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빅토르 아나톨리예비치 부트}}}[br]Ви́ктор Анато́льевич Бут[br]Viktor Bou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EDWIP.jpg|width=100%]]}}} || ||<|2> '''출생''' ||[[1967년]] [[1월 13일]] ([age(1967-01-13)]세)|| ||[[소련]]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타지크 SSR]] [[두샨베]]||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신체''' ||NNNcm, NNkg, 혈액형|| || '''가족''' ||이름 ,,(관계),,|| || '''학력''' ||학교명 학부명 {{{-2 (학과명1 · 학과명2 / 재학 여부)}}}|| || '''종교''' ||종교|| || '''직업''' ||무기 거래상|| || '''소속''' ||[include(틀:러시아 자유민주당)] ,,(202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무기상]]. 전 [[KGB]] 요원으로 [[소련 붕괴]] 이후 불법으로 빼돌린 [[우크라이나군]]의 무기를 당시 내전중이던 시에라리온에 팔아서 무려 '''60억 달러'''를 챙겼다.[* 원화로 약 '''7조 2000억원'''이나 된다. 더구나 현재 가치로는 '''80억 달러'''로, 한화로 약 '''9조 6000억원'''...] 이런 불법 무기거래로 악명을 떨치면서 '''죽음의 상인''', '''[[로드 오브 워|전쟁의 제왕]]''' 등으로 불렸다. == 생애 == 1967년 소련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두샨베]]에서 태어났다. 성장한 그는 [[소련군]]으로 비텝스크 공군기지에서 조종사로 근무했고, 소련 공군 코만도 교관 훈련, 군사 외국어 대학을 이수한 이후 [[중앙아프리카]]의 [[앙골라]]에서 통역관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경과 항공기에 대한 지식, 6개국어를 구사하는 언어능력, 중앙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이해는 무기상의 활동을 뒷받침해주기엔 충분했고, 무기상이 된 결정적 계기는 소련 붕괴 이후 버려진 구소련군 무기들을 아프리카 지역에 내다 팔게 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에 심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가 무기밀매를 한 주요 수법은 [[아랍에미리트]]의 [[샤르자]]나 [[불가리아]]의 부르가스 등지의 공항에서 본인이 소유한 화물항공사를 통해 [[이란]]이나 [[라이베리아]], 앙골라, [[시에라리온]], [[이라크]], [[세르비아]] 같은 곳에 무기를 실어 나르는 방식이었다. 부트가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로, 당시에 휴전 협정이 깨지자 서아프리카 반군에게 무기를 밀매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트는 이 일로 떼돈을 벌어들였다. 2008년 3월 6일, 부트는 콜롬비아 반군 단체인 [[콜롬비아 무장혁명군]]과의 무기거래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태국]]으로 입국했다. 그러나 이것은 [[DEA]]의 함정으로, 결국 부트는 DEA에게 [[방콕]]에서 검거되었다. 이후 2010년, 부트는 미국으로 추방되어 징역 25년형을 받고 2022년까지 미국에서 복역했다. 전 [[KGB]] 소속으로 [[블라디미르 푸틴]]을 비롯해 지금도 러시아를 좌지우지 하는 인물들과 커넥션이 깊고 [[GRU]]와의 커넥션도 매우 깊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무기밀매도 일종의 부수입이고, 실제로는 러시아 공작원으로 각지의 친러 게릴라 단체에게 무기를 공급한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그가 체포돼서 장기 징역형을 받았을 때 러시아는 빅토르가 결백하다며 외교적으로 크게 항의했다. 장인이 KGB의 부회장급의 높은 인물이라고 한다. === 석방 === 2022년 12월 8일 전 [[WNBA]] 스타 브리트니 그라이너[* 대마 오일 소지 혐의로 러시아에서 징역 9년형을 받고 수감 중이었다.]와 맞교환되어 러시아로 돌려보내졌다.[[https://www.youtube.com/watch?v=rIkzBcGUs4w|맞교환 영상]] 원래 미국이 목표로 했던 맞교환은 러시아에서 스파이 혐의로 체포된 전 미 해병 폴 웰란과 그라이너 이 두 명과 부트를 교환하는 2 대 1 교환이었으나 러시아가 2 대 2 상호 교환을 주장하면서 결국 폴 웰란을 맞교환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결정되고 브리트니만 돌아오게 되었다. 미국 내에서는 '현지 법을 어긴 인물을 왜 굳이 구해줘야 하나'라는 반응이 대다수였으며 석방 후에도 여론은 좋지 않다. 사실상 범죄자 무기상이자 온갖 애를 들여 검거한 자인데, 결론적으로는 이 자를 풀어주고 일반인 1명을 데려온 셈이 되었기 때문. 이를 지지하는 일부 좌 성향 사람들을(특히 트위터) 제외하면 미국 좌우 모두에서 까이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635992?sid=104|#]]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반러감정이 격양된 상태에서 이런 일이 터진 점 때문에 여론이 매우 안좋다. 미국 정부측에서는 폴 웰란과 그라이너 2명을 데려오는 계획을 러시아가 갑자기 폴 웰란을 빼서 벌어진 일이라 해명했지만, 그러면 미국도 항의하거나 계획을 아예 취소하면 될 일을 이렇게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부트와 그라이너의 교환을 두고 폴 웰란을 데리고 오지 못했다며 미국 보수층은 크게 반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p1OgFcwtbm0|#]] 또한 러시아 역시 유능한 스파이를 데려오고, 평범한 소녀를 내줬다며 [[조 바이든]] 행정부를 조롱했다. 러시아는 쾌재를 부르며 이를 외교적 승리로 간주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33985?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83838?sid=104|#]]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비애국적 수치라며 맹비난을 퍼부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45706?sid=104|#]],[[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44893?sid=104|#]] 부트는 러시아에서 인터뷰를 했는데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하며, 푸틴에 대해서도 찬사를 늘어놨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019452?sid=104|#]] 12월 12일, 빅토르 부트가 [[러시아 자유민주당]]에 입당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88050?sid=104|#]] == 기타 == 부트는 라이베리아의 전 독재자 [[찰스 테일러]]의 믿음직한 공식 무기 공급책으로 일했다고 한다. 또한 [[오사마 빈 라덴]]과 일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 거래는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한다. 부트의 아내는 러시아로의 송환 소식을 듣고 크게 감격해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J9FPg5q42tk|#]] 영화 [[로드 오브 워]]에서 [[니콜라스 케이지]]역의 부분적인 모티브를 제공했다. [[분류:1967년 출생]][[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의 인물]][[분류:두샨베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