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Wilhelm Hahnemann.jpg|width=100%]] || || 이름 ||빌헬름 하네만[br](Wilhelm Hahnemann) || || 생년월일 ||[[1914년]] [[4월 14일]] || || 사망년월일 ||[[1991년]] [[8월 23일]] (향년 77세) || || 국적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8]] [[오스트리아]] || || 출신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오스트리아)|빈]] || || 포지션 ||포워드 || || 신체조건 ||172cm | 71kg || || 소속팀 ||'''[[SK 아드미라 빈]] (1931-1941)'''[br][[SC 바커 빈]] (1945-1952) || || 국가대표 ||9경기 2골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1935-1937)^^[br]23경기 16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38-1941)^^[br]14경기 2골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1946-1948)^^ || || 감독 ||[[피르스트 비에나 FC]] (1952-1953)[br][[SpVgg 그로이터 퓌르트]] (1953-1955)[br][[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55-1958)[br]FC 빌비엔 (1958-1959)[br][[SC 바커 빈]] (1959-1960)[br]FC 빌비엔 (1961)[br][[FC 바커 인스브루크]] (1962)[br][[빈 AC]] (1968-1970)[br]FV 비베라흐 (1970-1971)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감독.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도나우펠트(Donaufeld) 클럽에서 유스 시절을 보낸 하네만은 1931년부터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하네만은 데뷔하면서부터 [[토니 샬]] 등과 호흡을 맞추며 아드미라 빈의 공격진에 녹아들어갔다. 1934년 [[ÖFB컵]] 결승전에서 아드미라는 [[SK 라피트 빈]]을 8대0으로 대파하며 우승컵을 들었는데 하네만은 이 경기에서 토니 샬과 더불어 [[해트 트릭]]을 기록했다. 아드미라는 하네만의 입단 시즌에 이어 두 번째 [[더블#s-7|더블]]의 업적을 달성했고 이 해의 미트로파 컵에서도 하네만은 좋은 활약을 펼치며 아드미라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1935-36 시즌에 23골을 넣은 하네만은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득점왕에 올랐고 이는 그의 커리어에서 유일한 리그 득점왕 기록이다. 하지만 하네만의 커리어 역시 [[오스트리아 병합|안슐루스]]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부침을 겪었고 전쟁이 끝난 후에야 다시 선수 생활을 지속할 수 있었다. 1945년, 하네만은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SC 바커 빈]]으로 팀을 옮겼고 1946-47 시즌에 바커 빈은 더블을 기록했다. 이는 하네만의 클럽 커리어에서 세번째 더블이다. 하네만은 바커빈에서 7년간 선수 생활을 더 했다. ==== 국가대표 ====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1933-34년에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이 거둔 성공은 아드미라의 주축 선수 중 하나인 하네만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분더팀]]의 데뷔로 이어졌다. 그러나 하네만이 실제 오스트리아 대표팀 데뷔 경기를 치르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렸고 1935년 5월 12일에 있었던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전에서 하네만은 3대0으로 달아나는 득점을 기록했다. 오스트리아는 폴란드를 5대2로 꺾었다. 하네만은 이후 오스트리아 대표팀에서 자리를 잡았고 주축 선수 중 하나가 되었다. 비록 하네만이 직접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라트비아]]와의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s-2.8.2|1938년 월드컵 지역 예선]]에 출전하진 않았지만 오스트리아는 2대1로 역전승을 거두며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오스트리아]]는 사라져버렸다. 이에 [[FIFA]]는 오스트리아에 밀려 떨어졌던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라트비아]]를 오스트리아 대신 본선에 초청하려 했지만 라트비아가 참가를 거부했다. 결국 오스트리아와 맞붙을 예정이었던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은 [[부전승]]으로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8강|8강]]에 진출하게 된다.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선수들이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월드컵]]에서 뛰려면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하는 방법밖에 없었고 하네만은 독일 대표팀의 일원으로 월드컵에 참가했다. 독일의 감독 [[제프 헤어베어거|헤르베르거]]는 하네만을 중용해서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라운드#s-2|개막전]]과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라운드#s-10|재경기]]에 모두 하네만을 기용했다. 하네만은 재경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지만 독일은 결국 스위스에 패배, 탈락했다. 월드컵 이후에도 하네만은 독일의 주요 선수 중 하나로 남았고 1940년 9월 1일에 있었던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핀란드]]전에서 그는 6골을 집어넣었다. 하네만의 6골은 [[1912 스톡홀름 올림픽|1912년 올림픽]]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제정 러시아]]전에서 나온 고트프리트 푹스(Gottfried Fuchs)의 10골에 이은 독일 대표팀 단일경기 최다 득점 2위 기록이고 이 경기에서 독일은 핀란드를 13대0으로 대파했다. 1941년까지 하네만은 독일 대표팀 소속으로 23경기에 출전, 16골을 넣었다.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 [[나치 독일]]의 패망으로 [[오스트리아]]도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연합군의 군정]] 체제이긴 하지만 독립하게 되었다. 비록 하네만은 독립 후 바로 대표팀 1946년 4월 14일에 있었던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전을 시작으로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대표팀]]에 복귀할 수 있게 되었고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에 3대2로 승리를 거뒀다. 하네만은 [[1948 런던 올림픽|1948년 올림픽]]에 오스트리아 대표팀으로 출전했지만 오스트리아는 1라운드에서 이 대회의 우승팀이 될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에 0대3으로 셧아웃당했다. 이 경기가 하네만의 대표팀 은퇴 경기가 되었다. === 감독 === 1952년에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SC 바커 빈]]에서 선수 생활을 마친 하네만은 바로 [[피르스트 비에나 FC]]의 감독이 되었고 이 해의 피르스트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4위로 시즌을 마쳤다. 한스 크라우스(Hans Krauß)를 대신해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에서 2년을 보낸 하네만은 1955년, 스위스의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로 건너갔고 재임 3년 중 첫 시즌에 그라스호퍼의 [[더블#s-7|더블]]을 이끌었다. 1958년, FC 빌비엔(FC Biel-Bienne)에서의 1년은 간발의 차로 [[스위스 슈퍼 리그|나티오날리가 A]] 승격에 실패한 아쉬운 한 해였다. 이 때 위기에 빠진 친정팀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SC 바커 빈]]이 하네만에게 구원 요청을 했고 하네만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 시기에 잠시 선수 부족으로 45세의 하네만이 선수로 뛴 경기도 있었는데 그는 결승골을 넣어 바커 빈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에 하네만은 [[FC 바커 인스브루크]], 비너 AC (1968-1970), FV 비베라흐 등에서 감독직을 역임했다. === 이후 === 하네만은 축구계에서 물러난 후에도 [[테니스]] 코치로 재직하면서 스포츠를 즐겼다. 1991년, 하네만은 [[테니스 코트]]에서 쓰러져 영면에 들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하네만은 좋은 기술과 헤더 능력을 갖춘 지능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공격수로 평가받았다. == 뒷이야기 == * 하네만의 피부색으로 인해 그의 별명은 [[집시]]였다. * 1943년에 하네만은 [[SK 슬라비아 프라하]]의 초청 선수로 한 경기를 뛴 적이 있었다. SK 우호니체(SK Uhonice)를 상대로 슬라비하 프라하는 하네만이 9골, [[요제프 비찬|비찬]]이 8골을 넣어 20대1로 우호니체를 압살했다. == 수상 == === 선수 === ==== 클럽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우승 6회: 1931-32, 1933-34, 1935-36, 1936-37, 1938-39(이상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 1946-47([[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SC 바커 빈]]) * [[ÖFB컵]] 우승 3회: 1931-32, 1933-34(이상 아드미라 빈), 1946-47(SC 바커 빈) * [[가우리가]] 오스트마르크 우승 1회: 1938-39(아드미라 빈) * 오스트리아 1부 리그 준우승 3회: 1934-35(아드미라 빈), 1947-48, 1950-51(이상 SC 바커 빈) * [[분데스리가|독일 챔피언십]] 준우승 1회: 1939(아드미라 빈) * 미트로파 컵 준우승 2회: 1934(아드미라 빈), 1951(SC 바커 빈) ==== 개인 ====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오스트리아 1부 리그]] 득점왕 1회: 1935-36([[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아드미라 빈]]) === 감독 === * [[스위스 슈퍼 리그|나티오날리가 A]] 우승 1회: 1955-56([[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스위스 컵 우승 1회: 1955-56(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나티오날리가 A 준우승 2회: 1956-57, 1957-58(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스위스 컵 준우승 1회: 1957-58(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60-61(FC 빌비엔) [각주] [[분류:1914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분류:1931년 데뷔]][[분류:1952년 은퇴]][[분류:빈 출신 인물]][[분류:오스트리아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SK 아드미라 빈/은퇴, 이적]][[분류:SC 바커 빈/은퇴, 이적]][[분류:복수의 대표팀에서 뛴 축구선수]][[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오스트리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48 런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오스트리아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피르스트 비에나 FC/역대 감독]][[분류:SpVgg 그로이터 퓌르트/역대 감독]][[분류: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역대 감독]][[분류:SC 바커 빈/역대 감독]][[분류:FC 바커 인스브루크/역대 감독]][[분류:빈 AC/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