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가톨릭 교황)] ||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토마스 팔레올로고스 8대 고문)] ||<-5><#806600> [[교황|[[파일:교황 문장.svg|height=40]] '''{{{#FFF 가톨릭 교회의 교황}}}''']] || ||<-5> [[파일:210_pio_II.png|height=125]] || || 제209대 [[갈리스토 3세]] || → ||<#806600> '''{{{#FFF 제210대 비오 2세}}}''' || → || 제211대 [[바오로 2세]] || }}} || ||<-10><:> [[파일:external/l7.alamy.com/pope-pius-ii-1405-1464-bxppxe.jpg|width=276&height=368]] || ||<-3><:> '''교황명''' ||<-7><:> 비오 2세 (Pius II) || ||<-3><:> '''본명''' ||<-7><:> 에네아 실비로 피콜로미니 (Enea Silvio Piccolomini) || ||<-3><:> '''출생지''' ||<-7><:> [[시에나 공화국]] [[시에나]] || ||<-3><:> '''사망지''' ||<-7><:> [[교황령]] [[안코나]] || ||<-3><:> '''생몰년도''' ||<-7><:> 1405년 10월 18일 ~ 1464년 8월 14일 (58세) || ||<-3><:> '''재위기간''' ||<-7><:> 1458년 8월 19일 ∼ 1464년 8월 14일 (3년 120일) || * [[라틴어]]: Pius II * [[이탈리아어]]: Papa Pio II [목차] == 개요 == 210대 [[교황]]. == 생애 == [[시에나]] 인근 코르시냐노[* 훗날 비오 2세는 이곳을 [[피엔차]]로 개명했다.]의 가난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농사를 짓다가, [[시에나 대학교]]와 [[피렌체 대학교]]에서 8년 동안 수학하며 [[인문주의]]에 빠져 지냈다. 1432년부터 1435년까지는 도메니코 키프리니치 [[추기경]]의 비서로, 그 후에는 다른 고위 성직자들의 비서로 [[바젤 공의회]]에 참석했고, 1435년에는 [[스코틀랜드 왕국]] [[제임스 1세(스코틀랜드)|제임스 1세]]의 궁전을 방문했으며, 니콜로 알베르키티 [[추기경]]과 동행하다가 단독으로 외교 임무를 띠고 여러 곳을 여행했다. 1436년에는 바젤 공의회에서 일하면서 연설가로서 탁월함을 발휘했다. 당시 [[에우제니오 4세]] 교황의 반대자였던 그는 1439년 11월 5일에 선출된 [[대립교황]] [[펠릭스 3세]]의 비서로 임명되었고, 바젤 공의회의 권위를 옹호하는 문답서를 집필했다. 1442년 펠릭스 3세가 그를 프랑크푸르트 제국의회에 보냈을 때, 그의 문학적 재능에 주목한 [[합스부르크 가문]]의 [[독일왕]] [[프리드리히 3세(신성 로마 제국)|프리드리히 3세]]는 그를 계관시인으로 추대했고, 자신을 위해 일할 것을 권했다. 이를 수락한 에네아는 프리드리히 3세의 상서인 카스파르 슐리크와 친하게 지냈다.[* 이 시기에 그가 쓴 소설로는 슐리크의 연애 모험담을 기리는 《에우리알로와 루크레티아》및 에로틱 코미디인 《크리시스》가 있다.] 1445년에 그는 대립교황 [[아메데오 8세|펠릭스 5세]]와의 관계를 단절했고, 에우제니오 4세와 공식적으로 화해했다. 같은 해에 중병에 걸리자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1446년 3월 4일에 [[빈(오스트리아)|빈]]에서 [[성품성사|사제서품]]을 받았다. 이후 몇년 동안 그는 프리드리히 3세와 독일 [[선제후]]들에게 중립을 포기하면서 에우제니오 4세를 유일한 합법 교황으로 인정하라고 설득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1455년까지 그에게 군주와 제국의 상서 칭호를 내리면서 지속적으로 그의 외교력을 활용했다. 그러는 동안 교황 [[니콜라오 5세]]도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1447년에 [[트리에스테|트리에스트]]의 [[주교]]로 임명했다. 이곳에서 그는 공의회주의자로서의 신념을 포기한 《철회의 편지》를 집필했다. 1450년에는 시에나의 주교로 착좌했다. 아라곤과 나폴리의 왕인 [[알리폰소 5세]]와의 성공적인 협상에 대한 보상으로 교황 [[갈리스토 3세]]는 1456년 12월 18일에 그를 산타 사비나 성당의 [[추기경]]으로 승품시켰다.[* 그의 중요한 저서인《프리드리히 황제의 역사》가 이때 집필되었다.] [[갈리스토 3세]]의 사망에 따른 [[콘클라베]]는 막후교섭이 판을 쳤다. 막후교섭 덕분에 이미 쇠약해진 53세의 에네아가 선출되었다. 그는 [[베르길리우스]]의 신심 깊은 [[아이네이아스]]를 되새기며 '비오'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문인이자 실천가의 선출은 인문주의자들에게 환호를 받았다. 그러나 비오 2세는 자서전을 포함해 많은 저서를 집필한 작가였지만, 인문주의자들의 후원자이기보다는 비평가였다. 그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대륙 진출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것이 그의 교황 선출에 큰 역할을 했다. 비오 2세는 이제 [[십자군]] 원정을 취우선 목표로 삼았다. 1458년 10월 그는 감동적인 문체의 십자군 칙서를 발표했고, 1459년 6월 1일에 [[만토바]]에서 그리스도인 군주들의 회합을 소집했다. 한편 [[나폴리 왕국]]의 왕좌를 두고 [[레나토(나폴리)|앙주 공작 르네 1세]]와 [[아라곤 왕국]] [[알리폰소 5세]]의 [[사생아]]인 [[페르디난도 1세(나폴리)|페란테]] 가운데 한 명을 선택해야 했던 그는, [[이탈리아 반도]] 내 세력 균형을 위해 페란테에게 유리한 결정을 했다. 가까스로 이루어진 회합에서 병력과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그의 제안들은 반대에 부딪혔다. 르네 공작을 거부한 것에 화가 난 [[프랑스 왕국|프랑스]]는 어떤 지원도 하려 하지 않았다. 프리드리히 3세는 파병을 약속했으나, 기간을 3년으로 한정하는 바람에 회합은 실패로 끝났다. 공의회의 과장된 권위 때문에 교황의 영향력이 쇠퇴했다고 확신한 비오 2세는, 1460년 1월 18일에 교황이 아닌 공의회에 항소하는 것을 비판하는 칙서 《엑세크라빌리스》를 발표했다. 만토바에서 서둘러 돌아온 비오 2세는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서 벌어진 프랑스와 아라곤 사이의 전쟁과 캄파냐 남작이 일으킨 봉기에 직면했다. 그는 이 문제들을 어려움 없이 처리했으나, 《부르주의 국본 조칙》 철회를 모색하고 있었던 터라 프랑스와의 관계가 점점 소원해지는 것을 감수해야만 했다. 1461년에 왕좌에 오른 [[루이 11세]]는 《부르주의 국본 조칙》을 폐지했다고 비오 2세에게 통보했다. 그러나 이는 나폴리에 대한 교황의 마음을 바꾸려는 술책이었다. 비오 2세가 페란테를 계속 지지하자, 루이 11세는 프랑스의 여론에 굴복하여 프랑스 교회의 전통적인 자유들을 재도입하는 법령을 반포했다. 반로마적인 성향이 강했던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쿠에스의 니콜라오가 브레사노네에서 개혁을 추진하고 있었는데 [[합스부르크 가문]]의 티롤 공작 지기스문트가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비오 2세는 지기스문트를 파문했고, 공작은 보편 공의회 소집을 요청했다. 동시에 비오 2세는 [[마인츠 선제후국|마인츠]] 대주교인 디터 본 이젠부르크에게 휘말렸는데, 디터는 [[보헤미아 왕국|보헤미아]] 국왕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의 편에 서서 프리드리히 3세를 대체할 [[독일왕]]으로 옹립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디터는 세계 공의회 소집을 요청했고 비오 2세는 그를 면직한다고 공표했다. 비오 2세는 가톨릭과 후스파가 합의한 바젤 협약(1437)을 거부했고, 이로 인해 후스파였던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와 불화를 빚었다. 이르지는 비오 2세의 십자군 조직과 [[그리스도교]]의 결정권자라는 교황의 전통적인 위상에 공공연히 도전하기도 했다. 십자군 조직뿐 아니라 이 모든 난관이 비오 2세의 발목을 잡았다. 그는 [[유럽]] 도처에 만연한 [[교황청]]에 대한 반발심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교황]]이 된 이래로 추구해 온 전반적인 교회 개혁과 교황청 개혁은 뜻대로 잘 추진되지 않았다. 비오 2세의 머릿속에는 늘 [[십자군]]이 있었다. 유럽 군주들이 십자군을 버리자 1460년에서 1461년 사이에 그는 술탄 [[메흐메트 2세]]에게 보내는 편지를 작성했다. 여기서 그는 《[[쿠란]]》에 대해 상세히 논박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설명하면서, 메흐메트 2세에게 [[이슬람]]교를 버리고 세례를 받아 [[동로마 제국|동방의 그리스도교 황제]]가 되라고 설득했다. 이 편지는 메흐메트 2세에게 전달되지는 않았으나 유럽 전역에 회람되면서 교황의 이상에 대한 열망을 드러냈다. 이 영향으로 1463년 10월에 [[베네치아 공화국|베네치아]]와 [[헝가리 왕국|헝가리]]가 원조하기로 했고, 비오 2세 자신은 치비타베키아 인근 톨파에서 발견된 명반 광산에 고무되어, 이듬해 여름까지 안코나로 십자군 집결을 명령했다. 그는 그리스도인 통치자들의 수치심을 자극하여 행동을 이끌어 내려고, 직접 나서서 십자군을 진두지휘했다. 민중의 지지와는 달리, 군주들은 한발 물러나 관망하는 형국이었다. 그럼에도 비오 2세는 자신의 원대한 계획을 고수했고, 1464년 6월 중병 중에도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는 십자가를 앞세우면서, 집결지인 안코나로 떠나 7월 19일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곳에는 극소수의 [[십자군]]만 있었다. 마침내 베네치아의 갤리선들이 나타났지만 교황은 사망했고 대규모 사업은 수포로 돌아갔다. 비오 2세의 심장은 안코나에 안장되었고, 시신은 일단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가 1614년에 산 안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으로 옮겨졌다. [[분류:이탈리아인 교황]][[분류:1405년 출생]][[분류:1464년 사망]][[분류:시에나 출신 인물]][[분류:피렌체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