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신경]] [include(틀:팔신경얼기)] ||||
{{{#000000 ''' ''nerve to subclavius'' '''}}}[br]{{{#000000 ''' ''(빗장밑근신경, 쇄골하근신경)'' '''}}} || |||| [[파일:긴가슴신경.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빗장밑근신경(nerve to subclavius; subclavian nerve)은 어깨 부위에 분포하는 말초신경으로,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 빗장위부분(supraclavicular part)에서 분지된 신경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쇄골하근신경([[鎖]][[骨]][[下]][[筋]][[神]][[經]])[* [[쇠사슬 쇄]], [[뼈 골]], [[아래 하]], [[힘줄 근]], [[귀신 신]], [[지날 경]].]. == 구조 == || [[파일:팔신경얼기.jpg|width=100%]] || || {{{#000 '''팔신경얼기 전체 구조'''}}} || 빗장밑근신경은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과 함께 팔신경얼기 빗장위부분의 위줄기(superior trunk, C5, C6, 거기에 흔히 C4의 가지 일부가 더해짐)에서 유래한다. || [[파일:목어깨부위신경.jpg|width=100%]] || || {{{#000000 '''어깨 부위'''}}} || 빗장밑근신경이 지나가는 경로는 우선, 팔신경얼기에서 분지된 이후에 [[빗장뼈]]의 뒤쪽을 통과한다. 이 신경 앞에는 팔신경얼기와 [[빗장밑동맥]](subclavian a.)[* 첫째 [[갈비뼈]]를 지나간 후에는 [[겨드랑동맥]](axillary a.)이 된다.]이 위치한다. 그 후 [[빗장밑근]](subclavius m.)에 운동가지(motor branch)를 내어 지배한다. 한편, 빗장밑근신경에서는 다수의 경우에서 [[덧가로막신경]](accessory phrenic n.)이 가지로 나와서 [[가로막]](diaphragm)에 분포하는 [[가로막신경]](phrenic n., C3~C5)으로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