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암석족]]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ブロック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 소환=, 한글판명칭=블록드래곤, 일어판명칭=ブロック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ock Dragon, 속성=땅,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3000, 종족=암석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패 / 묘지의 땅 속성 몬스터 3장을 제외했을 경우에만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암석족 몬스터는 전투 이외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8이 되도록\, 덱에서 암석족 몬스터를 3장까지 고르고 패에 넣는다., )]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더 다크 일루전]]에서 첫 등장한 암석족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같은 팩에서 데뷔한 [[트라미드]]와 병행하라고 내놓은 듯하다. 소환 코스트가 묵직한 대신 [[인페르노이드]]처럼 자체 효과로 묘지 소생도 가능하고 유용한 효과를 갖추고 있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암석족 몬스터가 전투로만 파괴되게 하는 [[지속효과]]. 전투를 실행하는 것 자체를 힘들게 만드는 [[코아키메일]]과의 조합이 좋다. 특히 전투 이외로 파괴되는 것을 막기에 코아키메일 몬스터의 룰 파괴도 막는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암석족 몬스터를 서치하는 [[유발효과]].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는 이 카드의 진가라 할 수 있는 효과로,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레벨 합계가 8이 되도록 암석족을 3장까지 서치한다. 타이밍을 안 놓치며 조건도 단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라 널널하다. 특히 [[킹그렘린|강력한 범용 서치 효과]]라 암석 덱의 용병으로 가기 좋다. 이의 효과의 범위 내에 모든 [[마그넷 워리어]]가 있고, 레벨 8 마그넷 발키리온/벨세리온과 같은 레벨로 랭크 8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고 융합 소재로서 서치하기도 좋아 시너지가 높다. [[젬나이트]] 덱에서도 링크 소재로 쓴 후 서치 연계를 이용해 투입한다. 일단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가기만 하면 소환이 가능하니, 이 카드를 주로 채용할 땅속성 내지는 암석족 덱에서 '''[[유니온 캐리어]]'''를 채용해서 이 카드를 몬스터에 장착시키고, 그 몬스터가 터지거나 코스트로 사용해서 패를 불리는 것도 가능하다. 레벨 4 암석족을 쓰는 덱과는 특히 호궁합이다. 랭크 4의 [[어영지사]]의 효과로 서치할 수 있으며, 이 카드의 유언 효과로 덱에서 레벨 4의 암석족을 2장 서치할 수 있다. 어영지사를 소환할 수 있는 코아키메일의 자괴 효과를 막아주며, 레벨 4 암석족 의식 몬스터를 쓰는 [[메가리스(유희왕)|메가리스]]는 프리체인 의식 소환 효과로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서치가 가능하게 한다. 마그넷 워리어 덱은 묘지에서 다른 묘지 자원을 제외존으로 보내는 [[정룡]] 같은 플레잉을 통해 벨세리온의 유언 효과를 안정적으로 쓰면서도 마그넷 컨버전을 채용할 여건을 주는 등, 이 카드의 발매 전후로 상당수의 암석족 덱은 이 카드와 어떻게든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도록 구상된다. 특히 [[아다마시아]]의 경우가 그러한데, 튜너들 3장의 레벨을 합치면 정확히 8이라 아다마시아 튜너들을 전부 서치하여 후속 전개로 잇거나 다음 턴의 후속을 대비할 때 블록드래곤을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아다마시아]]를 제재하기 위해 TCG에선 2020년 9월 14일에 금지 카드가 되었으며,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2023년 1월 10일에 제한 카드로 등록되었으며 이후 9월 1일자로 TCG와 마찬가지로 금지로 지정되었다. 2023년 7월에는 OCG에서도 일단 간을 보려는지 준제한을 먹였는데 아다마시아가 날뛰면 바로 제한을 먹인다는 경고로 보는 편이었고, 실제로 10월에 제한에 보내졌다. 다만 7금 분기는 땅 GS나 아다마시아 입상이 없진 않았지만 1티어가 아니라 2티어 상위권 수준에 불과했다보니 뒷북 제재라는 시선도 존재한다. 생김새 때문에 붙은 별명은 '''[[토이아구몬]]'''이며 성능상 붙은 별명은 초딩 드래곤이 존재한다. 당연히 둘 다 욕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JP03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시크릿 슬레이어즈|ーシークレット・スレイヤーズー]] || DBSS-JP038 || [[노멀]][br][[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더 다크 일루전|The Dark Illusion]] || TDIL-EN034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7 Mega-Tin Mega Pack || MP17-EN08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시크릿 슬레이어즈|Secret Slayers]] || SESL-EN038 || [[슈퍼 레어]] || 미국 || || || [[더 다크 일루전]] || TDIL-KR03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덱 빌드 팩]] -[[시크릿 슬레이어즈]]- || DBSS-KR038 || [[노멀]][br][[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관련 카드 == === [[블록맨(유희왕)|블록맨]] === === [[블록 골렘]]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블록맨(유희왕),version=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