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기쥐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20MS.png|width=40]] 920 [[엑스레그]] || [[파일:921MS.png|width=40]] '''{{{#000,#fff 921 빠모}}}'''[br][[파일:922MS.png|width=40]] '''{{{#000,#fff 922 빠모트}}}'''[br][[파일:923MS.png|width=40]] '''{{{#000,#fff 923 빠르모트}}}''' || [[파일:924MS.png|width=40]] 924 [[두리쥐]]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 [[파일:663MS.png|width=40]] 021 [[파이어로]] || [[파일:921MS.png|width=40]] '''022 빠모'''[br]'''[[파일:922MS.png|width=40]] {{{#000,#fff 023 빠모트}}}'''[br]'''[[파일:923MS.png|width=40]] {{{#000,#fff 024 빠르모트}}}''' || [[파일:228MS.png|width=40]] 025 [[델빌]]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21 빠모.png|width=90%]] || [[파일:922 빠모트.png|width=100%]] || [[파일:923 빠르모트.png|width=100%]] || || 빠모 || 빠모트 || 빠르모트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21MS.png|width=50]][br]'''빠모''' [br] パモ(파모) [br] Pawmi || 전국: 921 [br] 팔데아: 022 || [include(틀:전기타입)] || || [[파일:922MS.png|width=50]][br]'''빠모트''' [br] パモット(파못토) [br] Pawmo || 전국: 922 [br] 팔데아: 023 ||<|2> [include(틀:전기타입)][br][include(틀:격투타입)] || || [[파일:923MS.png|width=50]][br]'''빠르모트''' [br] パーモット(파-못토) [br] Pawmot || 전국: 923 [br] 팔데아: 024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white (}}}[[포켓몬스터/특성#s-1.1|{{{#white 숨겨진 특성}}}]]{{{#white 은 *)}}} || ||<|2> (공통) || [[포켓몬스터/특성/ㅈ#자연회복|자연회복]] || 배틀에서 일단 물러나면 상태 이상이 회복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ㅊ#철주먹|철주먹]] || 펀치를 사용하는 기술의 위력이 올라간다. || || 빠모 || [[포켓몬스터/특성/ㅈ#정전기|정전기]] || 접촉한 상대를 마비시킬 때가 있다. || || 빠모트 ||<|2> [[포켓몬스터/특성/ㅊ#축전|축전]] ||<|2> 전기 타입 공격을 무효화하며 자신의 최대 체력의 1/4만큼 체력을 회복한다. || || 빠르모트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921 빠모 ||<|2> 쥐 포켓몬 || 0.3m || 2.5㎏ || 190 || || 922 빠모트 || 0.4m || 6.5㎏ || 80 || || 923 빠르모트 || 손길 포켓몬 || 0.9m || 41.0㎏ || 4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육상 || 3,840걸음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fbb917><-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fbb917> {{{#FFFFFF 진화}}} || [[파일:921.gif|width=40]] [br]921 빠모 || 레벨 18[br]→ || [[파일:922.gif|width=45]] [br]922 빠모트 || 레츠고 모드에서 1,000보 이상 걷고[br]볼로 돌아가지 않은 상태에서 레벨 업[* 1,000보를 달성하면 레츠고 모드중인 빠모트가 울음소리를 내어서 알려준다.][* 선두에서 제외할 시, 레츠고 모드에서 쌓은 걸음수가 초기화된다.][br]→ || [[파일:923.gif|width=50]] [br]923 빠르모트 || [anchor(앵커-방어 상성)] ||<-4> {{{#white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white 포켓몬}}} || {{{#white 2배}}} || {{{#white 1배}}} || {{{#white 0.5배}}} || || [[파일:921MS.png|width=50]][br]빠모 || [include(틀:땅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풀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강철타입)] || || [[파일:922MS.png|width=50]][br]빠모트[br][[파일:923MS.png|width=50]][br]빠르모트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악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21MS.png|width=50]][br]빠모 || 45 || 50 || 20 || 40 || 25 || 60 || 240 || || [[파일:922MS.png|width=50]][br]빠모트 || 60 || 75 || 40 || 50 || 40 || 85 || 350 || || [[파일:923MS.png|width=50]][br]빠르모트 || 70 || 115 || 70 || 70 || 60 || 105 || 49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21MS.png|width=50]][br]{{{#FFFFFF 빠모}}} || ||<#ffffff,#000000><-2><:>{{{#!HTML}}}|| ||<-2> [[파일:922MS.png|width=50]][br]{{{#FFFFFF 빠모트}}} || ||<#ffffff,#000000><-2><:>{{{#!HTML}}}|| ||<-2> [[파일:923MS.png|width=50]][br]{{{#FFFFFF 빠르모트}}}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나오하#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white [[파일:921MS.png|width=50]][br]921 빠모}}} || || 스칼렛 ||볼의 전기 주머니가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 앞발의 볼록살을 열심히 비벼야 겨우 전기가 만들어진다. || || 바이올렛 ||손의 볼록살이 방전 기관이다. 뒷발로 겨우 일어선 다음 손바닥에서 전격을 내보낸다. || ||<-2> {{{#white [[파일:922MS.png|width=50]][br]922 빠모트}}} || || 스칼렛 ||무리가 공격을 받으면 전격을 날리는 격투기로 먼저 싸움을 걸고 적을 쓰러뜨린다. || || 바이올렛 ||손바닥으로 타격하면서 볼록살을 통해 전격을 가한다. 독특한 격투기를 구사한다. || ||<-2> {{{#white [[파일:923MS.png|width=50]][br]923 빠르모트}}} || || 스칼렛 ||평소에는 느긋하지만 싸움이 시작되면 [[전광쌍격|전광석화와도 같은 몸놀림으로 적을 때려눕힌다.]] || || 바이올렛 ||복슬복슬한 털이 배터리 역할을 한다. 전기 자동차에 맞먹는 양의 전기를 비축할 수 있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전광쌍격]] || == 소개 == ||'''손바닥의 방전 기관''' 볼에 있는 전기 주머니와 더불어, 손바닥에 방전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볼부비부비|자신의 볼을 문질러서 전기를 만든 다음]], 상대에게 양손을 대서 감전시킵니다. '''전기를 저장하는 부드러운 털''' 온몸을 감싸는 부드러운 털은, 추위에 강할 뿐만 아니라 전기를 모으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경계심이 강해서 불안함을 느끼면 볼을 문질러서 방전할 준비를 합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580&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빠모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등장한 9세대 전기쥐 포켓몬. 모티브는 [[마멋]]으로 보인다. 격투 타입으로서의 모티브는 숨겨진 특성인 철주먹으로 보면 [[복서]]로 보이며, 기본 모티브인 마멋도 강인한 앞다리로 유명한 동물이다. 도감 설명에서 손바닥으로 타격을 준다는 설명이 써져있는것을 보면 [[스트라이커]]도 모티브인듯 하다. == 포획 == ||<#fbb917> {{{#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SV || || {{{#FFFFFF 포지션}}}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물리 스위퍼 || || {{{#FFFFFF 장점}}}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 독특한 타입, 물에서 레츠고 가능 || || {{{#FFFFFF 단점}}} ||낮은 방어력, 최종진화를 위해서는 노가다 필요. || || {{{#FFFFFF 대체 포켓몬}}} ||특별한 대체제 없음[* 굳이 따지자면 격투쪽에는 엘레이드, 루카리오 등이 있고 전기 쪽에는 라이츄, 렌트라가 있다. 엘레이드와 루카리오, 렌트라는 빠른 스피드로, 라이츄는 더 높은 공격 종족값으로 차별화를 할 수 있다.] || || {{{#FFFFFF 특성}}} ||축전, 철주먹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자석, 검은띠, 펀치글러브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 || {{{#FFFFFF 서브 포켓몬}}} ||파이어로, 퍼퓨돈, 팬텀, 킬라플로르, 부르르룸, 갸라도스, 마릴리, 올리르바, 드레디어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번개펀치 or 와일드볼트 or 전광쌍격(필수)/인파이트(필수)/치근거리기, 냉동펀치, 씨폭탄, 불꽃펀치, 깨물어부수기, 마하펀치 중 택 2 || || {{{#FFFFFF 포획지}}} ||티스푼 오솔길(빠모) || || {{{#FFFFFF 유의사항}}} ||빠모의 크기가 작아 조심히 보지 않으면 찾지 못하거나 의도치 않은 배틀을 하게 되며, 페어리 타입 견제기가 없으므로 페어리를 대처할 사이드킥 포켓몬이 추가로 요구된다. || 전기쥐 포켓몬답게 스토리 초반에 입수가 가능하다. 레벨 18이 되면 빠모트로 진화 후, 레츠고 모드로 1000보를 걸은 후 레벨업하면 빠르모트가 된다. 단 레벨업할 시 걸음이 초기화되니 주의하자. 걸음 수를 채우는 방법으로는 세르클마을 같이 넓은 공간이 있는 마을 안에서 L스틱 R스틱 모두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고정시켜서 레츠고 모드로 몇분동안 빙빙 도는 법이 이야기되고 있다. 초기에는 건물 옥상 위에 올라가서 자동으로 걷게 하거나 빈 공간에 렛츠고 한 후 자동으로 돌아오게 해서 걷게 만드는 꼼수들도 있었으나, [[https://badack-whatis.tistory.com/93|#]] [[https://youtu.be/EZmglff7L3k|#]] 플레이어도 함께 걸어야 걸음수가 카운트되도록 바뀌면서 막혔다.만약 [[게임패드]] 여유분이 있으면, 그냥 [[고무줄]]로 달아주자. 화력도 높고 견제폭도 좋지만 인파이트를 배우기 전까지는 격투 자력기가 심각하게 부실하다. 그나마 인파이트 습득 레벨은 44로 빨리 배우는 편.[* 웨이니발의 인파이트 습득 레벨이 58레벨임을 감안하면 아주 늦는 건 아니다. 인파이트가 없어서 아쉬운 구간도 청목과의 체육관 배틀 정도.] 인파이트를 배우고 기배가 어느 정도 갖춰지고 난 후에는 자속 인파이트로 시원시원하게 밀 수 있다. 전기 기술은 진화하자마자 기술 떠올리기로 와일드볼트를 배울 수 있고, 후반에 습득하는 전광쌍격은 테라스탈과 궁합이 매우 좋아 부족함이 없다. 전기/격투 조합은 약점 3개, 반감 5개로 좋은 편이지만 내구가 은근히 낮은 편이라 상처약을 많이 쓰게 된다. 가장 궁합이 맞는 스타팅은 [[마스카나]]. 빠르모트는 마스카나의 약점인 비행과 얼음을 커버할 수 있으며, 마스카나가 상대하기 곤란한 강철 타입을 상대로도 유리하다. 반대로 빠르모트가 상대하기 불리한 에스퍼 타입과 땅 타입을 상대로 마스카나를 내세우는 등 상성 보완이 꽤나 뛰어나다. [[라우드본]]의 경우도 라우드본의 약점인 물, 바위, 악을 커버할 수 있으며 빠르모트가 상대하기 어려운 에스퍼와 페어리를 라우드본이 받아내줄 수 있다. 다만 [[웨이니발]]은 타입이 겹쳐서 그렇게 좋은 조합은 아니다. 마스카나의 보조로 사용할 시에는 페어리 타입을 대처할 포켓몬을, 라우드본의 보조로 사용할 시에는 땅 타입을 대처[* 빠르모트가 냉동펀치와 씨폭탄을 배우므로 레벨이 많이 높다면 대처가 가능하기는 하다.]할 포켓몬을 육성하는 것이 좋다.[* 페어리 대처로는 팬텀, 킬라플로르, 염뉴트, 부르르름 등을, 땅 대처로는 마릴리나 갸라도스, 올리르바, 드레디어 등을 보조로 쓰면 좋다.] == 대전 == 전기/격투는 [[무쇠손]][* 다만 무쇠손은 격투가 제1타입이다.]과 함께 새로 나온 타입 조합으로, 격투의 약점인 비행 타입을 전기가 막아주며 역으로 반격한다. 공격 상성도 서로 겹치는게 없어 7개 타입의 약점을 찌를 수 있는 좋은 타입 조합이다. 종족값은 무난한 물리 어태커의 종족값을 지녔다. 내구는 무보정 기준 물리 31741 특수 28223로 간당간당한 편. 기술폭은 매우 훌륭하다. 숨겨진 특성이 철주먹인 덕에 [[삼색 펀치]]는 기본에 [[인파이트]]를 자력으로 배우고, 전기쥐 포켓몬의 특권인 [[볼부비부비]]도 사용할 수 있으며, [[베라카스]]도 배우는 준 전용기 [[회생의기도]]는 무려 기절한 포켓몬을 체력 50%로 부활시키는 사기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술머신으로 [[깨물어부수기]], [[암석봉인]], [[씨폭탄]], [[치근거리기]]를, 교배기로 [[마하펀치]]와 [[속이기]]를 배우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번에 새로 추가된 도구인 펀치글러브는 빠르모트와 호궁합을 보여준다. 특성인 철주먹과 함께 빠르모트의 주력기인 펀치 기술의 위력을 올려줄 뿐만 아니라 접촉 판정을 없애주어 철가시, 까칠한피부, 울퉁불퉁멧 등의 반사 피해를 입지 않도록 도와준다. 다만 펀치글러브의 위력 상승폭이 낮고 삼색 펀치와 마하펀치 이외의 펀치기는 배우지 못하고, 이 펀치기들 자체도 위력이 높은 편은 아니라 자연회복을 쓰는 경우도 있다. 전용기 [[전광쌍격]]은 [[불사르기]]처럼 사용 후 전기 타입이 사라지는 120 위력의 고화력 기술. 빠르모트의 어태커치고는 애매한 공격 종족값을 위력으로 커버해주는 기술이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특기점으로 전기 타입 테라스탈을 발동한 뒤 전광쌍격을 쓰면 보통 때와 다르게 전기 타입이 사라지지 않아 PP가 다 떨어지거나 기절할 때까지 계속 쓸 수 있다. 반면, 다른 타입 테라스탈을 발동하여 전기 타입 이외의 상성이 된 후라면 전광쌍격 발동이 취소되니 주의. 어태커로 쓴다면 기본적으로 자속 주력기로 인파이트와 전광쌍격을 고르고, 견제용 얼음펀치에 마하펀치 또는 속이기를 쓰는 것이 정석이다. 성격과 노력치 풀보정만으로 인파이트와 전광쌍격의 결정력이 32940은 나오고, 전기 테라스탈 전광쌍격은 43920까지 나온다. 다만 앞서 말했듯 내구가 부실하다는 것이 문제. 때문에 기합의띠를 쓰거나 공격 대신 내구에 노력치를 주고, 볼부비부비와 회생의기도를 쓰는 반쯤 기점마련용 형태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상대에게 마비를 걸고 어떻게든 1대 버틴 뒤, 회생의기도로 주력 포켓몬의 부활을 노리는 방식. 공격 보정을 안 해도 자속기인 전광쌍격과 인파이트의 위력 자체가 높으니 할 거 다 하고 나서도 꽤 아픈 데미지를 박아넣을 수 있다. 또한 [[삼삼드래]], [[대도각참]]을 상대로 빠른 스피드를 통해 약점도 찌르고 볼부비부비로 마비를 걸어버리는 식의 저격용 빠르모트의 채용률도 늘어가고 있다. 전체적으로 사기적인 기술인 회생의기도, 훌륭한 타입 조합과 기술폭, 고위력의 전용기 등에 힘입어 아예 통수형 딜러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준수한 실전성을 가진 강한 포켓몬인 것은 맞지만 현 메타에서 빠르모트보다도 더 높은 성능을 가진 포켓몬들이 당최 많은데다 빠르모트도 그 최상위권의 포켓몬들과 비교하면 여러모로 단점이 좀 있는 편이라 싱글배틀에서는 공동 30위, 더블배틀에서는 공동 28위의 픽률을 보이는 등 아슬아슬하게 메이저 포켓몬 순위권에 걸치고 있다. 특히 시즌 1에선 강한 악타입 포켓몬들이 대량으로 출전 금지를 당해 자속기로 찌를 수 있는 포켓몬들이 별로 없다보니 성능 대비 그리 크게 활약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신 추후 사흉수와 패러독스 포켓몬이 풀리게 되면 그 포켓몬들의 약점을 자속으로 찌를 수 있는 빠르모트의 평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에 제대로 된 활약은 추후 시즌에서 기대해 볼만하다. 다만 더블배틀에서의 [[무쇠손]]은 경계 대상.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피카츄 계열 이후로 간만에 나온 진화체가 있는 전기쥐 포켓몬이다. 진화 전에는 단일 전기지만 빠모트로 진화하면 격투 타입이 붙는다.[* 알로라 폼 라이츄는 에스퍼, [[에몽가]]는 비행, [[데덴네]]는 페어리, [[토게데마루]]는 강철, [[모르페코]]는 악타입이 붙은 복합타입이였다.] * 빠모는 일본판 명칭은 パモ인데, [[픽시(포켓몬스터)|삐]](ピィ) 이후 '''23년 만에''' 추가되는 (일본판 명칭 기준) 2글자짜리 포켓몬이다.[* 같은 세대에 나온 [[망망이]]도 일본어 명칭이 ボチ로 2글자이다.] 또한 한칭/일칭 기준으로 진화하면서 뒷 글자와 중간 글자가 각각 붙는다. * 역대 전기쥐들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공개되었다. * [[악비아르|깜눈크-악비르]]처럼 빠모가 빠모트로 진화할 시 외형의 차이가 일어선 것 빼고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include(틀:영상 정렬, url=XWUouHpdfko, w=200)] * 빠르모트는 수영을 잘한다. 물에 풀어놓아도 튜브가 소환되지 않고 둥둥 떠다닌다. 설치류는 수영을 잘 한다는 것을 고증한 것. * 색이 다른 빠르모트는 몸이 분홍색에 귀 안쪽이 원본보다 더 밝은 청색이다. * 라이벌인 네모가 초반부터 사용하는 멤버로 7세대의 하우, 8세대의 마리에 이어 3번째로 라이벌의 멤버가 된 전기쥐 포켓몬이다. 첫 테라스탈을 선보일 때 빠모로 하거나 챔피언로드 최종전에서 스타팅보다도 난이도 있는 역할로 등장하는 등 사실상 스타팅에 이은 유사 에이스 취급이다. 그리고 네모의 기숙사에 있는 포켓몬도 빠르모트이다. * 빠모에서 빠모트로 진화하면서 2족보행이 되지만, 빠모도 두 발로 서 있는 모션을 종종 취한다. == 삽화 == ||<-3>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21 빠모 dex.png|width=100%]] || [[파일:922 빠모트 dex.png|width=100%]] || [[파일:923 빠르모트 dex.png|width=100%]] || || '''빠모''' || '''빠모트''' || '''빠르모트'''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빠모 ||<:> 일본 이름의 음차 || || 일본어 || パモ ||<:> パチパチ(파직파직) + マーモット([[마멋]])[* 일본어에서는 네덜란드에서 [[기니피그]]와 마멋을 구분하지 않고 'Marmot'이라 불렀던 것을 그대로 수입하여 혼동이 생겼다. 오늘날에는 기니피그는 모루못토(モルモット), 마멋은 마-못토(マーモット)라 부르고 있다.] || || 영어 || Pawmi ||<:> Paw(동물의 발) + Mini(작다) 또는 Nezumi(쥐의 일본어) || ||
{{{#FFF 언어}}} ||<:>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빠모트 ||<:> 빠모 + 모르모트(마멋) || || 일본어 || パモット ||<:> 진화 전 パモ에서 발음을 늘림 || || 영어 || Pawmo ||<:> Paw(동물의 발) + Marmot(마멋) || ||
{{{#FFF 언어}}} ||<:> {{{#FFF 이름}}} ||<:>{{{#FFF 유래}}} || || 한국어 || 빠르모트 ||<:> 진화 전과 같음 || || 일본어 || パーモット ||<:> 진화 전 パモット에서 발음을 더 늘림 || || 영어 || Pawmot ||<:> 진화 전과 같음 || == 관련 문서 == * [[전기쥐 포켓몬]]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전기타입 포켓몬]][[분류:격투타입 포켓몬]][[분류:전기쥐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