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병법서 비어고 == [[파일:비어고.jpg]] === 개요 === 備禦考.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이중협(李重協), 또는 다산 [[정약용]]이 저술한 조선판 국방백서. 총 10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비어고 - 산로도험보보위행영도권첩진도.png]] 비어고에 수록된 [[조선]] 후기 산악[[행군]]방법인 산로도험보보위행영도권첩진도.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이중협이 그동안 여러 차례의 외환을 막은 경험을 토대로 편찬하였다. 조선시대 병법ㆍ전쟁사ㆍ군사지리ㆍ외국 정보 등을 통합하여 10권의 총서 형태로 간행한 것이다. 비어고 1권에는 [[정약용]]이 조선시대 군대의 [[행군]]방법, 위험지역 통과방법, 야전에서의 [[식량]] 수급 문제, 경계와 신호방법 등을 기록한 병법책인 비어촬요가 실려있고, 2권에는 [[임진왜란]] 당시 전시재상이었던 [[류성룡]]이 1594년에 작성한 병서인 전수기의·산성고·해방고가 실려있다. 전수기의는 조선 중기 군대운영방법 10조목이고 산성고와 해방고는 조선 전역에 위치한 주요 산성과 수군 진영의 크기와 위치, 연혁, 방어거점 현황을 담은 것이다. 3~4권은 정약용이 [[일본]]의 병법을 편집한 일본고가 수록되어 있고, 5~6권은 [[징비록]], 7~8권은 총서의 제목과 동일한 정약용의 병서인 비어고가 수록되었다. 9권과 10권에는 기타 우리나라의 각종 [[안보]] 관련 문서와 저서가 수록되었다. 원래는 정약용의 저서를 중심으로 무신 이중협이 한국의 병법서들을 모아 총서로 발간한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2017년 9월의 연구에서 아예 총서 전체를 정약용이 썼다는 주장이 나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3095068|동아일보 : [단독]“조선판 국방백서 ‘비어고’ 실제 저자는 정약용”]] 조선 후기 한국의 군사 전략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외부 링크 === * [[https://citrain64.blog.me/100168467666|[우리나라 병서(兵書)] 비어고(備禦考) : 조선시대 병법·전쟁사·군사지리 등 정리한 책]]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8180&cid=46628&categoryId=46628|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비어고]] == 역사서 비어고 == === 내용 === 조선 후기의 문신인 정사욱(鄭士郁)이 조선시대 역대 전란(戰亂)에 대하여 기록한 군사 역사서. 총 8권 4책. 책의 주요 목차는 아래와 같다. * 권1 : 여말제난(麗末諸難) ·[[위화도 회군|위화회군]](威化回軍) ·이징옥지란(李澄玉之亂) ·[[이시애의 난|이시애지란]](李施愛之亂) ·윤필상협공건주(尹弼商夾攻建州) ·속고지난(速古之難) ·강계변흔(江界邊釁) ·[[임진왜란|임진지난]](壬辰之難) ·[[정유재란|정유지난]](丁酉之難) ·[[행주대첩|행주지전]](幸州之戰) * 권2 : 연안지전(延安之戰) ·제장창의(諸將倡義) ·[[이몽학의 난|이몽학지난]](李夢鶴之難) ·잡설(雜說) ·건주시말(建州始末) ·[[이괄의 난|이괄지난]](李适之難) ·유효립지난(柳孝立之難) ·[[모문룡]]수[[가도]](毛文龍守椵島) ·세종조정왜지역(世宗朝征倭之役) ·정건주위야인(征建州衛野人) ·허종정야인(許琮征野人) ·[[삼포왜란|삼포왜변]](三浦倭變) ·심사손위야인소살(沈思遜爲野人所殺) * 권3 : 연행문견(燕行聞見) * 권4 : [[최윤덕]]토파저강(崔潤德討婆猪江) ·[[윤필상]]토건주위(尹弼商討建州衛) ·[[김종서(조선)|김종서]]정사진(金宗瑞定四鎭) ·왜도관방(倭島關防) ·[[울릉도]]사실(鬱陵島事實) ·[[대마도]]사실(對馬島事實) ·사설초(僿說抄) * 권5 : [[정묘호란|정묘지난]](丁卯之難) ·[[병자호란|병자지난]](丙子之難) ·건주조전(建州助戰) ·[[가도|피도]]설진(皮島設鎭) * 권6 : [[진법(병서)|광릉진법]](光陵陣法) ·절제방략(節制方略) ·대열의주(大閱儀注) * 권7 : [[함경도|관북]]제승집(關北制勝集) ·해방소(海防疏) ·비왜론(備倭論) ·아란타설(阿蘭陀說) ·[[영국|영길리]]설(暎利說) ·하이론(鰕夷論) ·통문관지(通文館志) * 권8은 속오설(束伍說) ·약속(約束) ·중호설(重壕說) ·설책설(設柵說) ·수탄설(守灘說) ·수성설(守城說) ·통론형세(通論形勢)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6182&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비어고]] [[분류:조선의 병서]][[분류:정약용]][[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