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의식, 심리학)] [목차] == 개요 == [[사회]]에 일어나는 현장에서 사람들의 하는 행동을 보고 좋은 점과 나쁜 점을 구분해서 [[비판]]하는 [[의식]]. [[정치인]]이나 [[직장인]]들이 일을 제대로 하는 지 안하는 지 구분을 해서 나쁜 점을 비판하고 인터넷에 일어나는 부족한 정보를 채우도록 개선해서 미래를 발전시킨다. 특히 [[예능중독]] 때문에 사람들이 오락매체와 농담에 몰두하느라 머리를 안 쓰고 시도때도 없이 웃으면서 대화를 하는 등 진지하지 못한 태도마저 보인다. [[예능 프로그램]]을 비판하는 이유는 프로그램의 작품성이 얼마나 좋은 지 나쁜 지 구분해야 나중에 [시사 프로그램]을 늘이고 [교양 프로그램]도 개선해서 시청자들에게 편성 다양성을 심어줘야 된다. TV 중독에 빠지면 아무런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고 그저 멍 하니 TV만 보면서 시간을 보내게 된다. 몇몇 부모들은 자녀의 TV 중독을 방지한다는 명분으로 아예 집에 TV를 가져다놓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을 보는 아이들의 경우 과장된 내용이나 빠른 전개속도 때문에 학습능력에 지장이 생긴다. 현대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으로 TV 프로그램들을 실시간 혹은 다시보기로 볼 수 있으므로 의미가 퇴색했다. [[분류: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