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www.mahq.net/ptx-016r.jpg]] || [[파일:external/www.mahq.net/ptx-016l.jpg]] || || 타입 R || 타입 L || [목차] == 스펙 == OG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기체명 || 빌트팔켄(야생 매) || || 형식번호|| PTX-016-L/R || || 분류 || 인간형 || || 소속 || 지구연방군, 노이에 DC || || 개발 || 커크 하밀 || || 제조 || 마오 산업사 || || 생산형태 || 시험 제작기 || || 전고 || 21.7m L/R 동일 || || 중량 || 50.0t L/R 동일 || || 무장 || 발칸포, 스프릿 미사일H, 로슈 세이버, 옥스텅 라이플,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 || || 탑승자 || [[제올라 슈바이처]], [[아라도 발랑가]](일시적으로 L형 탑승), [[라투니 수보타]] || || 디자인 || 카네마루 히토시[* 대표작은 [[R-BLADE]], [[슈츠발트]], [[액시오]], [[그레이트 액시온]] 등. OG 쪽에서는 [[카토키 하지메]]가 디자인한 기체의 리파인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빌트빌거와 다른 디자이너를 썼는데, [[오디세아|형제기나 관련기체는]] [[비자야|보통 같은 디자이너가 담당]][[에그젝스바인|하는]] [[갈릴나간|편]]인걸 생각하면 [[그랑존|꽤 희귀한]] [[네오 그랑존|케이스]].] || == 개요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메카. 사용자는 [[라투니 수보타]], [[제올라 슈바이처]], [[아라도 발랑가]]. == 상세 == [[바이스리터]]의 컨셉을 이어받고, 커크 해밀 박사가 개발한 기체다. 무장 문제로 개발이 늦춰진 [[빌트빌거]]와 달리, DC 전쟁, L5 전역에서 입증된 바이스릿터의 옥스텅 런쳐를 계승한 옥스텅 라이플을 주력으로 삼았기 때문에 계획대로 완성되었다. 기체의 프레임은 바이스릿터와 마찬가지로 경량형 기체이지만, 휴케바인 계열의 H 프레임을 이용해서 전체적인 내구도는 크게 향상되었다.[* 바이스는 신규설계가 아니라 [[게슈펜스트 Mk-II]] 타입 T를 개조한 기체라 게슈 Mk-II의 G2 프레임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엑셀렌 왈 "바이스의 이복동생." 또한 파트너 기체인 빌트빌거 역시 G2프레임이 사용되었다.] 윙 시스템은 빌트빌거와 마찬가지로 격투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사양으로 만들어졌다. PT 단독으로서의 성능보다는 어디까지나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에 중점이 맞춰져 있으며, 이 연계 공격으로 빌트빌거와 빌트팔켄의 기존 PT의 파괴력을 능가하는 위력을 발휘한다. 완성 후 빌트팔켄 R은 라이와 라투니와 교도관 카이로 이루어진 [[특수전기 교도대]]에서 지구 중력하에서 테스트하던 중, DC와 스쿨(제올라, 아라도)의 습격으로 제올라에게 강탈당한다. 타입 L은 아라도가 아군으로 들어온 후 [[히류 카이]]와 함께 [[마오 인더스트리]]로 갔지만, 연방군에서 신형 PT를 무리하게 재촉한 탓에 대부분 미완성이었다. 그나마도 동형기인 타입 R이 강탈당해, OS의 유출 문제로 새로운 OS를 만들게 되어 늦춰졌다. 그러던 중 [[인스펙터]]의 습격으로 인해 원래 OS로 복구해 전투를 하려고 했지만, 아라도가 미완성 OS 상태로 출격해 팔켄을 조종하여 마리온 박사의 눈에 띄게 된다. 이후 [[비가지]]가 강탈하려 했지만 힘 조절에 실패해 파괴된다. 빌트팔켄 R은 [[섀도우 미러]]에서 OS를 해석하였으며 그 후 [[제올라 슈바이처]]가 주로 사용하게 된다. == 무장 == [youtube(mMaqQVA1UWw)] * 발칸포 두부에 내장된 발칸포. * 스프릿 미사일 H 양 어깨와 무릎에서 발사되는 대형의 다탄두 미사일. 사정거리가 통상의 스프릿 미사일보다 넓다. 게임상에서는 MAP 병기 취급. * 로슈 세이버 휴케바인 계열에 장착되는 비실체검. 빌트 팔켄의 유일한 격투 무장. * 옥스텅 라이플 B(실탄)모드와 E(빔)모드로 나뉘어 사용되며, 바이스릿터의 옥스텅 런쳐와 대비되게 연사 계열로 잡혀 있어 테슬라 드라이브로 가속한 뒤 연사하는 연출이 많다. W모드는 L 타입은 단거리형 P무기, R 타입은 바이스릿터와 같은 장거리 무기로 잡혀 있다. *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 빌트빌거와의 고 기동 연계 공격으로, [[램페이지 고스트]]를 기초로 만들어진 기술이다. 적은 EN 소모 덕분에 합류가 늦어 PP 분배가 잘 안 된 제올라도 충분한 공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고 효율 기술. 영상에서도 나오듯 보통은 빌트빌거와 빌트팔켄이 번갈아가며 때리다가 동시 돌격해서 박살내는 연출...인데, 게임에서도 애니에서도 그냥 '''들이박는 연출로 나온다.''' 빅팀 비크같은 모션으로 돌격하는 빌거는 그렇다쳐도 팔켄은 대체 어떻게 저러는지 의문. [[슈퍼로봇대전 OG Record of ATX|Record of ATX 디 인스펙터]]에선 빌거와 팔켄이 교차 연계는 동일하나[* 단, 아인스, 츠바이 같은 구호는 생략. ~~애초에 처음하는 연계기를 하나 둘 하면서 연계하는 것은 무리긴 하다.~~ 당시 공격대상이었던 스리서스는 전부 읽고 대응하는 괴물같은 모습을 보였다.] 피니쉬 부분은 게임과도 애니와도 다르게 빌트빌거가 스태그 비틀 크래셔로 적기를 붙잡아 돌진하면 그 '''반대편에서'''[* 애니와 게임에선 빌거와 같은 방향에서 날아가다 교차하나 여기선 빌거가 날아가던 방향에서 날아온다.] 팔켄이 옥스턴 라이플을 W모드로 시전하며 돌격해 스태그 비틀 크래셔로 부수고 옥스턴 라이플로 뚫어서 박살내버리는 연출로 나온다. === 게임상의 성능 === ==== 2차 알파 ==== 아라도 루트에서만 등장하여 중반부에 아군으로 합류하고 ALL 무기 보유 기체라 오히려 주인공인 [[아라도 발랑가]]의 [[빌트빌거]]보다 운용하기 편리한 부분은 있으나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가 격투무기라서 한 방 데미지에서 많이 밀리는 편이다. ==== 3차 알파 ==== 쿼브레 루트에서만 등장하여 초반부터 아군 멤버가 되어 있고 아라도가 나중에 합류한다. 이번 작부터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가 빌트빌거가 메인일 때는 격투, 팔켄이 메인일 대는 사격 속성이 되었기 때문에 더이상 한 방 데미지가 아쉬울 부분은 없지만 본 작이 워낙 공격력 인플레가 심하고 결정적으로 쿼브레 루트에만 등장하는지라 다회차로 갈수록 파일럿인 제올라의 누적 PP가 다른 멤버에 비해 심하게 차이가 나므로 쓰기 골치 아프다. ==== OG 시리즈 ==== L : 옥스텅 런처가 전부 P병기지만, R에 비해 사정거리가 좀 짧고 잔탄 수가 부족하다. 이벤트 기체에 가깝기에 액플로 사용하지 않으면 다시 쓰지 못하는 기체다. R : L 타입과 달리 옥스텅 런처가 P 병기가 아니지만, 주된 탑승자인 제올라가 히트 앤 어웨이를 가지고 있어 문제되진 않는다. 또한 바이스릿터와 마찬가지로 W모드보다 트윈 버드 스트라이크를 먼저 쓸 수 있기 때문에 W모드는 상대적으로 잘 안 쓰이는 게 단점. == 기타 == 바이스리터에서 컨셉을 가져오면서도 테라다P가 최대한 현실적인 형태로 재구성한 기체[* 모리즈미P가 창조한 기체인 [[알트아이젠]]과 바이스리터는 사실상 세부 설정이 '''없다'''. OG 시리즈에서의 대부분의 설정은 테라다P가 구멍을 메워 만들어낸 것.]이나, 아이러니하게도 디자인 단계에서 가동을 상정하지 않았기에 비현실적이고 모형화에 불리한 형태인 바이스리터는 옥스턴 런처를 손에 들 수 있으나 최대한 디테일하게 만들려 노력했다는 빌트팔켄의 프라모델은 무게중심 문제로 옥스턴 라이플을 들고 서 있을 수 없다(...).[* 모리즈미P의 언급에 의하면 옥스턴 런처는 창에서 연상한 무장이라 손의 연장선상에 오게 디자인했기 때문이라고.] 그라서 액션 피규어 제작 당시 옥스턴 라이플을 최대한 가늘게 만들어 달라고 했다고 한다. [[분류:빌트 시리즈]][[분류: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오리지널 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