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항공사)]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ANIFF.jpg|width=100%]]}}}|| ||<-4> '''브래니프 국제 항공'''(Braniff International Airways)[* 소멸 당시의 데이터] || || '''[[IATA]]''' [br] BN || '''[[ICAO]]''' [br] BNF ||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br]27 || '''[[항공사]] [[호출 부호]]''' [br] BRANIFF || ||<-2> '''설립년도''' |||| 1928년 || ||<-2> '''소멸년도''' |||| [[1982년]] [[5월 12일]] || ||<-2> '''허브공항''' ||||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 본사 소재][br][[댈러스 러브필드]][br][[보스턴 로건 국제공항]][br][[LA 국제공항]][br][[마이애미 국제공항]][br][[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br][[캔자스시티 국제공항]] || ||<-2> '''자회사''' |||| 브래니프 호텔[br]브래니프 경호 시스템[br]브래니프 에듀케이션 외 || ||<-2> '''보유항공기수''' |||| 115 (1979년 당시) || ||<-2> '''런치 커스터머''' |||| [[B707#s-3.5|B707-220]] || ||<-2> '''취항지수''' |||| 81 (1979년 당시) || [목차] [clearfi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aniff_747_concorde.png|width=100%]]}}} || || [[보잉 747-100]]과 [[콩코드]] || == 개요 == [[미국]] 국적의 항공사였다. [[1982년]] 금융위기로 파산해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회사이다. == 역사 == === 초기 === 폴/토머스 브래니프 형제가 1928년 5월 28일 동생 폴의 이름을 따 항공 운수를 시작한 게 최초이다. 실질적인 운영은 동생 폴(1897~1954)이 맡았으며 형 토머스는 지원을 했는데, 당시 토머스 브래니프(1883~1954)가 [[오클라호마]]에서 꽤 날리는 보험 설계사였기 때문에 수월한 지원을 할 수 있었다. 동년 6월 20일 첫 상업운행을 개시했으나, 유니버설 항공에 인수당한 후 1930년 회사를 다시 차렸다. 이후 형제는 회사를 키우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폴의 노력으로 회사는 1934년 미국 우정국으로부터 항공우편 운송권을 받았고[* 전년도 터진 메일 스캔들의 영향이 컸다.] 1935년에는 최초로 [[멕시코]]에 취항했다. 토머스는 몇 차례의 주식공모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내면서 많은 자본을 확충했다. 이후 텍사스를 중심으로 노선을 확장해나갔으며, 많은 인수합병을 통해 회사를 키웠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후, 민간 항공 위원회는 브래니프 항공에 카리브해, 중앙/남아메리카 운수권을 부여했다. 이후 브래니프 항공은 남미 노선을 집중적으로 확장시켜 메이저 항공사로 발돋움하며, 인수합병으로 미국내 노선도 집중적으로 확장해 왔다. 그런데 1954년, 토머스 브래니프가 사냥 차 비행선을 탔다가 추락사하였고, 그 해 말에는 폴 브래니프마저 암으로 별세했다. 브래니프 형제가 세상을 떠나고, 새로운 경영자로는 부회장이었던 찰스 비어가 선임된다. === 중기: 제트기 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707-227.jpg|width=100%]]}}} || || 1961년 8월에 [[샌안토니오 국제공항]]에서 촬영된 [[보잉 707]]-220(N7073) || 찰스 비어는 안정적인 경영을 바탕으로 다가오는 제트기 시대에 맞춰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해나갔다. [[1959년]] 12월 19일에는 [[보잉 707|보잉 707-220]]을 운항하기 시작했고,[* 브래니프 항공은 B707-220의 런치 커스터머이기도 한데, 이 기종에 따로 장착한 P&W JT4A-3 터보제트 엔진의 연비가 매우 나빴기 때문에 판매량은 총계 '''5대'''뿐이었다. 심지어 그 5대도 다 브래니프 항공이 사갔다고 하며, 1대가 시험 비행 중에 조종사 훈련생의 실수로 엔진 4개 중 3개가 분해되어 강에 추락하는 사고로 유실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운항된 707-220은 겨우 '''4대'''밖에 없었다.] [[1961년]]에는 보잉 707의 동체 단축형인 보잉 720도 도입하며 1960년대 중반까지 자사 항공기들을 제트기로 빠르게 대체했다. [[1964년]]에는 보잉이 제작할 예정이던 초음속 여객기인 [[보잉 2707]]을 주문예약하기도 했다.[* 물론 보잉 2707은 개발이 취소되었고, 이에 따라 브래니프의 주문도 자동으로 취소되었다.] [[1964년]]에 브래니프 항공은 보험지주 회사인 그레이트아메리카 코퍼레이션에 인수되었다. 그레이트아메리카 회장 트로이 포스트는 기존 경영진의 보수적 경영을 못마땅해했고, 운영진을 교체시켰다. 1965년 5월에 새로 사장이 된 하딩 로렌스(Harding Lawrence, 1920~2002)[* 브래니프에 오기 전까지는 1955년부터 일해온 컨티넨탈 항공의 부사장이었는데, 그가 컨티넨탈에서 일한 10년 동안 항공사는 이전의 5배 규모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 이런 능력이 브래니프가 로렌스를 초빙한 이유일 것이다.]는 회사를 현대적이고 주목받는 이미지로 대대적으로 개편시켰다. 특히 브래니프 항공이 고용한 디자이너 알렉산더 지라드(Alexander Girard, 1907~1993)는 위에 나와 있듯 다소 밋밋했던 CI도 참신하게 바꾼 것은 물론이고, 기체의 도색도 무려 15개의 다른 색을 쓰게 하여 매우 색채적으로 바꾸었으며,[* 이후 7개의 색상이 쓰이는 것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항공기와 매표소, 게이트 라운지 등에 각자 다른 색을 칠하는가 하면, 터미널에서 비행기로 가는 동안 여승무원들에게 플라스틱 버블을 쓰게 하고[* 그러나 균열 등의 보관 문제와 [[보딩 브릿지]]의 도입 때문에 딱 1개월밖에 사용하지 못했다고 한다. [[https://external-preview.redd.it/Ptdg6dZDF6I5LBzqDN3Uxq8Ig39mjo0py1X6IHHnOo0.jpg?auto=webp&s=250237139e0fc086af4d818d67309d34b758c305|당시 사진]]] 복장도 우주적으로 뜯어고치는 등 새롭고 다채로운 시도를 많이 하였다. 그리고 로렌스는 총 13종의 항공기를 운영하던 브래니프 항공이 '국내선은 727, 하와이는 747, 남미는 DC-8로 운항하라'는 식으로 단 3종의 기체만 운항하게 바꾸었으며, 그 결과 로렌스가 브래니프를 이끌던 15년 동안 브래니프의 재정 규모는 1965년의 1억 달러에서 1980년의 15억 달러로 무려 15배나 증가했다. 이후 브래니프 항공은 [[베트남 전쟁]] 수송계약을 체결하고, 상술했듯 공격적이고 미래적인 마케팅 컨셉으로 사세를 확장시켰으며, 1965년에는 [[보잉 727]]-100QC 모델을 도입해 심야 화물운송 서비스를 시작했고, [[1967년]] [[2월 1일]]에는 팬 아메리칸 그레이스 항공[* Pan American-Grace Airways, 1928년에 설립된 미국의 항공사. 판아그라(Panagra)라는 약칭으로 더욱 유명했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팬 아메리칸 항공]]과 미국의 화학 기업 W.R.그레이스 앤 컴퍼니(W. R. Grace and Company)의 합작 투자로 설립되었다. 미국 동부 해안과 남미 서부 해안을 오가는 루트로 유명했다.]을 인수해 남미에서 입지를 넓혔으며, [[1971년]] 1월 15일에는 [[보잉 747-100]] 운항을 시작했다. 참고로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 브래니프의 747-100은 도색 때문에 'Great Pumpkin'이라는 애칭이 붙기도 했다. 그러면서 1970년대에는 매년마다 8대의 새로운 제트기 함대를 추가하며 브래니프 항공은 업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함대를 보여주었다. 1970년 4월 18일부터 1974년 1월 13일까지는 제트레일(Jetrail)이라며 [[댈러스 러브필드 공항]] 주차장부터 공항 터미널까지 3개의 역을 갖춘 2.8km 길이의 [[모노레일]]을 깔아 서비스하기도 했다. 참고로 이는 세계 최초의 완전 자동화 모노레일 시스템이었다. 이 시스템은 서비스 기간 동안 1천만명 이상의 승객이 이용했으며, 브래니프가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으로 허브를 옮긴 1974년 1월 13일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었지만, 1974년 9월 1일에 운영이 중단되고 남아있는 시설들은 1978년에 해체되었다고 한다. [[1973년]]에는 '[[모빌]]의 아버지' [[알렉산더 칼더]]를 초빙해 플라잉 컬러즈(Flying Colors)라는 신도색을 만들었으며,[* 남아메리카와 라틴아메리카의 색채를 바탕으로 3원색을 사용해 심플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주는 도색을 만들었다. [[https://miro.medium.com/max/875/1*EWkMZjOsBMThMzq2gej7MA.jpeg|사진]]] [[1977년]]에는 유명한 의류 디자이너 로이 홀스턴(Roy Halston, 1932~1990)를 초빙해 [[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572fa7687c65e4a1135b4bb6/1604106712202-VG01DFJRWXFEDQTV0T90/BI+First+Class+Ultra+Space+Seats+Halston+and+Halstonettes+DFW+1977.jpg|새로운 디자인의 승무원 유니폼]]을 만들어 큰 호평을 받았다. 이 유니폼은 고풍스러운 디자인도 디자인이었지만, '지금까지 착용한 가장 간단하고 착용감 좋은 유니폼'이라는 찬사도 받았다. === 몰락 === 1978년, 카터 행정부에 의해 항공운수 자유화가 실시되었다. 이 때문에 [[1978년]] 말부터 LA와 보스턴에 허브를 신설하고 노선을 대규모 확충하게 되는데,[* 16개의 도시에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하고, 그와 동시에 32개의 신규 노선을 개설했다. 홍콩 등 아시아에 진출하게 된 게 이때이다.] 효과는 좋았지만 하필이면 [[오일쇼크]]가 발생해서 전체적인 유지비가 상승, 적자를 기록한다. 한국 노선에 취항하던 1979년부터는 [[에어 프랑스]] 및 [[영국항공]]과 합작해 [[콩코드]]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특이사항으로 브래니프가 도입한 기체는 공동운항을 상징하듯이 반반도색을 했다. 왼쪽에는 브래니프, 오른쪽에는 영국항공/에어프랑스의 도색을 했다. 후에 [[싱가포르 항공]]이 공동운항 할 때도 같은 방식으로 운영했다.] 노선은 [[댈러스]] - [[워싱턴 D.C]] - [[런던]]/[[파리(프랑스)|파리]]. 그러나 이 사업은 큰 적자를 내며 망해버렸고 이 일은 회사에 있어 매우 큰 악재로 돌아와 건실하던 브래니프를 망하게 하는 직접적 요인이 된다. 유지비도 유지비였지만[* 가뜩이나 운영시기가 [[오일쇼크]]가 한창일 때였다.], 애초에 브래니프가 운영하던 [[댈러스]]~[[워싱턴 D.C]] 노선 경로[* 전 구간 내륙 노선이었다. 여기서 초음속 비행을 했다가는 지상에 소닉붐이 울리면서 아래에 사는 주민들에게 큰 민폐가 되며, 그렇다고 초음속 운항을 안 했더니 [[동춘여객|가격은 퍼스트, 좌석은 이코노미]]라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벌어졌다. 거기다 편당 '''최다''' 탑승률이 '''15명'''이었으니, 적자가 안 나는 게 이상할 판이었다고 할 수 있었다. 콩코드 여객기 승객이 92~120명인 것을 감안하면, 최대 승객의 1/6~1/8만 태우고 비행기를 운항한 셈. 요즘 기준으로 보면 [[보잉 777-300ER]]에 40~55명만 태우고 운항한 셈이다.][* 그나마 콩코드가 흑자를 본 대서양 노선의 경우에도 먼 바다로 나가고 나서야 초음속 비행을 시작했기에 소닉붐 논란에서 자유로웠으며, 비슷하게 [[싱가포르항공]]도 싱가포르 - 바레인 - 런던 노선에서 [[영국항공]]과의 공동운항으로 콩코드를 리스했을 때 전 구간 초음속 비행을 하다 말레이시아 지역에서 소닉붐으로 인한 민원이 들어와 역시 창렬이 되어 탑승률이 바닥을 기었다.]에서 콩코드 손님이 나올 리가 없었다.[* 콩코드의 주 수요층이 비즈니스 고객인데, 두 지역 모두 비즈니스 수요가 있다기엔... 차라리 [[시카고]] 같은 비즈니스 수요가 보장된 곳에 투입했다면 망하진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소닉붐]] 때문에 시끄럽다고 빗발치는 항의는 못 피했을 테지만...] 브래니프 항공은 나중에는 10%의 추가요금까지 없애 일반 퍼스트 클래스 항공권과 가격이 같게 했지만 승객들은 늘지 않았다. 애초에 [[댈러스]]부터가 탈 만한 수요층이 없는 걸... 결국 [[1980년]] [[6월 30일]] 콩코드 서비스를 종료한다. 한때 가장 높은 수익과 성장률을 보이던 브래니프 항공은 이 [[콩코드]]와 기타 여러 이유 때문에 매우 큰 하락세를 타게 된다. [[1978년]]까지 흑자였던 항공사는 [[1979년]] 약 4천만 달러의 손실을 낸 이래 80년 1억 2천만 달러, 81년 1억 7백만 달러의 손실을 낸다. 게다가 안 그래도 이때 [[오일 쇼크]]로 유류비가 '''94% 상승'''한 상황인데도 과도하게 허브를 신설하고 장비를 도입하는 바람에 대규모의 부채가 쌓였다. 또한 본사마저 러브필드에서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으로 옮기며 엄청난 돈이 깨져나갔다. 계속되는 재정난으로 채권단은 하딩 로렌스를 회장직에서 내려오게 하였고, 결국 로렌스는 1980년 12월 31일에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채권단은 [[아시아]]/[[유럽]] 지역 노선을 철수시키게 했는데, 이때 후술할 한국 노선도 폐지되었다. 그 와중 [[1981년]] 여름 항공관제사들의 파업으로 또 손실을 입었다.[* [[로널드 레이건]]이 관제사들을 대량해고시키고 그 자리에 군 관제사들을 채워넣은 것으로 유명한 그 사건이다.] 이후 퍼스트 클래스를 없애는 등 계속해 자구책을 내놓았지만 내놓는 족족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더 이상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1982년]] [[5월 11일]]에 브래니프 항공은 파산을 선고받았고, 바로 다음날인 [[1982년]] [[5월 12일]], 브래니프 항공은 영업을 중단하고 폐업함으로써 54년간의 역사를 마감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aniff_highcolor.png|width=100%]]}}} || || 파산 당일에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에 머물러 있는 브래니프 항공의 비행기들. || 브래니프 항공의 폐업에는 황당한 에피소드가 2개 전해진다. 먼저 1982년 5월 12일 아침에 댈러스 포트워스 국제공항에 있던 승객들은 브래니프 항공의 모든 항공편이 갑자기 결항되자 당황했지만, 얼마 후 '브래니프라는 회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선언을 듣고 모두 하기했다고 한다. 거기다가 이날에 이미 공중에 떠 있던 브래니프 항공 소속 비행기들은 목적지에 접근한 경우가 아니었으면 모두 강제로 호출되어 브래니프 항공의 허브 공항이던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으로 회항당했다고 한다. 파산 이후, [[1983년]] 기존의 자재를 인계받아 다시 시작했다가 망했고(1983~1989), 다시 한 번 시작했다가 망했다.(1991~1992) 그리고 9년 뒤인 [[1991년]]에 [[팬 아메리칸 항공]]도 똑같은 일을 겪게 된다.[* 다만 차이점은 이쪽은 [[보잉 747]]을 무리하게 도입하고 알맞는 수요가 안 나는 노선에도 투입하는 바람에 사실상 이 항공사와 같은 운명을 맞았다.] 혹자는 이 항공사의 몰락에 대해 '다채로움을 지향하던 항공사답게 최후까지도 다채로웠다'라고 농담조로 말하기도 한다. == 특이사항 == * 계열사를 보면 알겠지만 항공사 치고는 사업이 매우 다각화되어 있다. 항공사가 호텔도 운영하는 건 흔한 편이지만, 그 이상을 넘어서 경호 부문과 교육, 부동산까지 운영했는데, 모회사인 항공사가 망한 이후에도 존속한 자회사들도 많았다고 한다. * 1979년 9월 18일부터 1980년 10월 12일까지 약 1년간 [[보잉 747SP]]로 한국 [[김포국제공항]]에 취항했는데, 당시 브래니프 항공의 보잉 747SP는 김포-LA 노선을 주 2회 왕복운항했다고 한다. [[파일:braniff_strip.jpg]] * 승무원에게 여러 겹으로 다채롭게 디자인된 옷을 입혔는데, 이 강점(?)을 살려 승무원이 [[스트립]]을 하는 파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 [[스페인]]과 [[포르투갈]], [[중남미]]에서는 광고가 큰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전 좌석 가죽시트임을 강조하려고 "fly in leather"를 그대로 직역해서 "en cuero"라 썼는데, 현지인들에겐 이게 "en cueros", 즉 '''홀딱벗고 비행기에 타세요(fly naked)'''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사 항공 라운지를 "[[랑데부|Rendezvous]] Lounge"라고 썼다가 난리가 났는데, 이는 브라질 포어 속어로 'Rendezvous'가 [[창녀]]란 뜻이었기 때문이었다. [[분류:미국의 없어진 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