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속공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20160713_dab8f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비상 식량, 일어판명칭=非常食(ひじょうしょく), 영어판명칭=Emergency Provisions, 효과1=①: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임의의 수만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이 카드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낸 카드의 수 × 1000 LP 회복한다.)] 자신 이외의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임의의 매수만큼 묘지로 보내는 발동 조건과, 묘지로 보낸 매수만큼 자신의 LP를 회복하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 활용 === 발동하는 상황에 따라 최대 5000 LP[* 마법/함정 존의 카드 4장 + 필드 마법 카드 1장]를 회복할 수 있는, '''회복계 최강 카드'''가 될 수 있는 카드. 보통 쓸모가 없어진 장착/지속 마법/함정 카드나 필드 마법 카드를 코스트로 삼아서 발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속공 마법인 덕에 상대의 마법/함정 카드 파괴에 체인하여 발동해서 손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별 쓸모는 없지만 발동한 비상 식량에 다른 비상 식량으로 체인을 걸어 다른 비상 식량을 코스트로 써버릴 수도 있다. [[성급한 매장]], [[계승의 상징]], [[의식 소환#계약 이행|계약 이행]], [[재융합]] 같은 것은 해당 카드가 '파괴'되는 경우에만 되살린 몬스터가 파괴/제외되기 때문에 이 카드의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면 되살린 몬스터는 필드에 남는다. 그 외에도 [[고블린의 운영 실력]], [[악몽의 신기루]]와의 조합이 특히 악명 높았는데, 필드에 고블린의 운영 실력 3장을 깔아둔 뒤에 고블린의 운영 실력 3장을 발동하면서 비상 식량을 발동하면 '''한 번에 덱에서 12장 드로우하고 3000 LP를 회복한 후에 패 3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이 콤보 때문에 한때 준제한으로 지정되었으나 듀얼 환경이 마법/함정 카드를 쉽게 제거하는 방향으로 변하면서 자연스럽게 무제한으로 완화되었다. 악몽의 신기루의 경우 후술할 애니메이션에서도 자주 나오는 '상대 턴에 패 보충 후 이 카드의 발동 코스트'로 삼는 방식이 유명했다. 물론 악몽의 신기루가 금지 카드가 된 것은 단순히 이 카드와의 연계 때문만이 아니긴 했다. 위의 내용과 비슷하게 자신에게도 디메리트를 주는 카드들을 필요할 때 제거해서 반격을 준비하는 용도로도 훌륭하다. [[체인 번]] 덱에서는 6 이상의 체인을 쌓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본래 마법 등은 사용하면 일단 필드 위에 남기 때문에 최대 5장 이상 전개할 수 없다. 그러나 필드에 4장의 함정 카드를 사용 후 5번째 체인으로 비상 식량을 발동하면 먼저 체인된 카드들을 전부 묘지로 보내는데[* [[고블린의 운영 실력]]과의 콤보와 마찬가지로 이미 발동했기 때문에 묘지로 보내져도 효과는 발동한다.] 그러면 마법 & 함정 존이 최대 4곳까지 비고, 여기에 [[노인의 맹독약]]이나 [[체인 스트라이크(유희왕)|체인 스트라이크]] 같은 속공 마법 카드를 패에서 발동하면 6 이상의 체인을 만들 수 있다. 다만 마법 & 함정 존 5칸을 모두 채운 상태에서 추가 드로우를 한 상태여야 이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실전에서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발동에 성공하면 체인 스트라이크로 한 번에 2000 이상의 데미지를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최대 회복량도 1000 이상인 데다 속공 마법이라 라이프로 승부가 나는 엑스트라 턴이 중요한 세계 대회에서는 세계 대회 특별 금제에서 비상 식량을 금지로 지정하고 있다. 마법 / 함정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것은 발동 코스트이기에 [[매크로 코스모스]]가 있다면 발동이 봉인된다. 추가로 어디까지나 '''묘지로 보내는''' 것이므로 파괴를 조건으로 효과를 발동하는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 등은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물론 필드를 벗어나거나 묘지로 보내지는 것을 조건으로 발동하는 카드들과는 연계 가능하다. [[펜듈럼 소환|펜듈럼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 이외인 상태에서 필드를 벗어나면 묘지가 아닌 엑스트라 덱에 놓기 때문에 발동 코스트로 사용할 수 없다. 설령 된다 하더라도 묘지로 안 가기 때문에 카운트도 안된다. === 기타 === [[본진 강습]]이라는 카드에서 [[고블린의 돌격 부대]]가 이것으로 식사를 하고 있다가 급습한 [[선봉 대장]]에게 당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다이몬 코고로]]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엘리멘트의 샘]]을 세트한 뒤 묘지로 보내 [[주사천사 리리]]의 코스트에 필요한 LP를 회복시켰다. 발동 시 카드에서 괴물체가 튀어나와 세트해 둔 카드를 먹어치우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옆에 있던 [[주사천사 리리]]의 놀라는 반응이 볼거리. 다만 이후에 등장할 때는 별다른 연출 없이 그냥 카드가 사라지는 식으로 연출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아멜다]]가 [[카이바 세토]]와의 2차전 듀얼 중 뽑은 카드로 등장. 공격 가능한 몬스터 카드를 뽑으면 이길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이 카드를 뽑는 바람에 승리의 기회가 물 건너가 버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에서는 [[무토우 스고로쿠|마스크 더 로쿠]]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발동시켜 놓은 [[악몽의 신기루]]를 묘지로 보내 디메리트를 피해 가는 식으로 사용했으며, 이후로도 [[카이바 세토]]가 [[지크 로이드]]와의 듀얼에서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어둠의 유우기]]는 [[레온 윌슨]]과의 듀얼에서 [[확산하는 파동]]의 발동 코스트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유우키 쥬다이]]가 스고로쿠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했다. [[융합 소환]]을 애용하는 쥬다이에게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과 함께 신기루 - 비상 식량 콤보는 툭하면 나와서 패 수급을 도와줬다. [[타이탄(유희왕)|타이탄]]은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이중마법]]의 효과로 이 카드를 가져와 사용했으며, [[카구라자카]]도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거미줄(유희왕)|거미줄]]의 효과로 가져와 사용했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마루후지 쇼]]가 [[마루후지 료]]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도 등장했다. [[유희왕 ZEXAL|유희왕 ZEXAL II]] 92화에서는 학교 축제에서 간이 카페인 'MonsterCafe'의 메뉴로 등장. [[유희왕 ARC-V]]에서는 [[시운인 소라]]가 유토와 듀얼을 하던 중에 융합 차원으로 강제 소환된 이후, [[유토(유희왕)|유토]]가 사용해 유우야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에 걸려있던 [[팬텀(유희왕)#팬텀 포그 블레이드|팬텀 포그 블레이드]]의 효과를 제거했다. 전술상의 의미보단 싸움을 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싶었기 때문.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는 [[시운인 소라]]가 [[데스티니 드로우]] 하는 랜덤 카드들 중 하나로 나온다. 아마 [[퍼니멀#토이팟|토이팟]] 처리용으로 추정. 여담으로 일러스트에 있는 [[통조림]][* 통조림 표면에 소와 물고기 사진이 있다.]과 [[비스킷]]은 실제 비상 식량의 정의에 따르면 그다지 좋은 비상 식량이 아니다. 휴대와 보존은 용이하나 목이 메기 때문에 물 없이 먹기가 힘든 데다 열량의 함량이 그렇게 높지 않아 효율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저것들은 비상 식량이라기보단 [[전투식량]]에 더 가깝다. 실제로도 위의 본진 강습에서 고블린 부대가 이것으로 식사하는 모습도 딱 전투식량으로 식사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1-09-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C-33 | '''Struggle of Chaos -闇を制する者-'''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4-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5-031 | DUELIST LEGACY Volume 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150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03-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YSD4-JP026 | [[스타터 덱 2009|STARTER DECK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119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2-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0-JP032 | [[펜듈럼 도미네이션|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ンデュラム・ドミネーション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06-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D-033 | '''[[어둠의 유산|LEGACY OF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6-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P6-EN012 | [[토너먼트 팩|TOURNAMENT PACK 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150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06-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5DS2-EN026 | [[스타터 덱 2009|5D's STARTER DECK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9-07-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2-EN055 | RETRO PACK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7-01-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PD-EN031 | [[펜듈럼 도미네이션|PENDULUM DOMINATION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8-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1-ENH12 | SPEED DUEL: STREETS OF BATTLE CIT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1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D-KR033 | '''[[어둠의 유산]]'''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150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9-10-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SD4-KR026 | [[스타터 덱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3-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0-KR032 | [[펜듈럼 도미네이션|스트럭처 덱 - 펜듈럼 도미네이션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상식량, version=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