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病身 == [[병신]]의 순화형 바리에이션 [[욕설]](혹은 지역 방언 중 하나). 병신의 어감이 일상적 용법으로는 다분히 드센 감이 있기에, 주로 친근한 사이에서 대체어로 곧잘 쓰인다. [[씨발]]과 [[시발]]의 관계 정도? [[가수]] [[천명훈]]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발음하면 '''첸빙신'''이라더라.[* [[정명훈(지휘자)|정명훈]]도 정빙신이며 웃기려 하는게 아니고 진짜다.] 본인이 직접 밝혔다. [[지못미]]...[* 한자 표기는 千明勳. 병음표기로는 Qiān Míngxūn으로, 한글로 적자면 '치엔 밍쉰'정도 되겠다. 일종의 [[몬데그린]].] === [[대한빙상경기연맹]]의 별칭 === 유래는 빙상 + 1의 의미. 매년 매 분기마다 폐단를 일으키는 대한빙상경기연맹의 문제점들을 비꼬는 말이다. 그 각종 문제들은 항목 참조. '''[[2014 소치 올림픽]]을 전후해서는 아예 정식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부분 빙신 혹은 빙엿으로만 불린다. == 氷神 == [[얼음]]의 [[신]]. 빙상 스포츠에서 정상의 반열에 올라간 선수나, 서브컬쳐에서 얼음의 힘을 지닌 캐릭터에게 주로 붙이는 [[별명]]. '''절대로 1번 항목의 빙신과는 의미상의 연관점이 없다.''' 하지만 어감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한 말장난은 자주 나온다.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이 별명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로는 ~~[[기적]]의 냉동가~~ [[김택용]]이 있다. [[아폴로 안톤 오노]]를 조롱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개그 용도로 써먹었다. 이쪽은 실질적으로는 항목 1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개그 콘서트에서도 [[염경환]]이 사용했다. "그는 얼음의 신입니다! 오노, 氷神!" [[페르소나 4]]에서는 빙결 내성을 큰 폭으로 늘려주는 아이템인 ''''빙신'''의 눈동자'를 얻을 수 있다. [[세븐나이츠]]의 [[스파이크(세븐나이츠)|스파이크]]도 주 능력이 빙결계인데다가 [[엘리시아/각성|상위호환]]이 나와버려서 빙신 소리를 듣고있다. [[기적의 분식집]]에서는 필리아가 빙수를 만드는 차설화와 만나면서 그의 호칭을 정하는데, "얼음의 신이란 뜻을 살려 빙ㅅ..."이라고 하려다가 어감이 꺼림직했던 차설화가 "그냥 빙삭공이라고 불러주셔도 좋습니다"라고 하면서 빙신이 되는 것을 면했다(?). == 冰心 == 빙신(본명 谢婉莹)은 중국의 한족 출신으로 여성 현대 문학가이다. 그녀는 장르시헝린(长乐市横岭村)에서 1900년 10월 5일에 출생해 1999년 2월 28일에 별세했다. 빙신은 죽는 그날까지 손에서 연필을 놓지 않았다고 할 정도로 문학에 대한 열정이 대단한 작가이다. 그녀가 일생 동안 남긴 작품들은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오래도록 기억 되고 있다. 빙신의 작품들은 문학성이 뛰어나서 중·고교 과정의 국어 교과서 단골 작품이기도 하다. == [[빙神]] == 검색엔진 [[Bing]]의 별명. '''[[빙神]]''' 참조. == [[격투기특성화사립고교극지고]]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빙신(격투기특성화사립고교극지고))]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