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D40000 20%, #D40000 80%, #a40000)" '''{{{#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8대 발트함대 사령관[br]{{{+1 블라디미르 필리포비치 트리부츠}}}[br]Влади́мир Фили́ппович Три́буц[br]Vladimir Filippovich Tribu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트리부츠제독.png|width=100%]]}}} || ||<|2> '''출생''' ||[[1900년]] [[7월 28일]]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br](現 [[러시아]] [[북서 연방관구]] [[상트페테르부르크]])|| ||<|2> '''사망''' ||[[1977년]] [[8월 30일]] (향년 77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br](現 [[러시아]] [[모스크바]]) || ||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 ||<|2> '''재임기간''' ||제8대 [[발트함대]] 사령관[* 창설일 기준 20대] || ||[[1939년]] [[4월]] ~ [[1947년]] [[5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무자 트리부츠[* 성별 구분이 없는 성씨.] || || '''자녀''' ||딸 이리나 || ||<|2> '''복무''' ||[[소련 해군|소비에트 연방 해군]] || ||[[1918년]] ~ [[1961년]] || || '''최종 계급''' ||[[상장(계급)|상장]] {{{-2 (소비에트 해군)}}}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러시아 내전]][br][[독소전쟁]] || || '''주요 서훈''' ||[[레닌훈장]] (2회)[br][[우샤코프 훈장]] 1등급 (2회)[br][[적기훈장]] (4회)[br][[적성훈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트리부츠 초상화.jpg|width=100%]]|| || [[해군]] [[장교|군관]] 예복을 입은 초상화 || [[소련 해군]]의 [[제독]]. [[대조국전쟁]] 중 발트함대 사령관. == 생애 == === [[출생]]과 [[성장]] === [[190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경찰관을 하던 아버지 필립 트리부츠의 아들로 태어났다. 트리부츠 가문은 민스크 지방의 [[농노]] 출신으로, 영주의 명령에 따라 그곳 농노의 대부분이 트리부츠라는 성이었다고 한다. 농노제가 폐지된 후 [[러시아 제국|제국]]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했지만 형편이 좋지 않고 가난했다고 한다. [[1908년]]부터 1911년까지 3년제 초등학교에서 공부하고, [[1911년]]부터 4년제 고등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지만 마지막 1년을 마치지 못하고 [[1914년]]에 페트로그라드 군사 의료 학교에 입학했다. 회고록에 따르면 공짜 밥과 공짜 옷을 줘서 입학했다고 한다. [[제1차세계대전]]에서 군의관 보조로 실습을 나갔다. [[1918년]] 1월 학교를 졸업하고 페트로그라드 니콜라예프 군병원에서 의료 보조로 복무했다. [[1918년]] [[붉은군대]]에 입대해 [[적백내전|내전]]에 참전했다. 볼가-카스피 소함대에 파견된 트리부츠는 해군병원, 구축함 '데야텔니'[* 이때 함장이 [[이반 이사코프]]였다. 트리부츠는 그를 능력있고 멋있는 함장이었다고 회상했다.], 포함 '레닌'의 승조원으로 복무했다. [[1922년]] 카스피해 해군 군사 위원의 추천으로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해 동기였던 미래의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와 단짝 친구가 됐다.[* 다른 동기의 회고에서 쿠즈네초프는 모든 동기들과 두루 잘 지냈지만 트리부츠와 특히 친밀했다고 언급된다.] [[1926년]]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전함 [[강구트급 전함|'파리즈스카야 콤무나']]에서 복무를 시작했다.[* 원래는 쿠즈네초프와 같이 가려고 했지만 마지막에 쿠즈네초프가 마음을 바꿨다.] [[1929년]] 해군대학에 입학했다. 1932년 졸업해 전함 [[마라(전함)|'마라']]의 부함장이 되었다. [[1934년]] 구축함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전 이름은 노빅(Новик)]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7년]] 발트함대 사령부로 전출된 뒤 [[1938년]] 2월 발트함대 총참모장, 1년 뒤 [[1939년]] 4월에 발트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 독소전쟁 === || [[파일:발트함대 트리부츠.jpg|width=100%]]|| || 발트함대 참모들과 트리부츠(가운데) || [[발트함대]] 사령관으로서 발트해 전역과 [[레닌그라드 공방전]]에 참여했다. === 전후 === [[1946년]] 스탈린이 [[발트함대]]를 북발트함대와 남발트함대로 나눠버렸다. 트리부츠는 [[1947년]] 5월까지 북발트함대 사령관으로 지냈다. [[1947년]] 5월부터 극동 해군 부사령관으로 복무하고, [[1948년]] 9월엔 소련 해군 훈련국장, [[1949년]] 3월엔 소련 해군 수로국장으로 임명됐다. [[1952년]]부터는 각종 교육 및 연구기관의 학과장을 전전하다 [[1957년]] 해군 제독 감찰관을 지내고 [[1961년]] 은퇴했다. 은퇴한 트리부츠는 과학 기술 정보 연구소의 책임자로 지내며 [[해군]]의 역사를 연구했다. 4권의 책을 포함하여 200여권의 출판물을 집필한 그는 연구 업적을 인정 받아 [[1972년]]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 8월 30일 향년 77세에 사망해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 == 여담 == * 그를 기리기 위해 [[우달로이급 구축함]] 4번함이 아드미랄 트리부츠(Адмирал Трибуц)로 명명됐다. * [[보로실로프]]의 후임으로 레닌그라드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된 [[주코프]]가 발트함대에 불만을 표하며 [[발트함대]] 사령부 전체를 날려버리려고 했으나 [[스탈린]]을 설득한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쿠즈네초프]] 덕분에 무산되었다. 이때 트리부츠와 함께 짤릴 뻔 했던 발트함대 총참모장 판텔레예프 제독[* 우달로이급 구축함 12번함 아드미랄 판텔레예프의 어원되시는 분.]은 '쿠즈네초프가 막지 않았다면 우리 경력은 그때 다 끝났을 것'이라며 전후 정치 탄압때 쿠즈네초프를 배신한 트리부츠[* 쿠즈네초프를 비난하는 연설을 했다.]를 [[배은망덕]]하다고 비판했다. == 대중매체 == [[파일:드라마 트리부츠.jpg|width=70%]] * 2024년 드라마 [[https://www.kinopoisk.ru/series/5367251/|<쿠즈네초프 제독>]]에 나온다. 친한 친구 설정답게 쿠즈네초프를 [[니콜라이|콜랴]]라고 부르며 한탄이나 비꼬는 말도 서슴없이 한다. 배우는 알렉세이 마카로프. [[분류:1900년 출생]] [[분류:1977년 사망]][[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인물]][[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러시아 내전/군인]][[분류:독소전쟁/군인]][[분류:노보데비치 묘지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