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Grand Theft Auto V의 등장인물, rd1=브래드 스나이더(Grand Theft Auto V))] || '''브래드 스나이더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외국인 선수)] ---- || '''브래드 스나이더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ffffff 등번호 58번}}}''' || || [[레다메스 리즈|리즈]](2011~2013) || → || '''스나이더(2014)''' || → || [[전인환]](2015~2016) || ||<-5> '''[[키움 히어로즈|{{{#ffffff 넥센 히어로즈}}}]] {{{#ffffff 등번호 25번}}}''' || || [[송지만]](2008~2014) || → || '''스나이더(2015)''' || → || [[홍성갑]](2016~2018)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5넥센 원정.jpg|width=100%]]}}} || ||<-2> '''{{{+2 브래들리 마이클 "브래드" 스나이더}}}[br]Bradley Michael "Brad" Snyder''' || || '''생년월일''' ||[[1982년]] [[5월 25일]] ([age(1982-05-25)]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출신지''' ||[[오하이오|오하이오 주]] 샌더스키 || || '''학력''' ||벨레뷰 고등학교 - 볼 주립대학교 || || '''신체''' ||192cm, 96kg || || '''포지션''' ||[[외야수]], [[1루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200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8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 '''소속팀''' ||[[시카고 컵스]] (2010~2011) [br][[텍사스 레인저스]] (2014) [br][[LG 트윈스]] (2014) [br]'''[[넥센 히어로즈]] (2015)''' [br] 서머셋 패트리어츠 (2016~2017) || || '''등장곡''' ||The Notorious B.I.G - Hypnotize || || '''응원가''' ||'''LG 트윈스 시절'''[br][[https://youtu.be/2jvgd9QVjeA|Dschinghis Khan - Dschinghis Khan]][* 이 곡은 스나이더 이전에 [[로베르토 페타지니]], 스나이더 이후에는 [[루이스 히메네스(1988)|루이스 히메네스]]로 이어졌다.][br]'''넥센 히어로즈 시절'''[br]뮤지컬 [[드림걸즈]] 중 - One Night Only[* 스나이더! 스나이더! 워어어어어 (X2) 스나이더! 스나이더! 승리를 위해~ 스나이더! 스나이더! 워어어어어][* [[연세대학교]]에도 이 응원가가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프로야구]] 선수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프로야구에서 활동했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1라운드 18순위로 지명되었다. [[시카고 컵스]]를 거쳐,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뛰다가 2014년 [[7월 2일]] [[LG 트윈스]]의 [[조쉬 벨(1986)|조쉬 벨]]의 대체 용병으로 입단하였으나, 자유 계약으로 풀리자 2015년부터 [[넥센 히어로즈]]에 3만 달러의 입단 계약금과 함께 연봉 27만 달러, 옵션 8만 달러 총액 38만 달러에 영입되어 활동했다. == 선수 경력 == 볼 주립대학 시절 통산 168경기에 출장하여 36홈런, 150타점, 타율 0.378을 기록한 스나이더는 2001년 1학년 생 전미 올스타에 뽑혔고, 2003년엔 전미 올스타 및 미드 아메리카 컨퍼런스 올해의 선수로 선정될 정도로 좋은 활약을 보인 바 있다. 한편으로 대학교 1학년 때 대형 교통사고를 당해 선수생명에 위기를 맞았지만 잘 극복하고 아래 서술하듯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을 받을 정도로 훌륭한 커리어를 올렸다. === [[메이저리그]] 시절 === ||
[[파일:Fw4KBO2.jpg]] || || [[시카고 컵스]] 시절 || [[2003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18번째 지명을 받고 프로에 입문했다. 입단 당시에는 바로 주전으로 뛸 만한 재능을 지닌 선수로 주목받았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 주지 못해 주로 [[마이너리그]]에서 출장했다. 2014년 시즌 [[텍사스 레인저스]] 트리플 A에서 61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0.284, 18홈런, 51타점을 기록했고, 텍사스 메이저로 콜업되어 [[추신수]]의 팀 메이트로 활동했지만 10경기 출장에 타율 0.167의 부진한 기록만 남기고 6월 말경에 방출당했다. [[마이너리그]] 시절에는 주로 [[우익수]](626경기 출장)로 뛰었으며, 그 밖에도 [[중견수]]로 355경기, [[좌익수]]로 73경기에 출장하며 [[외야수|외야]] 전 포지션에서 플레이했고, [[1루수|1루]] 수비도 가능하다고 한다. [[마이너리그]] 통산 1246경기 출장, 185홈런, 743타점, 146도루, 타율 0.285의 기록을 남겼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30경기 출장해 2홈런 8타점 타율 0.167로 그다지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http://www.baseball-reference.com/register/player.cgi?id=snyder001bra|통산 기록]] === [[KBO 리그]] === ==== [[브래드 스나이더/2014년|2014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래드 스나이더/2014년)]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82401753_0.jpg|align=center]] ==== [[브래드 스나이더/2015년|2015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래드 스나이더/2015년)] == 근황 == [[KBO 리그]]를 떠난 후, 2016년에는 [[스캇 맥그레거]] 등을 통해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소머셋 패트리어츠와 계약했다. 이후 멕시칸 리그 팀 바케로스 라구나를 거쳐 2017년 6월 16일부로 무직 상태. 은퇴한 듯 하다. [[마이클 초이스]]가 KBO에 올 때, 스나이더의 조언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 == 플레이 스타일 == 큰 스윙을 기반으로 한 좌타 라인드라이브형 히터이다. 그러나 좋지 못한 컨택과 최악의 선구안을 소유하고 있어 삼진을 무더기로 양산한다. 그래도 힘 하나는 진퉁이라 제대로 맞으면 어마어마한 비거리의 타구를 만들어낸다. 수비 능력은 대체로 무난한 편이며, 어깨가 상당히 강하다. 잠실야구장 정 가운데에서 바로 노바운드 송구가 가능한 정도. 단 지나치게 무리하는 편으로 엘지 시절 부진에 빠트렸던 첫 부상이 바로 롯데전 때 억지로 홈송구 하다 그런 것. 또한 슬라이딩 캐치를 종종 시도하지만 성공률은 낮다. 주루는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제법 좋은 편이다. 순수 주력은 빠르다고 보긴 힘들지만 공격적인 주루플레이를 하는 편.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14 || [[LG 트윈스|LG]] || 37 || 100 || .210 || 21 || 7 || 0 || 4 || 17 || 17 || 0 || 9 || .400 || .29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15 || [[넥센 히어로즈|넥센]] || 113 || 431 || .281 || 121 || 26 || 1 || 26 || 71 || 88 || 4 || 37 || .527 || .349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150 || 531 || .267 || 142 || 33 || 1 || 30 || 88 || 105 || 4 || 46 || .503 || .338 || == 기타 == * 인성이 좋기로 팬들에게 알려져 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311&article_id=0000465922|기사]] 아내가 목동이 너무 좋다고 만족한다고. * 별명은 넥나이더(넥센 입단 후)가 대표적이고, 이름 때문에 빵나이더, 빵스나로 불리기도 한다. * 잘 할 때에는 갓갓갓갓, [[감사|슧낛읷덗]], [[예수]]나이더, 지져스나이더 등으로 불리며, 못할때에는 [[이성열(1984)|백뽕열]], [[이성열(1984)|뽕나이더]][* 타격은 영락없는 [[이성열(1984)|이성열]]이나 외야 수비는 이성열보다 잘한다.], [[병신|슶낪잆덦]], [[메르스]]나이더, [[좆]]좆좆좆, 등으로 불린다. 간혹 못하다가 갑자기 잘하는 경우 (예: 3타석에서 폭풍범타로 물러나다가 끝내기안타라든지 경기를 가져오는 행위를 했을때)에는 백뽕갓이라고도 불린다.[* [[이성열(1984)|이성열]]의 별명 뽕과 피부색 흰색, 그리고 갓을 합쳐서 백뽕갓.] * 2015년 6월 3일 이후, 백병호라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h&no=4735216&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B%B0%95%EB%B3%91%ED%98%B8|별명이 생겼다.]] * 팀 동료 [[앤디 밴 헤켄]]과 상당히 친하다고 한다. 목동 야구장 근처 치킨집에서 둘이서 함께 자주 목격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슬럼프에 빠졌을 시기에 심리적인 부분에서 밴 헤켄의 도움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2016년]] 재계약에 성공했더라면, 미국에서 뛴 경험이 있던 [[채태인]]과도 상당히 친해졌을 듯.[* 실제 [[채태인]]은 몇 년간의 마이너리그 생활 덕분에 통역 없이 외국인 선수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영어회화에 능통한 편이다.] * 스나이더 대신 데려 온 [[대니 돈]]이 부진하자 혜자 계약이라며 [[넥센 히어로즈 갤러리]]에서 한때 칭송받았다.[* 실제 스나이더의 넥센 시절 연봉은 고작 27만 달러였고, 대니 돈의 첫 해 연봉은 75만 달러로 상당한 차이가 난다.] 물론 세부기록을 보면 민망한 수준으로, 스나이더는 득점권 타율이 낮고 선구안 또한 좋지 않아서 대니 돈과 달리 9할대 OPS를 기록한 적이 없다. 스나이더의 2015 시즌 볼넷/삼진은 무려 37/135였고, 9월 7일 현재 대니 돈의 볼넷/삼진은 67/64. [[LG 트윈스]]와 [[넥센 히어로즈]] 두 구단이 왜 모두 스나이더를 포기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두 선수의 공통점은 좌상바였다는 것 딱 하나. 물론 야구의 꽃은 홈런이고, 스나이더는 홈에서 강해 뜬금 홈런 한 방은 있었으며[* 당시에는 박병호가 50홈런 이상을 치던 시절이라 뜬금포라 할 수 있지만, 스나이더를 뜬금포라 하기에는 이후 용병들의 홈런 수를 생각해보면 뜬금포라 하기에도 거리가 있긴 하다. 스나이더의 넥센 시절 홈런 수는 26개였는데, [[테일러 모터]]부터 [[윌 크레익]]까지의 홈런 수를 합해도(1+2+2+6=11개) 스나이더 홈런 개수의 절반이 안 된다. 따라서 뜬금포는 [[테일러 모터|모터]], [[에디슨 러셀|러셀]](1기 한정일 수도 있었는데 2기마저 뜬금포가 됐다.), [[데이비드 프레이타스|프레이타스]], [[윌 크레익|크레익]]에게 적합하다.] 부상이 잦은 대니 돈과 달리 몸도 튼튼해 부상으로 신음한 적도 없고 외야 수비력 역시 박헌도나 고종욱에 비하면 괜찮은 편이었다. 결국 인식과 취향의 차이. * 하지만, 16시즌이 무색해지게 17시즌에 들어서서 [[대니 돈]]은 넥센뿐만 아니라 '''역대 재계약한 외국인 선수 중 독보적인 먹튀 행보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스나이더를 버린 이유가 뭐냐며 프런트를 까는 글이 매우 많아지고 있다. 좌상바이긴 해도, 차라리 장타라도 잘 쳐대는 스나이더가 낫지 않냐는 얘기. 거기다 주루나 수비도 [[대니 돈]]보단 나은 편이며, 극도로 부진했던 2014년의 스나이더 보다 대니돈의 모든 스탯이 낮은 상황이다. 결국 [[대니 돈]]은 2017년 시즌 전반기 즈음에 방출을 당했다. 뒤이어 들어온 [[마이클 초이스]]는 후반기 맹활약으로 재계약에 성공했으나 재계약 첫 해인 2018년, 코치진 말을 씹었다가 웨이버 공시당했다. 대체 용병으로 [[제리 샌즈]]가 오고 나서야 히어로즈는 오랜만에 타자 용병 잔혹사를 끊었다. * 미남이다. [[LG 트윈스]]에 입단할 때도, 엘팬들은 "야구선수를 데려오랬더니, 웬 영화배우를 데려왔냐."고 했을 정도로 조각미남이라 많은 여성 LG 팬들의 여심을 설레게 했을 정도. 저 위의 시카고 컵스 사진만 해도 꽤 미남이다. 실제로 한 살 많은 미국의 영화배우인 [[크리스 에반스]]와 많이 닮았다. * 삼진을 당하면 고개를 푹 숙이고 시무룩하게 덕아웃으로 갔는데 히어로즈는 삼진당하고 고개숙이면 벌금을 무는 규정이 있다.아마 벌금 좀 물었을 것이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샌더스키(오하이오)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내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