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백제의 11대 건길지, rd1=비류왕, other2=동음이의어, rd2=비류(동음이의어))] [include(틀:백제의 시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fbe673 '''비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원삼국시대 군주)] ---- [include(틀:고구려의 왕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비류백제 초대 군주[br]{{{+1 시조 비류왕 | 始祖 沸流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천시청 비류벽화.jpg|width=100%]]}}} || ||<-2><#008080> {{{#fbe673 {{{-2 인천광역시청 후문 담장에 그려진 비류 벽화}}} }}} || ||<|2> '''출생[br]{{{-3 (음력)}}}''' ||[[기원전 38년]] 전후[* 여러 전승상 고구려 제2대 유리명왕과 비슷한 연배로 나오므로, 유리명왕의 동생으로 가정하면 기원전 38년 이후가 된다. 그러나 시조 비류왕 전승에 따르면 비류는 동명성왕이 고구려를 세우기 전에 태어난 반면 유리명왕은 그때까지 아직 태어나지 않았으므로 비류는 유리의 형이 된다.] || ||[[졸본부여]] [[졸본성]][br](現 [[중국]] [[랴오닝성]] [[번시시]] [[오녀산성]]) || ||<|2> '''사망[br]{{{-3 (음력)}}}''' ||연대 미상 || ||[[비류국#s-2]] [[미추홀]][br](現 [[인천광역시]] [[문학산]] 일대)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초대 군주}}}''' || ||[[기원전 19년]] ~ [[기원전 18년]] {{{-2 (1년)}}}[* 제왕운기 권하 백제기에 의하면 비류에 대응되는 은조(殷祚)가 5개월 간 재위했다고 한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부여(扶餘)(?) / 해(解)(?) / 우(優)(?) || || '''휘''' ||비류(沸流)[* [[삼국사기]].] / 피류(避流)[* 해동고승전.] / 은조(殷祚)[* [[제왕운기]].] || || '''부모''' ||부왕 [[동명성왕]] 혹은 [[우태]][br]모후 [[소서노]] || || '''형제''' ||[[유리명왕|유리]][* 이복형 혹은 이복동생.], [[온조왕|온조]] || || '''존호''' ||'''[[시조]](始祖)'''[* 묘호의 사용이 신라 [[태종 무열왕]]때부터 확인이 되어 당대에 사용했을 확률은 낮다.] || || '''왕호''' ||'''비류왕(沸流王)''' || || '''별호''' ||해비류(解沸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추홀]]에 터를 잡은 [[비류국#s-2|비류국]]의 초대이자 마지막 군주. [[삼국시대]]의 인물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동명성왕]] 고주몽의 아들 혹은 [[해부루]]의 서손인 [[우태]](優台)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온조왕]]의 형. == 생애 == 비류의 기록은 [[백제]] 본기 0년에 온조의 [[건국]]과 함께 등장하는데 건국 상황을 묘사한 2개의 기록이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아래 2개의 기록은 서로 뒤섞여서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1번의 기록이 먼저 나온 다음 일운(一云, 혹은)을 붙이고 다음 2번 기록이 전개되기 때문에 본래는 전혀 다른 출전을 가진 2개의 기록을 《삼국사기》에서 모두 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비류와 관련된 2개의 기록은 인물의 생애를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기는 한데 관점이 상당히 다르다. 애초에 형제의 혈통을 기록한 부분이 전혀 다르며 [[소서노]]의 존재를 명확하게 언급하는 것도 후자의 문헌 뿐이다. 현대에 우리가 소서노의 이름을 알고 그녀의 역할이 컸다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근거는 《삼국사기》의 두 문헌 중 후자의 문헌에 있다. 후자는 '시조 비류왕'이라고 시작한다. 비류를 백제의 초대 군주로 보는 관점이 되는 셈이다. 세부적인 면에서도 차이가 있어 후자 문헌에는 비류가 온조에게 남하를 권유했다든가 미추홀은 정착하기 부적합하다든가 하는 내용이 없으며 무엇보다도 비류가 [[자결]]하는 장면이 없다. 온조가 백제의 시조라는 설화는 최종적으로 비류는 실패했다는 내용이 들어있는 반면 비류 설화는 결국 비류가 백제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비류 설화가 먼저 쓰였고 이후 온조 세력이 비류 세력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비류 설화를 참조하여 온조 설화가 쓰였다고 보는 관점을 가진다. 이는 비류로 대표되는 [[해양]] 세력과 온조로 대표되는 [[농업]] 세력 간의 갈등에서 농업 세력이 끝내 승리하였음을 보여주는 점이라는 것. 과학적으로 보자면, 사실 땅이 습기가 많고 물이 짜다는 등의 내용은 농사에 부적합하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어디까지나 농업 세력의 관점에서 볼 때 그런 곳에 정착했으니 망할 수 밖에였을 뿐. 이보다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정착하여 크게 성공한 경우로 [[베네치아 공화국]]을 들 수 있다. 베네치아 역시 이전에는 미개발지에 가까웠던데다 5세기경 석호에 살던 [[원주민]]들과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에게 쫓긴 북쪽 도시인들이 합심해 세운 뒤 본격적으로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들이 주인격이었던 [[동로마 제국]]에게서 벗어난 뒤에 역으로 동로마 제국을 공격할 정도로 성공한 것은 약 12세기 이후에나 가능했다. 농경 사회인데다 딱히 [[해외]]와의 교역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의 해안 지역은 당시로서는 좋은 곳이라고 할 수 없었다. 비슷한 예로 [[신라]] 역시 [[당항성]]을 점령한 이후에 [[중국]]과의 활발한 [[외교]] 활동을 전개했다. [[비류백제]]가 독자적으로 존재했다는 주장도 있으나 재야 측의 주장이라 큰 의미는 없다. === [[삼국사기]] - 온조 시조설 === 시조 온조왕(始祖 溫祚王) [[아버지]]는 동명성왕 고추모이고 [[어머니]]는 졸본부여(卒本扶餘)왕의 세 딸 중 1명이다. 동명성왕이 [[유리명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게 되자 비류는 온조와 더불어 남하한다. 비류는 한산(漢山)에 올라가 [[지형]]을 보다가 바닷가에 터전을 잡으려고 했지만 형제를 따라온 오간(烏干)·마려(馬黎) 등 10명의 신하는 비류에게 반대하고 [[위례성]](慰禮城, [[서울특별시]])에 도읍할 것을 권한다. 그러나 비류는 듣지 않고 바닷가인 미추홀(彌鄒忽, [[인천광역시]])에 도읍하고 온조는 10명의 신하 의견을 받아들여 위례성에 도읍한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물이 짜고 습해서 이 때문에 [[농사]]도 안 되는 통에 먹고 사는 것도 힘든데 위례성에 돌아와 보니 [[백성]]들은 평안하고 도읍이 안정되어 있어서 수치심을 느낀 나머지 자살한다. 이후 비류의 백성들도 위례성으로 와서 온조왕에게 귀부한다. [[광개토대왕릉비]] 2번째 비문에는 [[396년]] 미추성(彌鄒城)을 함락했다고 쓰여 있는데, 미추홀과 연관된 지명으로 보인다. === 삼국사기 - 비류 시조설 === 시조 비류왕(始祖 沸流王) 아버지는 [[북부여]]왕(北夫餘王) 해부루(解夫婁)의 서손인 우태(優台)이며 어머니는 연타발(延陀勃)의 딸 소서노(召西奴)이다. 나중에 [[과부]]가 된 소서노를 동명성왕 고추모가 아내로 맞아 비류와 온조 형제도 친아들처럼 대했으나 역시 [[유리명왕]] 고유류에게 왕위를 물려주게 되자 어머니와 동생을 데리고 남하하여 백제의 시조가 된다. 전자의 문헌에서는 비류와 온조가 남하했다고 되어 있는데 이쪽에서는 비류가 동생 온조를 설득하여 남하를 주도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미추홀은 정착하기에 부적합했다는 내용이 없다. === [[삼국유사]] === 삼국유사에서는 『고전기(古典記) 』라는 사서를 인용하는데 여기서 온조는 추모의 셋째아들이라고 기록 되어있다. >『고전기(古典記)』에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동명성왕|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 온조가 전한 홍가(鴻嘉) 3년 계묘(기원전 18)에 졸본부여에서 [[위례성]]에 이르러서는 수도를 정하고 왕이라 칭하였다. 14년 병진(기원전 5)에 한산(漢山)【지금의 [[광주시|광주(廣州)]]이다.】으로 수도를 옮겨 389년을 지냈다. >----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608&cid=62146&categoryId=62146|남부여ㆍ전백제ㆍ북부여]] === [[해동고승전]] === 해동고승전에서는 한국의 고대 사서인 『기로기(耆老記)』를 인용한 대목에서 백제의 건국이 등장하는데 이 기록에는 비류와 온조가 힘을 합쳐 나라를 세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로기(耆老記)≫에 이르기를,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은 [[고구려]] 여자에게 장가들어 두 아들을 낳아, 이름을 [[비류|피류]](避流)와 [[온조왕|은조]](恩祖)라 하였다. 두 사람은 뜻을 같이하여 남쪽으로 가서 한산에 이르러 나라를 세웠다.” >---- >해동고승전 제1권 석마라난타[[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hg&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hg_001r_0080_0010&position=-1|##]] === [[제왕운기]] === 제왕운기 권하 백제기에서는 '은조(殷祚)'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 사이가 주석 부분. 그러나 은조는 5개월만에 사망했고, 온조가 그 뒤를 이었다고 한다. >백제의 시조의 이름은 온조(溫祚)이니, 동명성제(東明聖帝)가 그 아버지였으며, 그 형 유리(類利)가 와서 왕위를 이으니, 마음이 편하지 못할 것 같아 남쪽으로 건너갔도다. 【동모(同母) 형 '''은조(殷祚)'''와 함께 남쪽으로 달아나 나라를 세웠는데, 은조는 왕위에 오른 지 5개월 만에 죽었다.】 >百濟始祖名溫祚, 東明聖帝其皇考, 其兄類利來嗣位, 心不能平乃南渡. 【與母兄殷祚, 南奔立國, 殷祚立五月而卒.】 >---- >제왕운기 권하 백제기 中 == 기타 == * 비류는 이름이 비슷한 [[비류왕]]의 활동 연대를 앞당겨 만들었을 것이라 보는 가설이 있다. 이에 따르면 [[해부루]](解扶婁)의 후손 [[우태]](優台)와 그 아들인 비류는 비류왕이 [[모델]]이며 [[해모수]](解慕漱)의 후손 고주몽(高朱蒙)과 그 아들인 온조는 [[근초고왕]]이 모델이었는데 근초고왕이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나라를 강성하게 하여 자신을 관념상 시조인 [[온조왕]]과 동일시하자 사관을 재구성하면서 '온조 시조설'이 '비류 시조설'을 제치고 주류가 되었다는 것이다. 비류는 비류국의 비류와 [[한자]]까지 똑같은데 온조왕이 [[백제]]의 순우리말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견해를 응용해 비류 또한 비류국에서 유래한 명칭이라고 해석한 것. [[비류국]] 항목에서도 나오지만 비류는 [[고구려]]에 합병된 후 비류나부(연노부)라는 이름으로 개칭되는데 한동안 전[[왕족]]으로서의 특권을 누렸다고 한다.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과 [[연수구]] [[옥련동]]의 경계선인 옹암교차로부터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을 잇는 왕복 약 17.5km의 도로인 [[비류대로]]는 이 사람의 이름에서 따왔다. == 대중매체에서 == * 2006년작 [[MBC]] 드라마 <[[주몽(드라마)|주몽]]>에서는 [[소서노]]와 우태 사이에 태어난 장남으로 등장하며 우태 사후 소서노가 [[주몽]]과 재혼하여 고구려의 [[왕자]]가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백제 왕실)] ---- [include(틀:고구려 왕실)] [[분류:몰년 미상]][[분류:고구려의 왕자]][[분류:백제 국왕]][[분류:동명이인]][[분류:동음이의어]][[분류:원삼국시대]][[분류:랴오닝성 출신 인물]][[분류:비정통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