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블랙 램스 도쿄 로고.jpg|width=300]] || ||<-2><#000> '''{{{#fff {{{+1 블랙 램스 도쿄}}}}}}''' || ||<-2><#999> '''{{{#000 {{{+1 Black Rams Tokyo}}}}}}''' || || '''정식 명칭''' ||'''리코 블랙 램스 도쿄 (リコーブラックラムズ東京)''' || || '''약칭''' ||'''BR 도쿄''' || || '''창단''' ||[[1953년|{{{#000 1953년}}}]] || || '''소속 리그''' ||[[재팬 럭비 리그 원]] 디비전 1|| || '''연고지''' ||[[도쿄도]] [[세타가야구]] || || '''홈구장''' ||고마자와 올림픽공원 종합운동장 육상경기장[br](駒沢オリンピック公園総合運動場陸上競技場, 20,010명 수용 가능) || || '''라이벌''' ||[[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 복사기 더비(複写機ダービー) || || '''감독'''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피터 헤왓 (Peter Hewat) || || '''주장'''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타케이 히나타 (武井日向) || || '''웹사이트''' ||[[https://blackrams-tokyo.com/|[[파일: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로고.png|width=30]]]] [[https://www.facebook.com/RICOH.BlackRam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3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RICOH_BlackRams, 크기=30)] [[https://www.instagram.com/blackrams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30]]]] [[https://www.youtube.com/channel/UCxNBYFk5V4z2y58hNFEeO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30]]]] [[https://www.tiktok.com/@blackrams_officia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30]]]] || ||<-2><#999> '''{{{#000 우승 기록}}}''' || || '''일본 럭비풋볼 선수권대회'''[br](3회) ||1973, 1974 || || 톱 이스트 리그[br](1회) ||2008-09 || [목차] [clearfix] == 개요 == [[재팬 럭비 리그 원]] 소속 럭비팀. 팀의 색깔이 뉴질랜드 럭비 국가대표팀 [[올블랙스]]와 똑같다고 해서 일본제올블랙스(和製オールブラックス)라고 불리기도 한다. == 상세 == 1960년에 시작된 관동 사회인 리그 원년 멤버로 참여하면서 3부 리그에서 시작하여 1963년에 1부 리그로 승격하게 된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산요 전기 와일드 나이츠(현 [[사이타마 와일드 나이츠]])와 리그 우승을 독점하였다. 최전성기 1970년대에는 관동 사회인 리그 4연패, 일본 선수권 2연패를 만들기도 했다. 특히, 당시 대졸 선수들이 많이 없던 시절에 대졸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오게 하면서 단기간에 강호팀으로 올라서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는 점이다. 동일본 사회인 리그에서도 1부 리그 유지와 함께 4번 우승을 가졌다. 2003-04 시즌 톱 리그 창설 이후 2007-08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한 시즌 만에 우승하고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재팬 럭비 리그 원)] [[분류:블랙 램스 도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