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연방 해군 총사령관)] ||<-2> '''제3대 러시아 연방 해군 총사령관[br]{{{+1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 마소린}}}[br]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Масорин'''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ladimir_Masorin.jpg|width=100%]]}}} || ||<|2> '''출생''' ||[[1947년]] [[8월 24일]] ([age(1947-08-24)]세)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트베리|칼라닌 주]] 벨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 '''학력''' ||흑해 고등해군학교[br]니콜라이 쿠즈네초프 해군사관학교[br]러시아 연방군참모사관학교 || || '''직업''' ||[[군인]]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 '''복무 기간''' ||[[소련 해군|소비에트 해군]]{{{-2 (1970년~1991년) }}}[br] [[러시아 해군]]{{{-2 (1992년~2007년 8월 24일) }}} || ||<|8> '''경력''' ||제2대 카스피해 전단 사령관|| ||[[1996년]] [[8월]] ~ [[2002년]] [[10월 8일]] || ||제6대 흑해함대 사령관|| ||[[2002년]] [[10월 8일]] ~ [[2005년]] [[2월]]|| ||제5대 러시아 연방 해군 제1부사령관|| ||[[2005년]] [[2월 15일]] ~ [[9월 4일]]|| ||제3대 러시아 연방 해군 총사령관|| ||[[2005년]] [[9월 4일]] ~ [[2007년]] [[9월 13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블라디미르 바실리예비치 마소린은 러시아의 군인으로 러시아 해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마소린은 결혼하였으며 아들 2명이 있으며, 둘다 결혼하였다. == 생애 == 블라디미르 마소린는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SFSR]] [[트베리|칼라닌 주]]에서 태어났으며, 1970년 흑해 고등해군학교를 졸업하여 북방함대 [[우달로이급 구축함|프로옉트 1155형 대형잠함]]에서 근무하였으며, 1977년 해군 고위특수장교계급 사관학교 졸업하여 [[카신급 구축함|프로옉트 61형M]] 3번함 수석보좌관을 역임하였으며, [[카닌급 구축함|프로엑트 57형 비스]] 6번함, [[소브레멘니급 구축함|프로옉트 956형]] 2번함의 함장, 1983년 북방함대 제56구축함여단의 부여단장을 역임하였다. 쿠즈네초프 해군사관학교을 졸업하여 다시 제56구축함여단 여단장, 1989년에는 북방함대 제7작전전대의 부사령관이자 참모장을 역임하였다.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고 1993년 러시아 연방군참모사관학교를 졸업하여 콜라 소함대 부사령관, 카스피해 소함대 사령관, 2002년에는 흑해 함대 사령관, 2005년에 해군 제1부사령관, 말에 해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마소린 해군 총사령관임기 당시 흑해 함대소속 그바르데이스코예 공군기지에서 Tu-134는 크림에서 모스크바로 이동하기 위해 이륙하는 도중 사고가 발생하였는데 군용기에 마소린과 함께 수행장교도 탑승중에 있었다. 다행히 마소린과 더불어 탑승원 모두가 크고작은 화상으로 끝났다. 2007년 8월 24일 마소린은 전역을 하였고,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마소린이 복무연장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그러지 않았다. 전역이후 국방장관의 고문과 제독클럽의 부의장, 행정고문을 지냈다. == 관련문서 == * [[소비에트 연방]] * [[러시아]] * [[소련 해군|소비에트 해군]] * [[러시아 해군]] == 외부링크 == * [[https://rus.team/people/masorin-vladimir-vasilevich|루스팀 홈페이지]]([[러시아어]]) [[분류:1947년 출생]][[분류:트베리 주 출신 인물]][[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의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