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Branch == 나뭇가지, 나뭇가지 모양의 물건. 갈라진다라는 뜻이 있어서 다음 뜻으로도 쓴다. * 본사와 지사중 [[지사]] * 본가와 분가중 [[분가]] * 본선과 지선중 [[지선]] * 직계와 방계중 [[방계]] ===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개념 === [[프로그램]] [[버전 관리 시스템|소스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개념으로, 간단히 말하면 '''복사본'''이다. "Branch"라는 이름 그대로, 원본에서 가지치기해서 복사한 소스를 가지고 별도의 버전을 새로 생성하는 것. 위키로 치자면 누군가가 [[리그베다 위키]]의 내용을 그대로 퍼다가 새로운 위키 사이트를 만들었다고 치면 그 때부터 해당 위키는 퍼간 시점의 위키 글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수정하는 사람들에 의해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런 경우 그 위키는 본 위키의 브랜치가 되는 셈이다. 좀 직접적인 예로 들어가면 [[Linux|리눅스]]의 배포판을 들 수 있는데, 대부분의 배포판은 생판 처음부터 짜는 경우는 별로 없고, 기존에 있던 배포판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진다. [[데비안]]을 기반으로 한 [[우분투]]는 데비안의 브랜치가 되며, 다시 여기서 가지치기한 [[리눅스 민트]]는 데비안의 브랜치가 되는 셈. 이것들을 조합하면 [[http://futurist.se/gldt/wp-content/uploads/12.10/gldt1210.svg|이런 모양]]으로 그려진다. 말 그대로 "나뭇가지". ==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 [[파일:card10015810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브랜치, 일어판명칭=ブランチ, 영어판명칭=Branch, 효과1=①: 융합 몬스터가 필드에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그 몬스터의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절대원소의 힘]]에 발매된 지속마법. 융합 몬스터를 적극 채용하는 덱이라면 넣어서 손해 볼 일은 없는 카드. 융합 소환한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 보험으로 투입된다. [[융합 해제]]와 마찬가지로 사용된 소재 몬스터가 묘지에 존재해야 하므로 퍼니멀이나 문라이트처럼 샐비지나 묘지융합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융합 덱에서는 말그대로 보험용으로밖에 쓸 수 없지만, 이 카드는 [[원심분리 필드]]와는 달리 느슨한 소재의 몬스터도 특수 소환가능하기에 상황에 따라서는 더욱 적극적으로 효과를 사용해줄 수 있다. [[유익환상수 키메라]]와 [[패러사이트 퓨저너]]의 조합으로 계속해서 융합이 가능하다. 다만 필드에 환상수왕 가젤이 있어야하며, 패러사이트 퓨저너는 데미지 스텝 때 특수 소환되어도 융합 소환으로 이어지기 않기에 주의할 것. == [[브랜치(앱)|애플파이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앱]]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랜치(앱))] [[분류:동음이의어]][[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