프 4세가 샤한샤의 허락을 받지 않고 사하크를 아르메니아 총대주교로 선임한 책임을 지고 폐위된 뒤 아르메니아의 새 왕이 되었다. 그는 전왕 때 왕실 비서로 고용된 메스로프 마슈토츠를 중용했고, 그가 아르메니아 문자를 고안하는 걸 적극적으로 후원했고 페르시아의 언어학자들을 초빙해 마슈토츠를 돕게 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아르메니아 문자는 아르메니아인들의 문화와 정체성이 살아남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는데, 특히 성경을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이 기독교 신앙을 확실히 익히고 외세의 모진 박해에도 꿋꿋이 버티게 했다. 또한 동로마 제국과 사산 왕조 사이를 중재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양국이 평화를 구가하는데 기여했다. 브람샤푸흐는 414년에 사망했고, 아르메니아는 422년까지 사산 왕조의 직접 통치를 받았다. 그러다 422년 그의 아들 [[아르탁세스 4세]]가 성년이 되자 [[바흐람 5세]]에 의해 아르메니아 왕으로 옹립되었다. [[분류:아르샤쿠니 왕조 샤]][[분류:41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