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이드, rd1=게타(조이드))] [include(틀:2023 오버워치 월드컵 미국 대표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L_GATOR_C_22.png|width=100%]]}}} || ||<-2> '''{{{#910f1b {{{+1 Gator}}}}}}''' || ||<-2> '''{{{#c4c4c4 Blake Scott}}}''' || || '''{{{#910f1b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 '''{{{#910f1b 닉네임}}}''' ||'''Gator''' [br] G8r [br] DpsBot || || '''{{{#910f1b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TANK || || '''{{{#910f1b 주 영웅}}}''' ||[[시그마(오버워치)|[[파일:시그마 초상화.png|width=30]]]] [[라인하르트(오버워치)|[[파일:라인하르트 초상화.png|width=30]]]] [[윈스턴(오버워치)|[[파일:윈스턴 초상화.png|width=30]]]] [[오리사|[[파일:오리사 초상화.png|width=30]]]] || || '''{{{#910f1b 경력}}}''' ||GOATS[br] (2017 ~ 2017.06.24)[br]Fractal Esports[br](2018) [br]GOATS [br](2018.08.18 ~ 2018.10.03) [br] '''[[파일:ATL_Academy_logo.png|width=25]] [[애틀랜타 레인#s-5|ATL 아카데미]]''' [br]'''(2018.11.23 ~ 2019.11.01)''' [br]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width=25]] '''[[애틀랜타 레인]] {{{-3 감독}}}''' [br]'''(2018.10.28 ~ 2023.11.11)''' || ||<-2> [[https://www.twitch.tv/Gator_|[[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ator_OW, 크기=1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FghTfVsVIAAVLMw.jpg|width=100%]]}}} || || '''{{{#910f1b Blake "Gator" Scott}}}''' || [[미국]] 출생의 現 [[애틀랜타 레인]] 소속의 프로게이머.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2018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북미 시즌 1 우승[br]2018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북미 시즌 2 우승''' || || The Savages || → || '''Fractal Esports[br]GOATS''' || → || GOATS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 동부 시즌 2 우승''' || || [[Fusion University]] || → || '''ATL Academy''' || → || 대회 개편 || ||<-5> '''{{{#white 준우승 경력}}}''' || ||<-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 시즌 3 준우승''' || || [[XL2 Academy]] || → || '''ATL Academy''' || → || 대회 개편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북미 서부 시즌 1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ATL Academy''' || → || [[XL2 Academy]]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ATL Academy''' || → || 미정 || ||<-5> '''[[2021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1 오버워치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 || [[서울 다이너스티]] || → || '''애틀랜타 레인'''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상세 == '''미국판 [[SADO]]''' 라고 불린다. 물론 실력에 있어서는 게이터가 사도보다는 낫다고 평가받지만, '''[[대리팀|대리]]'''를 했다는 것과 '''생각이 없다'''는 것 그리고 '''뻔뻔''' 까지 세가지가 같다고 볼 수 있다. 게이터가 생각이 없다고 해외에서 까이는 이유는 [[애틀랜타 레인]]과 [[뉴욕 엑셀시어]]의 비공식 스크림이 있었는데, 이 때 애틀랜타 관련 관전자들은 피드백을 위한 선수들의 개인 화면을 녹화하였고, 게이터는 브리기테 담당 어스터와 NlaaeR 시점의 플레이 화면을 녹화하였다. 그런데 이 녹화영상이 유튜버 썰쟁이 mykl에게 넘어간 것이다. mykl은 양구단의 항의 때문인지는 몰라도 공개하였던 비공식 스크림 영상을 내렸지만 당시 영상 초반에 관전을 한 계정이 게이터의 부계정인 것이 보여 게이터는 팬들의 욕을 먹었다.[* 비공식 스크림을 그것도 자기팀의 스크림을 유출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해당 스크림은 뉴욕이 3:1로 승리하였다.] 게이터가 뻔뻔한 이유는 대리 이력이 걸려 1년 대회 출장정지를 받았으나, 리그에서도 이 정도 징계는 안 했다며(...)[* 물론 자기가 두 종목이나 되는 초대형 대리팀을 운영한 것도 모자라 그 전에는 프xxxxx 소속 전적도 있는 SADO가 30경기 정지로 반 년조차도 채 안 되며 단순한 네임드 대리기사였던 OGE는 4경기 정지로 아예 2주다.]징계 수위를 낮추는 것에 성공 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 지나친 징계라고 목소리를 높여 징계가 해제되는 데 기여(?)한 사람이 2018 옵드컵 캐나다 대표팀 감독이자, 댈러스 퓨얼의 코치인 Jayne이다. 그런데 같이 징계 해제된 Coluge는 트위터로 '개과천선해봐야 의미 없는 것 같다' '대리나 다시 할까'라고 어그로를 끌었다. Second Wind에서도 방출되는 것으로 대리기사 수준을 증명했다.] 논란과는 별개로 라인하르트 실력은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 절반 이상을 유행시킨 [[고츠 조합]]을 만든 GOATS팀의 메인탱커이기도 하였다. XL2 Academy와의 경기에서 티지를 맞라인전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애틀랜타 아카데미가 우수한 성적으로 컨덴더스 준우승을 했기 때문. 물론 리그 투웨이 선수기 때문에 리그 경기로 뛰어봐야 진짜 좋은 실력을 갖추었는지 알 수 있긴 하나, 컨텐더스에서의 기량만큼은 상위권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투-웨이 제약 때문에 오버워치 리그에 와서는 메이헴전 1세트만 뛰었다. 플레이오프 쇼크 전에서 풀주전으로 경기를 뛰었다. 2019 시즌 단 한 경기만 출전했던 선수였기에 중계진도 의아해했던 조커 카드였다. 그러나 그 모든 걱정은 기우였다. 수준급 시그마 활용으로 승리에 견인했다. 최종 스탯 9만 5천 딜과 188킬으로 POTM에 선정되었다. 같은 경기에서 [[최효빈]]에 비해 더 안정적인 궁 활용과 템포 지배로 시그마 대결에서 판정승을 거두었다.[* 물론 이 경기에서 게이터가 조금 더 잘했을 뿐이지, 최효빈도 이 경기를 기점으로 시그마를 각성시키게 되어 2019 그랜드 파이널 MVP까지 받게 된다.] 적어도 플레이오프 1,2주차에서는 모든 팀을 통틀어 가장 인상적이었던 시그마 플레이어였다. 2021 시즌에 들어서는 상당히 좋은 기량을 뽐내며 오리사는 그의 시그니처 픽으로 자리매김 했고 라인과 윈스턴 또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적 떨어지는 레킹볼 실력에 우스갯소리로 방벽 장인이라는 말도 듣고 있다. == 여담 == DPI 800에 인게임 6의 감도를 사용한다. 마우스는 로지텍 G Pro wireless를 사용한다 하지만 중계 중 잡힌 마우스는 로지텍 G 703이었다. 여러모로 적폐 메타와 관련 있는 선수이다. 오버워치 역대 최고의 적폐 조합이었던 33 조합을 최초로 만든 팀 고츠에서 라인을 맡았던 멤버였고, 실제로 팀이 처음으로 33을 사용했을때 주전으로 뛰었다. 뿐만 아니라 오버워치 역할 고정의 역대 최고 적폐였던 투방 조합과도 인연이 있다. 한동안 [[Pokpo]]에게 밀려 주전으로 단 한 경기만 뛰었던 2019 시즌 때, 플레이오프에 들어서 시그마가 사용이 가능해지자 바로 시그마 조커 카드로 기용되었고, 좋은 시그마 플레이를 보여주며 플레이인에서 애틀란타 레인이 탈락할때 까지 시그마로 풀주전을 뛰었다. 여담으로, 시그마가 처음 출시되었을 시기에는 시그마의 메인, 서브 개념이 애매했기 때문에 플레이인에 출전한 팀들은 서브탱커 선수가 시그마를 맡거나, 메인탱커 선수가 시그마를 맡고 서브탱커 선수가 오리사를 맡는[* [[런던 스핏파이어]]의 제스쳐 시그마 / 퓨리 오리사, [[서울 다이너스티]]의 마블 시그마 / 미셸 오리사] 기용 방식을 채택했는데, 애틀랜타 레인만 유일하게 투 메인탱커 플레이어를 각각 오리사, 시그마 플레이어로 기용하였다.[* [[LA 글래디에이터즈]]의 메인 탱커 [[Hydration]] 역시 시그마 플레이어로 출전하긴 했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기는 [[강준우(프로게이머)|Void]]가 출전했고, 자신은 서브딜러로도 출전했을 뿐만 아니라 원래 메인탱커가 아닌 서브딜러였던 선수가 [[Muma]]의 빈자리 대체로 포지션 변경을 한 것이기 때문에 메인탱커라기보다는 Flex 포지션으로 보는 입장이 훨씬 많다. 그러하여 플레이오프에서 투 메인탱커 플레이어 기용은 애틀랜타 레인이 유일했다 보는 것이 맞다.] [[애틀란타 레인]]의 동물 밈 멤버 중 하나다. 원년 멤버 [[Gator]](악어), [[더스틴 보워먼|Dogman]](개~~사람~~)에다가 2020년, 2021년에 각각 [[젠더 도메크|Hawk]](매), [[오세현(프로게이머)|Pelican]](펠리컨)이 합류하면서 해외에서는 '동물팀'이라는 밈이 붙었다.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미국의 프로게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