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fff 비와 하야히데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 연도대표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수말)] [include(틀: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 || [include(틀:BNW)] ||<-3> '''1993년 [[JRA상]] 연도대표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iwahayahide.jpg|width=100%]]}}} || ||<-2> 이름 || ビワハヤヒデ[br]Biwa Hayahide || ||<-2> 출생 || [[1990년]] [[3월 10일]] || ||<-2> 죽음 || [[2020년]] [[7월 21일]] (30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회색 (芦毛, 아시게) || ||<-2> 아비 || 셔루드(Sharrood) || ||<-2> 어미 || 퍼시피커스(Pacificus) || ||<-2> 외조부 || [[노던 댄서]](Northern Dancer) || ||<-2> 생산자 || [[하야타 목장]] || ||<-2> 마주 || (유) 비와 || ||<-2> 조교사 || 하마다 미츠마사 (릿토) || ||<-2> 성적 || 16전 10승 (10-5-0-1) || ||<-2> 총상금 || 8억 9767만 5000엔 || ||<|3> 주요[br]우승 || G1 || [[킷카상]](1993)[br][[천황상#s-2|천황상·春]](1994)[br][[타카라즈카 기념]](1994) || || G2 ||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데일리배 3세 스테이크스]](1992)[br][[고베신문배]](1993)[br][[교토 기념]](1994) || || G3 || [[올 커머]](1994) || ||<-2> 주요 수상 || 1993년 (구) JRA상 최우수 4세 수말[* 현 JRA상 최우수 3세 수말.][br]1994년 (구) JRA상 최우수 5세 이상 수말[* 현 JRA상 최우수 4세 이상 수말.]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64 (1993)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010335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0231850/|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비와 1.jpg|width=100%]]||[[파일:Biwa_Hayahide_Portrait.jpg|width=100%]]|| || '''선명하게, 올곧게.[br]{{{-2 鮮やかに、ひたむきに。}}}''' || '''크게 피어나라[br]{{{-2 大輪として咲け}}}''' || || '''히어로 열전 No.38''' || '''2018년 명마의 초상''' || >'''크게 피어나라''' > >고개를 숙이지 마라 >어깨를 낮추지 마라 >멈춰 서지 마라 >꽃은 언젠가 피어난다 > >그러니 그때까지는 >느긋하게 나아가라 >전력으로 도전하라 >오만 없이 싸워라 > >그러면 그대는 >곧 큰 꽃송이가 된다 >---- >JRA 명마의 초상 [youtube(KbY6do43gaU)] >'''94년, 타카라즈카 기념.''' >'''팬 투표로 모인 14만 8768의 기대.''' >'''그 말에게는, 중압감이 아닌, 자신감이었다.''' >'''사랑 받기에 강한 것인가.''' >'''또는 그 반대인가.''' >'''5마신 차의 여유.''' >'''비와 하야히데.''' >'''진정한 강함은, 스릴조차 거부한다.''' >'''「작열의 그랑프리로」''' >---- >2013년 타카라즈카 기념 CM || [youtube(nVqlApsvjP8)] || 일본의 경주마. 이름인 '하야히데'는 "속력이 뛰어나('''速'''さに'''秀で'''る)"기를 바라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셔루드[br]{{{-2 Sharrood[br]198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카로[br]{{{-2 Caro[br]1967}}}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포르티노[br]{{{-2 Fortino}}}|| ||챔버드[br]{{{-2 Chambord}}}|| ||<|2>앤젤 아일랜드[br]{{{-2 Angel Island[br]197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쿠거[br]{{{-2 Cougar}}}|| ||후스 투 노우[br]{{{-2 Who's to Know}}}|| ||<|4>퍼시피커스[br]{{{-2 Pacificus[br]198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br]196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니어크틱'''[br]{{{-2 Nearctic}}}|| ||나탈마[br]{{{-2 Natalma}}}|| ||<|2>퍼시픽 프린세스[br]{{{-2 Pacific Princess[br]197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다마스쿠스[br]{{{-2 Damascus}}}|| ||피지[br]{{{-2 Fiji}}}|| ||<-3>* 나스룰라 S5×S5 6.25% || ||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볼드체는 '''G1/Jpn1''' 우승마.] ||<-2> '''[[나리타 브라이언]]'''(父 [[브라이언스 타임]]) ^^(1991)^^, 비와 타케히데(父 브라이언스 타임) ^^(1995)^^ || 반형제인 '''나리타 브라이언'''은 '''클래식 삼관'''을 비롯하여 G1 5승을 기록했다. 브라이언은 이 업적으로 JRA 1994년 연도대표마, 현창마에 올랐다. 나리타 브라이언의 전형제, 즉 비와 하야히데의 또다른 반형제인 비와 타케히데는 1998년 [[라디오NIKKEI상|라디오탄파상]](GIII)를 우승했다. 모마 퍼시피커스의 반형제 여동생 캣퀼(Catequil)은 [[팔레놉시스]]와 [[키즈나(말)|키즈나]]의 모마다. == 생애 == === 데뷔 전 === 어머니 퍼시피커스(Pacificus)는 셔루드의 새끼를 밴 상태에서 1990년 영국의 셀렉트 세일에서 [[하야타 목장]] 대표 하야타 코이치로가 3만1천 기니(약 560만엔)에 낙찰 받았다. 원래 홋카이도 하야타 목장에서 출산할 예정이었지만 당시 버블 경제로 인한 호황으로 경주마들이 많이 수입되면서 검역 허가가 늦어져 출산예정일이 다가왔기 때문에 하야타 목장의 초창기 목장인 후쿠시마의 하야타 목장으로 가 출산했다. 덕분에 2차 대전 이후 일본 경주마로서는 얼마 안되는 후쿠시마산 말이 되었다.[* 그레이드제 도입 이후 JRA G1 우승마(NAR의 GI/Jpn1 대회 제외) 중 출생지가 홋카이도가 아닌 말은 비와 하야히데와 [[위너즈 서클]](이바라키현), 2001년 한신 쥬브나일 필리즈 우승마 타무로 체리(아오모리현) 셋 이다.] 태어난 후 얼마 안 돼서 홋카이도 하야타 목장으로 이동했고 태어난 지 1개월 후에 비와 관명의 나카지마 이사무에게 판매되어 경주 연령을 기다리게 되었고 1991년 5월 3일에는 반형제 동생인 [[나리타 브라이언]]이 태어났다. 1991년 가을 목장 울타리에 부딪혀 그 파편에 오른쪽 앞다리 무릎 아래를 깊이 찔렸는데 불행 중 다행으로 인대는 피해갔으며, 1cm만 더 깊이 들어갔더라면 인대 손상으로 경주마 생명이 끊어졌을 중상이었다. 경주 연령 3세가 되어 1992년 4월 1일, 같은 하야타 목장의 비와 미사키와 함께 조교사 하마다 미츠마사에게 맡겨졌다. 원래는 비와 미사키가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비와 미사키의 조교 상대로 비와 하야히데를 붙이면서 하마다는 1초는 늦을 거라 보고 있었다. 비와 하야히데는 채찍을 50번 이상 받으면서도 비와 미사키에게 따라 붙어 "근성이 대단한 말이구나. 이건, 데뷔전이 기대된다" 라고 하마다를 감탄시켰다. === 1992년 3세 (현 2세) === 9월 13일의 한신 경마장에서 데뷔 5년째인 키시 시게히코를 기수로 데뷔전을 치러 2위에 대차(10마신 이상)의 압승을 거두었다. 이어진 모미지 스테이크스도 레코드 타임으로 승리하고 다음 경기인 데일리배 3세 스테이크스에서는 잔디 1400m의 3세 레코드를 일거에 1.2초 단축하는 1분 21초 7의 타임으로 승리했다. 12월 13일, 3세 말 최강 결정전인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에 나가 엘웨이 윈에 코차로 2착을 기록했다. 데뷔 후 첫 패배였지만 당시의 규정에서는 외국산 말인 엘웨이 윈에 다음해의 클래식 경주 출주권이 없었기 때문에 클래식 노선 최유력마의 평가는 달라지지 않았다. === 1993년 4세 (현 3세) === [include(틀:199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1993년 첫 경기 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에서 코차로 2착을 기록한 후 마주 나카지마 이사무가 기수 교체를 요구했고 조교사 하마다 미츠마사는 기수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렸지만 결국 기수 키시 시게히코가 하차하게 되었다. 하마다는 새 기수로 [[타케 유타카]]를 추천했지만 나카지마가 베테랑 기수를 원해서 [[오카베 유키오]]를 삼고초려 끝에 기수로 맞아들였다. 오카베와의 첫 경기 와카바 스테이크스에서 낙승하며 이 후 경기는 모두 오카베 유키오가 기승하게 된다. 클래식 첫 경기 [[사츠키상]]은 야요이상을 우승한 [[위닝 티켓]]과 비와 하야히데가 1, 2번 인기로 2강 대결이 점쳐졌다. 그러나 후방에서 두 말의 움직임을 엿보던 타케 유타카가 기승한 [[나리타 타이신]]이 바깥에서 단번에 쫓아와 비와 하야히데는 골 직전 나리타 타이신에 목차로 패해 2위에 만족해야 했다. 비와 하야히데와 위닝 티켓의 2강 구도가 깨지며 이 때부터 BNW의 라이벌 구도가 형성되었다. 5월 30일의 [[일본 더비]]의 배당 확률은 [[위닝 티켓]]이 3.6배 1번 인기, 비와 하야히데가 3.9배 2번 인기, [[나리타 타이신]]이 4.0배 3번 인기로 팽팽한 3강 구도였다. 마지막 직선 주로에서 3강이 다른 말들을 멀찍이 떨어뜨리며 명경기를 펼친 끝에 위닝 티켓이 1위, 비와 하야히데 2위, 나리타 타이신이 3위로 끝마쳤다. 봄의 2관에서 2위 2회라는 아쉬움에 언론에서는 큰 승부에 약하다던가 마일 이상의 거리는 힘들다는 평가가 나왔다. 더비 이후 다른 유력마들이 휴양에 들어갔지만 비와 하야히데는 릿토에 남아 조교가 계속되었다. 조교사 하마다 미츠마사는 스파르타 훈련으로 유명한 토야마 타메오 조교사가 키운 [[미호노 부르봉]]의 조교를 본받은 하드 트레이닝 끝에 비와 하야히데는 탄탄한 마체로 성장했다. 또 지금까지 경주에서 붉은 색 멘코를 씌웠던 것도 외부에 자극시켜 승부에 민감하게 반응시키기 위해 2주 동안 점차적으로 벗겨 데뷔 이래 처음으로 맨얼굴로 출주가 된 가을 복귀전 고베신문배에서 [[네하이 시저]]에 1.5마신 차의 승리를 거두었다. || [youtube(lbL5Us9lLsU)] || || 1993년 [[킷카상]] 영상 || 11월 7일 삼관 최종전 [[킷카상]], [[나리타 타이신]]이 폐출혈의 영향으로 컨디션이 떨어져 교토신문배를 우승하고 온 [[위닝 티켓]]과 비와 하야히데의 2강 구도로 점쳐졌고 당일은 처음으로 위닝 티켓을 넘어서며 1번 인기에 지지된다 . 제 3 코너를 돌면서 스퍼트해 마지막의 직선에 들어간 시점에서 선두에 서 그대로 2위 스테이지 챔프에 5 마신차, 3분 4초 7로 작년의 [[라이스 샤워]]가 기록한 잔디 3000미터의 일본 레코드를 0.2초 갱신하며 첫 클래식, GI경주 제패를 이루어냈다. 조교사 하마다, 마주 나카지마도 이것이 GI경주 첫 승리였다. [[아리마 기념]]에 팬 투표 1위, 8마리의 GI 우승마가 나온 가운데 배당 확률 1번 인기로 나가게 되었다. 마지막 직선 입구에서 선두에 섰지만 작년의 아리마 기념으로부터 1년만의 출주였던 [[토카이 테이오]]의 기적의 부활에 반 마신차로 2위를 기록했다. 작년 토카이 테이오의 주전 기수였던 [[오카베 유키오]]는 "테이오에게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내년은 돌려주지 않는다" 라고 인터뷰했다. 다음해 1월에 발표된 JRA상 표창에서 킷카상의 타이틀과 GI 2위 3회의 안정된 성적이 평가되어 [[야스다 기념]], [[천황상 가을]] 우승마 [[야마닌 제퍼]]를 제치고 연도대표마에 선출됐다. 덧붙여 최우수 3세 수마에는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에서 우승한 반동생 [[나리타 브라이언]]이 선출되었다. === 1994년 5세 (현 4세) === [include(틀:1994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1994년 2월 교토 기념에서 7 마신차 압승을 거두었다. 다음날에는 [[나리타 브라이언]]이 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를 승리해 형제가 이틀 연속으로 중상제패를 달성했다. || [youtube(tBD28I6NhGI)] || || 1994년 [[천황상]](봄) 영상 || 이어진 [[천황상 봄]]에 단승 확률 1.3배로 압도적 1번 인기로 나와 [[나리타 타이신]]의 추격을 뿌리리며 우승, GI 2승째를 거두었다. 지난 주 [[나리타 브라이언]]이 사츠키상을 레코드 타임으로 우승했기 때문에 실황 중계의 [[스기모토 키요시]]는 “형도 강하다, 형도 강하다, 동생 브라이언에 이어 형도 강하다” 라 코멘트했다. || [youtube(Lttv8r2va0Y)] || || 1994년 [[타카라즈카 기념]] 영상 ||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나리타 타이신]]이 빠지면서 GI승마가 비와 하야히데와 [[베가(말)|베가]] 단 2마리 뿐이었고 2위 아일톤 심볼리에 5마신 차, 2분 11초 2로 잔디 2200미터의 일본 레코드 타임을 기록하며 승리했다. 2주 전 [[일본 더비]]에서 [[나리타 브라이언]]이 압승을 거두면서 비와 하야히데와 나리타 브라이언 진영간의 라이벌 구도가 더욱 짙어졌다. 조교사 하마다 미츠마사는 올커머, [[천황상 가을]]에 나간 후 [[재팬 컵]]에 나가지 않고 휴식을 취한 후 [[아리마 기념]]에서 나리타 브라이언과 만나는 가을 일정을 발표했다. JRA 주관지 "유슌"에서 일본 고마 최강인 비와 하야히데가 재팬 컵에 나가지 않는 다는 것이 옳은 결정인지 독자들에게 설문조사까지 할 정도로 논란이 되었는데 조사 결과 회피 찬성 48%, 원래 팬에게는 출주 요구 권리가 없다는 의견이 25%, 회피 반대 22%로 나왔다.[* JRA에서는 재팬 컵에 왜 나가지 않느냐는 의도였는지 모르지만 팬들은 잘 준비해서 나리타 브라이언과의 정면승부를 보고 싶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볼 수있다.] 올커머에서는 아리마 기념 이후 첫 대결이었던 [[위닝 티켓]]에 1 3/4 마신차로 승리했다. 그러나 이어진 [[천황상 가을]]에서 부상을 입어 5착을 기록했고 경기 후 말 수송차에서 왼쪽 앞다리 굴건염으로 판명되었다. 위닝 티켓도 천황상(가을) 이 후 굴건염으로 은퇴를 발표했고 이어 비와 하야히데도 경기 3일 후인 11월 2일에 은퇴가 발표되었다. [[나리타 브라이언]]과의 형제 대결은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 천황상(가을) 일주일 후에 열린 [[킷카상]]에서 나리타 브라이언이 우승하며 3관마가 되었고 실황 중계의 스기모토 키요시는 "동생은 괜찮다" 라는 코멘트를 연발했다. === 은퇴 후 === [[파일:1200px-Biwahayahide.jpg]] 은퇴 후 종마로서는 그다지 활약하지 못했지만, 장폐색으로 요절한 동생과 달리 건강하게 잘 살아갔다. 2020년 7월 21일에 죽었으며, 죽을 당시 30세로 [[심볼리 루돌프]]처럼 경주마치고는 매우 장수한 축에 속한다. 여담으로 [[나리타 타이신]]도 같은 해에 생을 마감하였다. == 평가 == 매우 뛰어난 안정성과 최고 레벨의 실력을 가진 경주마로, 역대 2위 기록인 15경주 연속 연대(連対)와[* 경주에서 2착 이내로 들어오는 것을 '연대'라고 하는데, 굴건염이 발병해 5착을 기록한 마지막 시합을 제외하면 커리어 내내 1~2착 밖에 해본 적이 없다. 참고로 연속 연대 최고 기록은 19전 15승을 거두는 동안 단 한 번도 2착 밖으로 밀려난 적 없이 연대율 100%를 기록한 '신마' [[신잔]]이다.] 중거리~장거리를 모두 커버한 레코드 갱신이 이를 입증한다. JRA의 2013년 CM 중 비와 하야히데의 주연 CM 코멘트로는 '''"진정한 힘은 스릴조차 거부한다"는 캐치프레이즈'''가 붙었는데, 하야히데의 강함을 상징하는 문구라 할 수 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관련해서도 [[https://youtu.be/3o4UkLqX1fQ|일본 경마를 대표하는 4대 왕도마]]를 다룬 CM이 있는데, 여기서도 [[스페셜 위크]], [[심볼리 루돌프]], [[메지로 맥퀸]]과 더불어 왕도를 상징하는 말로 어엿하게 등장한다.[* 장거리 경마의 왕도라는 것 자체가 선행으로 그룹에서 치열하게 싸우며 페이스를 유지하다가 뛰쳐나가야 할 마지막에 크게 달리는 것으로, CM에 나온 4마리 말 모두 주 각질이 선행이다. 하야히데를 포함한 나머지 모두가 대부분의 커리어를 3착 이내로 유지했던 무시무시한 말들이다.] 하지만 커리어를 화려하게 장식할 결정적인 순간에는 2착으로 조연이 되어버리는 비운을 여러 번 겪었다. 거기다 라이벌들과의 격차를 압도적으로 벌린 시점에는 최강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클래식 시즌을 보낸 반형제 동생 [[나리타 브라이언]]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빼앗겼으며, 설상가상으로 상기한대로 1993년 아리마 기념에선 기적적으로 부활한 토카이 테이오에게 밀리는 등 현역 시절 내내 화제의 중심에는 서지 못한 편이다. 어찌보면 참 시대를 잘못 탄 비운의 명마. 라이터 타니가와 요시히사(谷川善久)는 이런 비와 하야히데를 '''"진짜 스타 자리에는 오르지 못한 채 경주마 생활이 끝났고, 항상 레이스의 중심에 있었지만 화제의 중심에는 없었던 말"'''이라 평했으며, 경마 만화가 요시다 미호(よしだみほ)는 [[티엠 오페라 오|'''"실적에 비해 평가가 낮다"''']]고 코멘트했다. 이렇듯 인기가 높지 못했던 데에는 경주 스타일도 한 몫했는데, 일관된 선행 페이스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승리하는 스타일이다보니 경기를 보는 재미는 그다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시에는 잘 몰랐는데 되돌아보니 엄청나게 강했다"라며 뒤늦은 재평가를 받기도 한다. 커리어가 평가절하 당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관동에서 G1 커리어를 얻지 못한 점이다. 그리고 중상의 경우, 나카야마에서 [[천황상|천황상(가을)]]의 전초전인 [[올커머]]에서 1승을 한 것 이외에 모든 나카야마, 도쿄 경마장에서 한번도 우승을 하지 못하며 원정경기에 약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잘 부각되지 않는 사실이지만 상당한 강골이기도 했는데, 그 엄청난 하드 트레이닝을 받고도 현역시절 내내 별다른 부진 없이 매우 안정적인 성적을 거뒀다. 비와 하야히데처럼 하드 트레이닝을 받은 다른 말들은 나중에 어떤 식으로든 훈련의 후유증을 겪은 걸[* [[미호노 부르봉]]은 킷카상 이후 계속된 잔부상과 컨디션 불량으로 결국 복귀하지 못하고 그대로 은퇴, [[라이스 샤워]]는 아예 경기중에 다리 골절로 안락사 당했으며, [[키타산 블랙]] 역시 한동안 크게 슬럼프를 겪어야했다.] 생각하면 몸 하나는 정말 튼튼했던걸로 보인다. 30살까지 장수한 비결 역시 이 튼튼한 몸 덕분이었던걸로 보인다. == 여담 == * [[슈퍼 크릭]]과 함께 역대 명마들 중 손꼽히는 [[큰 머리|대두]]다. 고베 신문배 당시 처음으로 멘코(말의 얼굴에 흙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가면)를 벗은 비와 하야히데를 보고 당시 아나운서인 [[스기모토 키요시]]가 '''"이거 놀랍네요. 뭐에 놀랐냐면, 커다란 얼굴에 놀랐습니다."''', '''"사진 판정까지 가면 유리하지 않을까요"'''라고 코멘트했다. 비와 하야히데의 머리가 큰 만큼 코가 더 앞으로 나올 테니 유리할 거라는 의미로 한 말이지만, 정작 비와 하야히데는 사진 판정 덕을 본 적이 없다. 스포츠 칼럼니스트 아베 타마키(阿部珠樹)는 '''"[[오카베 유키오]] 기수를 태운 비와 하야히데를 보니, 기수의 몸보다 말의 머리가 훨씬 크고 길어보여서 나도 모르게 웃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비와 하야히데의 판매 중개를 맡았던 닛세이 목장 목장장은 얼굴이 유독 하얘서 커 보일 뿐이라고 항변했지만,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말을 믿는 사람은 없다. 회색 말은 원래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검은 털이 줄어들어가며 희게 변하는데, 비와 하야히데는 실제로 얼굴부터 빠르게 하얘져서 어두운 곳에선 얼굴만 둥둥 떠있는 듯한 독특한 모습이긴 했다. 물론 머리 자체도 크다... *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토카이 테이오]]와 나란히 찍힌 [[http://blog.cnobi.jp/v1/blog/user/af84177ebb0b7fc41c5daa3e5dd155bd/1257680587|원근감이 이상한 사진]][* 토카이 테이오가 부상 후 1년만에 복귀해 우승한 93 아리마 기념의 장면이다.]이 있는데, '''토카이 테이오가 분명히 앞에 있는데도 비와 하야히데의 머리가 더 크게 찍혔다.'''[* 간혹 체격은 그렇다고 쳐도 체중 차이가 많이 나서 상대적으로 커보이는 걸 대두로 오인하는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데, 당시 테이오의 체중은 474(+14)kg이었으며, 비와는 482(+2)kg이었다.] * 앞서 언급된 신체적 특징은 우마무스메 캐릭터에 반영되어, 우마무스메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비와 하야히데]]는 ''''머리가 크다'거나 그와 비슷한 소리만 들어도 "누구 머리가 크다고!?", "내 머리는 안 커!"라며 발끈하는 캐릭터'''가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캐릭터 페이지를 참조. * 경주마 시절 체중은 평균보다 조금 위인 470kg~480kg대였는데, 탄력 있고 탄탄한 몸 덕에 실제 체구보다도 커 보였다고 한다. * 조교사였던 하마다 미츠마사(浜田光正)는 비와 하야히데의 성격에 대해 "겉으로는 느긋하고 침착해 보이지만 내면은 섬세하고 신경질적인 말"이라고 증언했으며, 이런 성격 때문에 본거지인 관서에서 관동으로 이동한 경기에 약했고 2착으로 패한 경주인 아사히배나 교도통신배 때 심리적으로 위축된 상태로 경주에 나갔다고 밝혔다. * 비와 하야히데는 뛰어난 성적에 비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지는 못했지만, 결코 인기가 없는 말은 아니었다. 차분해 보이는 외모 덕분에 여성 팬들이 특히 많았으며, 담당 조교사 하마다 미츠마사의 증언[* 명마 열전 비와 하야히데 단행본에 수록되어 있다.]에 따르면 골판지 상자 5개 분량의 팬레터를 받은 적도 있다고 한다. * [[바나나]]를 매우 좋아했다. 말은 원래 단 음식을 좋아하는 동물이라 바나나도 좋아하는데, 비와 하야히데는 유난히 바나나에 대한 식탐이 대단해 사육사가 바나나를 들고 오면 '''[[https://youtu.be/_QQL2JwXUMo|당근을 먹다가도 바로 뱉어버리고 바나나를 달라고 보챌 정도]]'''였다고 한다. * 연도 대표마에 선정되었을 때 약간 논란이 있었는데, '''G1 2승마인 [[야마닌 제퍼]]가 있는데 어째서 1승마인 비와 하야히데가 연도 대표마가 되었는가?"라는 이유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는 야마닌 제퍼가 주로 단거리-마일 전선에서 활약했던지라 중장거리 노선인 클래식 출주마들에 비해 평가가 절하되는 경향이 강하고[* 실제로 당시 야마닌 제퍼가 주 종목도 아닌 중거리 경기인 천황상(가을)에 출주한 이유 역시 단거리-마일의 기록만으로는 은퇴 후 종마로 고평가받기 힘들거라 판단해서였다고 한다.], 역시 상대적으로 봄-여름보단 가을-겨울에 활약한 말이 평가가 높기 때문[* 덕분에 클래식 시즌에 G1 2승 이상을 올린 말이 없을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열리는 아리마 기념에서 우승한 말이 연도 대표마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으로, 비슷한 예로 1982년에 봄 천황상과 타카라즈카 기념의 2승을 올린 [[몬테 프린스]]란 말이 아리마 기념 1승의 [[히카리 듀얼]]이란 말에게 밀려 연도대표마를 받지 못한 경우가 있다.[* 사실 히카리 듀얼의 경우엔 서러브레드가 아닌 서러브레드계의 혈통(혈통서가 없는 말이 아래로 직계 8대 안에 들어 있는 말. 경주마로 출전은 가능하나 저 선조의 혈통서 없는 말이 혈통표의 8대 안에서 밀려 사라지기 전까지는 후손들도 서러브레드계로 취급된다.)에다, 지방에서 그리 성공적이지 못한 커리어를 보내다가 중앙으로 이적해오자 마자 첫 출전한 중상에서 우승하고 아리마 기념까지 제패한 인상적인 사연이 있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2년 {{{-1 (3세, 현 2세)}}} || || 9.13 || [[한신 경마장|한신]] ||<-2> 3세 신마 || 잔디 1600m || 6.9 || 2 || '''{{{#red 1착}}}''' ||<|4> 키시 시게히코 || (티엠 신잔) || || 10.10 || [[교토 경마장|교토]] || 모미지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600m || 2.3 || 1 || '''{{{#red 1착}}}'''[*레코드] || (실크 문라이트) || || 11.7 || 교토 || [[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데일리배 3세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400m || 1.7 || 1 || '''{{{#red 1착}}}'''[*레코드] || (티엠 허리케인) || || 12.13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600m || 1.3 || 1 || 2착 || 엘웨이 윈[*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일본의 경주마. 이후 아사히배 3세S를 우승한 지 3년 11개월 만에 [[아르헨티나 공화국배]]에서 중상 승리를 거둔다. 이는 2021년 [[마카히키]]가 [[교토대상전]]을 우승하기 전까지, 일본 GI 우승마의 최장기 중상 승리 간격이었다.] || ||<-10> 1993년 {{{-1 (4세, 현 3세)}}} || || 2.14 || [[도쿄 경마장|도쿄]] || [[교도통신배|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1.3 || 1 || 2착 || 키시 시게히코 || 마이네르 리마크 || || 3.20 || 나카야마 || 와카바(若葉) 스테이크스 || OP || 잔디 2000m || 1.3 || 1 || '''{{{#red 1착}}}''' ||<|6> [[오카베 유키오]] || (켄 토니 오) || || 4.18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3.5 || 2 || 2착 || [[나리타 타이신]] || || 5.30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3.9 || 2 || 2착 || [[위닝 티켓]] || || 9.26 || 한신 || [[고베신문배]] || GII || 잔디 2000m || 1.6 || 1 || '''{{{#red 1착}}}''' || ([[네하이 시저]]) || || 11.7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2.4 || 1 || '''{{{#red 1착}}}'''[*레코드] || (스테이지 챔프) || || 12.26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3.0 || 1 || 2착 || [[토카이 테이오]] || ||<-10> 1994년 {{{-1 (5세, 현 4세)}}} || || 2.13 || 교토 || [[교토 기념]] || GII || 잔디 2200m || 1.2 || 1 || '''{{{#red 1착}}}''' ||<|5> 오카베 유키오 || (루블 액트) || || 4.24 || 한신 || '''[[천황상#s-2|천황상(봄)]]''' || '''GI''' || 잔디 3200m || 1.3 || 1 || '''{{{#red 1착}}}''' || (나리타 타이신) || || 6.12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1.2 || 1 || '''{{{#red 1착}}}'''[*레코드] || ([[아일톤 심볼리]]) || || 9.18 || 나카야마 || [[올커머]] || GIII || 잔디 2200m || 1.2 || 1 || '''{{{#red 1착}}}''' || (위닝 티켓) || || 10.30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1.5 || 1 || 5착 || [[네하이 시저]] ||}}} [include(틀:킷카상,grade=GI)] [include(틀:천황상 봄,grade=GI)] [include(틀:타카라즈카 기념,grade=GI)] ---- [include(틀:데일리배 2세 스테이크스,grade=GII)] [include(틀:고베신문배,grade=GII)] [include(틀:교토 기념,grade=GII)] ---- [include(틀:올커머,grade=GI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149, title2=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version2=129)]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90년 출생/경주마]][[분류:2020년 죽은 동물]][[분류:회색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포르티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