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산 제국 샤한샤)] ||<-3><#611594> '''{{{#FFF 사산 제국 30대 샤한샤}}}''' [br] {{{+2 {{{#FFF '''𐭥𐭮𐭲𐭧𐭬 |비스탐'''}}}}}} || ||<-3> [[파일:비스탐.jpg|width=400]] || ||<|3><#611594> '''{{{#FFF 제호}}}''' || [[한국어]] ||비스탐 || || 중기 [[페르시아어]] ||𐭥𐭮𐭲𐭧𐭬 || || [[영어]] ||Vistahm || ||<-2><#611594> '''{{{#FFF 존호}}}''' ||[[샤한샤]] || ||<-2><#611594> '''{{{#FFF 생몰 년도}}}''' ||? ~ [[601년]] || ||<-2><#611594> '''{{{#FFF 재위 기간}}}''' ||[[595년]] ~ [[60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산 왕조]]의 제30대 [[샤한샤]]. == 생애 == [[사산 제국]]의 파르티아 7대 씨족 중 하나인 이스파부단에 속한 대귀족으로, 아버지는 샤푸르이고, 형제로 빈두이가 있었다. 이스파부단 가문은 사산 제국의 남서부 일대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의 누이는 [[호르미즈드 4세]]와 결혼하여 [[호스로 2세]]를 낳았다. 그러나 호르미즈드 4세는 농민과 소지주들의 권익을 지켜주기 위해 대귀족들을 숙청하였고, 그 과정에서 그의 아버지 샤푸르가 처형되었다. 그렇지만 호르미즈드는 이스파부단의 새 지도자로 샤푸르의 아들 비스탐을 임명했고, '사산인의 친척이자 동지'로 인정받을 정도로 높은 지위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였다. 590년 [[바흐람 추빈]]이 호르미즈드 4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켜 토벌군을 연이어 격파하면서 크테시폰으로 쳐들어오자, 비스탐은 빈두이와 함께 궁정 쿠데타를 일으켜 호르미즈드를 체포한 뒤 두 눈을 바늘로 찔려 실명시키고 감옥에 가둔 뒤 호스로 2세를 옹립했다. 그 후 호르미즈드는 피살되었는데, 호스로 2세가 두 형제에게 아버지를 죽이라고 시켰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하지만 바흐람 추빈은 "그대를 폭군을 축출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영웅으로서 후한 대접을 해줄 테니 그만 돌아가라"는 호스로 2세의 요청을 무시하고 계속 크테시폰으로 진격하였고, 그는 도저히 저항할 수 없다 판단하고 빈두이와 함께 호스로 일가를 모시고 동로마 제국으로 망명했다. 591년 [[마우리키우스]] 황제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바흐람 추빈을 축출하고 호스로 2세를 복위시키는 데 성공한 뒤, 그는 빈두이와 함께 권세를 누렸다. 빈두이는 호스로 2세 정권의 최고 관료가 되어고, 비스탐은 타바리스탄과 호라산을 아우르는 동방의 스파베드(spahbed) 직위를 받았다. 그러나 호스로는 두 형제가 이대로 권세를 누리게 내버려둔다면 왕권을 저해하게 될 거라고 판단했다. 595년, 그는 두 사람을 소환한 뒤 먼저 도착한 빈두이를 처단하고, 뒤이어 아버지를 살해하는 데 관여한 귀족들을 처형했다. 비스탐은 소환장을 받고 크테시폰으로 이동하던 중 소식을 접하자 길렌으로 도주한 뒤, 그곳에서 세력을 끌어모아 반란을 일으키고 샤한샤를 자칭했으며, 동전을 독자적으로 주조했다. 이때 바흐람 추빈의 잔당이 이 반란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바흐람의 누이 고르디야는 바스타함과 결혼하였고, 바흐람의 장남 샤푸르 역시 반란에 가담했다. 비스탐은 596년 레이 주변의 개방지를 통과한 후 메디아로 진격하려 했다. 그러나 호스로는 신속하게 토벌군을 파견했고, 레이 인근의 평원에서 반란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비스탐은 길렌의 산악지대로 패주한 뒤 토벌군을 상대로 유격전을 벌여 번번이 격퇴하면서 세력을 끌어모았다. 600년경, 그는 알보르츠 산맥의 가장자리에서 4개의 속주를 세우는 데 성공하였다. 호스로는 아르메니아 장군인 스바트 바그라투니를 파견하여 이들을 토벌하게 했고, 바그라투니는 비스탐을 격파하여 산골짜기로 몰아냈다. 비스탐은 동방의 두 통치자를 설득하여 이란 내륙으로 쳐들어오도록 유도했지만, 그 중 한 명이 호스로에게 투항하고 나머지는 부하들에게 살해되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601년, 스바트는 쿠미스 인근에서 비스탐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뒀고, 비스탐은 사로잡힌 후 호스로의 재촉으로 처형되었다. 하지만 반란군은 추격군을 격퇴한 뒤 길렌 산맥에서 계속 농성하였고, 스바트는 602년 또 다시 원정을 단행하여 이들을 토벌했다. 이리하여 호스로는 사산 왕조의 유일무이한 지배자로서 입지를 굳혔다. [[분류:사산 왕조 샤한샤]][[분류:601년 사망]][[분류:폐위된 군주]][[분류:비정통 샤한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