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901_1.jpg]] || 한글판 명칭 ||<-4>'''브로큰 블록커'''|| || 일어판 명칭 ||<-4>'''ブロークン・ブロッカー'''|| || 영어판 명칭 ||<-4>'''Broken Blocker'''|| ||<-5> 일반 함정 || ||<-5>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공격력보다도 수비력이 높은 수비 표시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를 2장까지 자신의 덱에서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전투 파괴된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를 덱에서 여러 장 리크루트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공격력보다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 전반을 서포트할 수 있지만, 발동 조건이 빡센 편이라 수비 표시로 전투 파괴될 경우를 둘 다 상정하고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자폭 특공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은 불가능. 거기다 필드에서 공격력 / 수비력 상태를 참조하기 때문에 카드의 효과로 공격력이 수비력을 넘게 되면 발동할 수 없다. 발동만 할 수 있다면 덱 압축과 새로운 벽 몬스터 증원을 해낼 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몬스터 여러 장을 전개하는 데에는 발동 조건이 더 간단하거나 신속한 [[지옥의 폭주소환]]이나 [[기계 복제술]] 등이 존재한다.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가 전투 파괴되었을 때 발동했을 경우, 특수 소환한 같은 이름의 카드를 그대로 효과로 바운스해서 결과적으로 서치가 가능해진다. 수비 표시로 공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초중무사]]나 [[철통 방어 장군]] 등은 스스로 자폭해서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로 리크루트 가능한 몬스터 중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는 공격력 2800의 [[모이스처 성인]]과 [[어둠에서 나온 절망]]. 공격력 3000대부터는 수비력이 대체로 비슷하거나 확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얼마 없다. [[유희왕 5D's]]에서는 [[우시오 테츠]]가 [[후도 유세이]]와의 2차전 듀얼에서 사용. [[게이트 블록커]]가 전투로 파괴되자 발동하여 덱에서 2장의 게이트 블록커를 불러냈다. 다만 실제로는 전투가 아닌 [[원샷 부스터]]의 효과로 파괴된 것이라 발동할 수 없어야 하기에 고증 오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의 태동]] || TDGS-KR06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태동|THE DUELIST GENESIS]] || TDGS-JP06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태동|The Duelist Genesis]] || TDGS-EN06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게이트 블록커, version=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