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뭍게과]] ||<-2> '''{{{#fff {{{+1 블랙백랜드크랩}}}[br]Blackback land crab}}}''' || ||<-2> [[파일:Gecarcinus lateralis.jpg|width=100%]] || || [[학명|'''{{{#000,#fff 학명}}}''']] || ''' ''Gecarcinus lateralis'' ''' (Guérin, 1832)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게하목]](Brachyu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뭍게과(Gecarci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뭍게속(''Gecarcin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블랙백랜드크랩'''(''G. lateralis'') || [youtube(XpKSUgjoxBM, width=480px, height=480px)] [목차] == 개요 == 뭍게과에 속하는 육상 [[게]]. 한국 [[수족관]]에 한하여 퍼플아이크랩으로 불린다. [[아메리카]]의 온열대성 [[대서양]] 해안이나 [[카리브 해]]의 섬에 서식한다. == 형태 == 배갑은 반구형을 이루며 10cm 이상 자랄 수 있다. 배갑 위는 [[검은색]]이, [[붉은색]]-[[보라색]] 계열의 발색이 나타난다. 집게다리와 걷는다리는 비슷한 색상의 발색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눈자루는 짧고 [[각막]]은 물방울 모양을 가진다. 눈구멍은 작고 눈이 들어갈 수 있는데, 아래에 홈이 나 갈라져있다. 집게다리는 다소 [[비대칭]]으로 크기 차이가 난다. 암수 차이가 있어서, 수컷은 나이를 먹을 수록 배갑이 좌우로 넓어지고 집게다리도 함께 커지는데, 암컷은 배갑이 반구형을 유지하고 커지는 몹집에 비해 집게다리가 다소 작아진다. == 습성 == 잡식성 청소부로서, 주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한다. 습도가 높은 [[습지]]나 [[맹그로브]], [[모래]] 해변에 서식한다. 번식기 철이 되면 수컷들이 해변가에 모여 영역을 차지하며 서로 싸움을 벌인다. == 사육 == 손 안에 드는 아담한 사이즈에 동글동글한 외형을 가진 애완용 게. [[소라게]]와 사육 정보가 닮아서 블랙백랜드크랩을 다루는 판매점이나 사이트에서는 소라게도 다룬다. 같은 종이라도 패턴이 다양해서 심할 경우 같은 속의 [[할로윈크랩]]과 구분되지 않을 정도다. 등이 보라빛인 개체가 선호되고, 등이 검어도 다리가 붉지 않고 흰 개체가 선호된다. 잡식성이라 뭐든 먹는데, 양배추 같은 채소 위주로 식단을 주는 게 좋다. 합사가 가능하지만 영역성이라 5마리 이상은 싸움나기 쉽고, 덩치 차이가 나서는 안된다. 2013년 경에 대량으로 풀린 이후 수입 소식이 없다. 정 키우고 싶다면 사육 정보와 외형이 비슷한 할로윈크랩이 좋다. === 사육장 관리 === 개체당 필요한 사육장 면적이 넓어서 한 마리만 키워도 용량 40리터짜리는 돼야 한다. 잠복하므로 바닥재는 파들어가기 쉬운 재질이 좋은데, 코코넛 칩, 코코넛 파이버 등으로 깊이는 10cm 이상이 적당하며 사육장이 충분히 높다면 그 아래에 피트모스 10cm를 더 깔아주면 좋다. 등반용품도 몇 개 넣어주면 좋다. 반은 육지로 반은 물로 채워주는게 좋은데, 물은 민물도 되고 저염수도 된다. 물을 깔아줄 수 없다면 한 마리가 들어갈 만한 깊이의 큰 물그릇이라도 넣어야 한다. 환경에 민감하므로 온습도계를 설치해야 한다. 온도는 26-28°C가 적절하며, 25°C 이하나 30°C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한국]]의 경우, [[겨울]]에는 온도 유지를 위해 온열등이 필수적이다. 습도는 60-80%를 유지한다. 사육장의 습도가 높으면 육지에서도 탈피를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물 속에 들어가서 탈피한다. 조명은 약간 어두워야 활발하게 움직인다. == 기타 == 발색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 할로윈크랩과 동일 종으로 보기도 한다. [youtube(KBMUhG0aEFg)] * [[Deep Look]]의 검은등뭍게 에피소드. 검은등뭍게의 습성보다는 게들의 공통된 특징인 부속지 재생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