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설정]] [목차] == 개요 == 비공인 설정 또는 비공식 설정은 창작물의 [[미디어 믹스]] 등 파생 작품에서 등장한 설정이지만 [[공식설정]]으로 인정받지 못한 설정 또는 공식 설정이었다가 저작권자 또는 작가의 설정 변경으로 인해 삭제되어 비공식으로 변한 설정을 가리키는 단어다. 영미권에서는 논캐논(non-canon)이라고 부른다. == 유형 == === 미디어 오리지널 설정 === [[극장판]], [[소설판]] 등의 [[미디어 믹스]]나 [[게임]]의 [[멀티 엔딩]], [[DLC]], 타 작품과의 [[크로스오버(대중문화)]],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같은 경우 제작사나 저작권자가 정사 또는 공식 설정이 아니라고 선언하는 경우가 많다. 말하자면 원작의 공식 판권으로 제작되지만, 원작의 공식 설정에는 포함되지 않는 설정인 셈이다. 대표적으로는 [[원피스(만화)|원피스]]의 [[원피스(애니메이션)/극장판|극장판]] 캐릭터들, [[디아블로: 헬파이어]], [[김성모]]의 [[스타크래프트(김성모)|스타크래프트 만화]]가 있으며 영화의 [[소설판]] 역시 비공인 설정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미디어 오리지널 캐릭터가 공식 설정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미디어 믹스에서 원작으로 수출된 캐릭터]] 문서 참고. 원피스 극장판 캐릭터 같은 경우 '존재'는 [[공인설정|정사]]로 편입되지만 행적은 비공인 설정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시키(원피스)|시키]]나 [[우타(원피스)|우타]]가 여기에 해당하는 케이스다. === 설정 변경 === [[리부트]] 또는 [[리메이크]]를 통해 기존의 설정을 폐기하고 새로운 설정을 만들거나, [[설정오류]], [[설정붕괴]]로 인해 작품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 이 경우 리메이크 이전 기존 설정을 [[평행우주]]의 형태로 공식에 편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 설정을 폐기하면서 비공식 설정으로 바꾸는 경우도 있는데, 여기서는 설정을 폐기해서 비공식 설정으로 바꾸는 경우를 설명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스타워즈 캐넌]]으로 리부트되면서 폐기돼서 비공식 설정이 된 [[스타워즈 레전드]]가 있다. [[TYPE-MOON/세계관]]의 경우 설정을 업데이트하면서 기존 설정을 변경, 폐기하기도 한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매체는 [[Warhammer 40,000]]으로 대표되는 [[미니어처 게임]]과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로 대표되는 [[TRPG]]로, 이 경우 [[룰북]]을 업데이트하면서 기존 설정을 변경, 폐기하고 새로운 공식 설정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 삭제된 설정 === 제작 단계에서는 원작에 등장할 예정이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최종 단계에서 원작에 등장하지 못하고 삭제 또는 취소된 설정. 보통 작품 후기, 제작자 인터뷰, 메이킹 필름 등에서 일종의 비하인드 스토리로 제작 단계에서는 이런 설정도 고려했지만 모종의 이유로 폐기되었다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저작권자 또는 작가가 언급한 설정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공식 설정이 아닌 여담에 불과하기 때문에 공식 설정이라는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비공인 설정으로 취급된다. [[베이퍼웨어]], [[더미 데이터]]가 대표적인 삭제된 설정에 속한다.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의 경우처럼 취소된 설정의 일부가 공식 설정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 [[동인설정]]과의 차이 == 비공식 설정은 비공식이기는 하지만 엄연히 원작의 파생작 또는 원작의 설정이었다가 삭제된 설정으로 공통적으로 저작권자 또는 작가의 허락 아래 만들어진 설정이다. 반면에 [[동인설정]]은 팬덤이 만들어낸 [[2차 창작]] 설정으로 비공식 설정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 기타 == [[팬들이 부정하는 공식]]의 경우, 팬덤에서는 비공인 설정 취급을 하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공식설정]] *[[동인설정]] *[[팬들이 부정하는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