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1년 개교]][[분류:북구(광주광역시)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광주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2> '''{{{#white {{{+3 빛고을고등학교}}} [br] Bitgoeul High School [br] }}}''' || ||<-2> [[파일:20180527_224440.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빛고을고등학교)] || || {{{#black '''개교년도''' }}} || [[2011년]] || || {{{#black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 '''성별''' }}}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 [[공립]] || || {{{#black '''교장''' }}} || 김창균 || || {{{#black '''교감''' }}} || 조미희 || || {{{#black '''교훈''' }}} || {{{#green 스스로 빛을 발하는 별이 되자}}} || || {{{#black '''학생수''' }}} || 803명[br](2023학년도) || || {{{#black '''교직원수''' }}} || 64명[br](2023학년도) || || {{{#black '''관할교육청''' }}} || [[광주광역시교육청]] || || {{{#black '''소재지''' }}}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첨단연신로133번길 16(신용동) || || {{{#black '''홈페이지''' }}} || [[http://bitgoeul.gen.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black '''리로스쿨''' }}} || [[http://bitgoeul.riroschool.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black '''빛고을고갤러리''' }}} || [[https://gall.dcinside.com/mini/board/lists?id=qlcrhdmf|[[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첨단2지구]])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 2011년 개교한 신설 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2011.03.01 빛고을고등학교 개교, 초대 교장 최윤길 선생 취임 * 2011.03.02 제1회 입학식(10학급, 총 386명) * 2012.03.01 2대 교장 김순애 선생 취임 * 2012.03.02 제2회 입학식(10학급, 총387명) * 2013.03.04 제3회 입학식(8학급, 총296명) * 2014.03.01 3대 교장 신종해 선생 취임 * 2014.03.03 제4회 입학식 (9학급, 총323명) * 2015.03.01 4대 교장 안현순 선생 취임 * 2015.03.02 제5회 입학식 (9학급, 총328명) * 2016.03.02 제6회 입학식 (10학급, 총352명) * 2017.03.02 제7회 입학식 (9학급, 총291명) * 2017.09.01 5대 교장 박미 선생 취임 * 2018.03.02 제8회 입학식 (9학급, 총255명) * 2019.03.01 6대 교장 김형태 선생 취임 * 2019.03.04 제9회 입학식 (10학급, 총288명) * 2020.03.02 제10회 입학식 (9학급,총238명) * 2021.03.01 7대 교장 이원재 선생 취임 * 2021.03.04 제11회 입학식 (9학급,총250명) * 2022.03.01 8대 교장 김창균 선생님 취임 == 교훈 및 상징 == === [[교훈]] === [[파일:intro02_1.gif]] === [[교목]] === [[파일:intro02_2_1.gif]] === [[교화]] === [[파일:intro02_2_2.gif]] === {{{#gold 교색}}} === [[파일:intro02_2_3.gif]] === [[교가]] === 광주 소재의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무등산]]이 언급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파일:intro02_3.gif]] == 학교 특징 == * 2019학년도 2학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현재는 고교학점제 시범학교]로 선정되어 선택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하루에 3시간은 찢어져서 이동수업을 해야했다.[* 2학기부터는 1교시부터 7교시까지 전교시가 이동수업이다.] 또한, 자신이 듣고싶은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 사문, 생윤, 물화생지의 선택 뿐만 아니라 국영수 이외의 실용 경제, 융합 과학, 고전과 윤리, 음악사, 생활과 과학, 실용 수학, 실용 영어 등 수능과목에 해당되지 않는 과목의 선택이 있었고, 사회 과목 1개, 과학 과목 1개 선택도 가능했다.(예시: 생활과윤리+지구과학1) 또한, 전과목을 선택했기 때문에 문학, 수학2, 확률과 통계, 화법과 작문, 영어2 등 수능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들도 있었다.]했기 때문에 문, 이과 구분도 미미해졌다.[* 자연, 인문으로 구분되어 사회를 듣는 반과 과학을 듣는 반 정도만 나뉘었었던 그 전해와 상반된다.][* 이로 인해 문과 이과는 과학 듣느냐 사회 듣느냐 미적분 듣느냐의 여부로 해석하면 된다.] 물론 반 배정은 같은 과목을 듣는 학생들끼리 위주로 배정되었다. 하지만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9개[* 2019학년도 2학년은 9개 반으로 구성되었다.]보다 많았기 때문에 한 반에서 무조건 같은 과목을 듣게 만들 순 없었다. 그러므로 같은 과목을 듣는 학생들끼리 같은 반에 배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그래도 최대한 같은 과목끼리 반을 배정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과탐, 사탐 위주로 나뉘었기 때문에 4~6반은 이과[* 과학 듣는반], 7~9반은 문과[* 사회 듣는반]가 되었으며 1~3반은 잡과[* 사회 듣는 학생, 과학 듣는 학생이 완전 섞였다.]라고 불리게 되었다. 과학 듣는반인 456반은 4, 5반은 모두 화학1을 이수하고, 6반은 학생 모두는 지구과학1을 이수하는 학생들로 세분화되어졌다. 사회 듣는반도 같다. 추후, 남녀성비[* 당시 남자7명에 여자 2n명인 반도 나왔었다고...] 등의 이유로 다음 학년도인 2021학년도부터 문이과 구분없이 반배정이 되었다.[* 사실 문이과 통합되어서 구별하는 것은 원래 안 되었는데 2019년에는 3학년은 2009 개정교육과정을 이수했기 때문에 3학년을 따라서 구별한 것이다.] * 2층 통로에 음료, 빵 자판기가 있었으나 2020년이 되면서 없어졌다.[* 계약 기간 만료] * 보충, 야자를 안 하고 정규 수업 이후 하교하는 학생이 꽤 많다. * 남녀공학, 남녀합반이다. * 운동장이 천연잔디로 이루어져 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광주 버스 첨단22|22번]] * [[광주 버스 송정700|700번]] * [[광주 버스 일곡10|10번]] * [[광주 버스 송정33|33번]] * [[광주 버스 북구799|799번]] === [[지하철]] === *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신용역]]이 개통 예정. == 기타 == * 2013년 12월 15일에 방영된 "[[도전 골든벨]]"에 [[빛고을고등학교]]가 출연 하였다. 이때 무려 1학년이었던 학생이 골든벨을 울렸다고. * 2020학년도 입학생들은 체육대회, 수련회, 수학여행등의 행사는 일절 없었다.[* 2021년에 했던 행사라고는 축소된 축제가 전부였다.] 그나마 2022년에는 1, 2학년들만을 데리고 체육대회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