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기화합물/비타민)] [include(틀:화합물 정보, formula=C8H11NO3, name_ko=피리독신, name_en=Pyridoxine, category=비타민, color=무색, state=고체, weight=169.18, density=, melt=, meltc=, meltf=, boil=, boilc=, boilf=, CAS=65-23-6, ref=)] [목차] == 개요 == '''비타민B,,,6,,,'''(Vitamin B,,,6,,,)은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체내에서 다양한 효소 반응에 관여하는 조효소 [[P5P]](피리독살 5'-인산, Pyridoxine 5'-phosphate)의 전구체들을 가리킨다. 1935년 미국 [[생리학]]자 센트죄르지 얼베르트(Szent-Györgyi Albert, 1893 ~ 1986)에 의해 발견되었다. 니코틴산에 이어 발견된 쥐의 항피부염인자이다. == 기능과 기전 == 피리독신(Pyridoxine,PN)은 생체내에서 [[인산기]]와 결합하여 활성화된 [[P5P]](Pyridoxine 5'-phosphate 또는 PNP)가 된다. 이러한 비타민 B6로 불리는 비타민B군중 주요한 생화합물 및 기작중 하나인 PN(피리독신)은 아미노산대사에 주요 [[조효소]](Co-enzime)이다. [[메티오닌]](Methionine)은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이자 보조인자인 S-아데노실 메티오닌(SAM, S-adenosyl methionine)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모든 유기체에 필수적이며, 동시에 메틸화(methylation)와 함께 황화(sulfuration)와 아실화(acylation)의 3가지 핵심단계를 구성한다. 피리독신(Pyridoxine,PN)을 포함하는 B6는 [[시스테인]](Homocysteine)과의 관련으로 생체내 거의 대부분의 면역계나 호흡계 및 대사 과정에 광범위하게 요구된다. [* Microbiology Society logo Volume 160, Issue 8 Review ,Bacterial methionine biosynthesis , Matteo P. Ferla, Wayne M. Patrick, First Published: 01 August 2014 [[https://doi.org/10.1099/mic.0.077826-0]] ] 이러한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들로는 Cys-Met 대사 P5P 의존성 효소군(Cys-Met metabolism P5P-dependent enzyme family)이 있다. == P5P == || B6 || 엑티베이티드(activated)- P5P 활성형들 || || 피리독신(Pyridoxine,PN) || PNP(Pyridoxine 5'-phosphate) || || 피리독사민(Pyridoxamine,PM) || PMP(Pyridoxamine 5'-phosphate) || || 피리독살(Pyridoxal,PL) || PLP(Pyridoxal 5'-phosphate) || == 화학구조 == || [[파일:Structure2D_CID_1050.svg|width=250]] || [[파일:Structure2D_CID_1052.svg|width=250]] || [[파일:Structure2D_CID_1054.svg|width=250]] || || 피리독살(Pyridoxal,PL) || 피리독사민(Pyridoxamine,PM) || 피리독신(Pyridoxine,PN) || == 결핍 == 비타민 B6이 결핍된 쥐는 생장이 멈추고, 사람에서는 결핍증이 일어나기 어렵지만 눈 ·코 ·입 주위에 피부염이 나타난다. 또 B6이 결핍되면 여러 장기에 동맥경화증이 일어난다. 옥수수, 쌀겨 등 곡류 및 소의 간, 생선 등에 함유되어 있다. == 함유 식품 == 피리독신(Pyridoxine,(비타민)B6)은 어류, 난류(알), 육류 및 동물의 내장(간, 허파등)과 현미, 바나나, 대두, 마늘, 감자,시금치 등 식물성 식품에도 풍부하다. [[5 Hour Energy]]는 한 병의 피리독신 함유량이 권장량의 20배나 된다. [[분류:비타민]][[분류:페놀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