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년 12월 17일에 첫 방영한 동명의 TV CHOSUN 드라마, rd1=빨간풍선)] ||<-2>
{{{#000000 '''{{{+2 빨간 {{{#DB2027 풍}}}선}}}''' (2007)[br]''Le voyage du ballon rou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빨간 풍선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000000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가족]]}}} || || '''{{{#000000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허우샤오셴]]}}} || || '''{{{#000000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허우샤오셴, 프랑소와 마골린}}} || || '''{{{#000000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베르 라모리스의 단편 영화 <[[빨간 풍선(단편 영화)|빨간 풍선]]>(1956)}}} || || '''{{{#000000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크리스티나 라센, 프랑소와 마골린}}} || || '''{{{#000000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쥘리에트 비노슈]], 시몽 이떼아뉘, 송팡 ,,외,,}}} || || '''{{{#000000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크 리 핑빙}}} || || '''{{{#000000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클리스토페 힘, 요경송}}} || || '''{{{#000000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폴 파야드}}} || || '''{{{#000000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마르고 필름스[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Les Films du Lendemain[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3H 프로덕션스}}} || || '''{{{#000000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스폰지}}} || || '''{{{#000000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BAC 필름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스폰지}}} || || '''{{{#000000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2007년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07년 05월 17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08년 01월 3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2월 06일}}} || || '''[[화면비율|{{{#000000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000000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5분}}} || || '''{{{#000000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300만 유로}}}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335,987}}}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461,674}}}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5,238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허우샤오셴]] 감독, [[쥘리에트 비노슈]] 주연의 2007년작 프랑스, 대만 합작 영화. 허우샤오셴 첫 외국어 영화다. 알베르 라모리스(1922~1970) 감독의 1956년작 단편 영화 [[빨간 풍선(단편 영화)|빨간 풍선]]을 리메이크했다.[* 제 2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2021년 현재까지도 단편 영화로써 유일하게 각본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라모리스 감독이 각본과 원안을 모두 맡았고 당시 이걸 토대로 책으로도 쓴 바 있다. 라모리스 감독은 [[이란]]에서 영화 촬영도중 [[헬리콥터]] 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유족들이 그의 미완성 [[유작]]을 다시 맡아 1978년에서야 유작을 완성해 개봉했다.] 2006년 프랑스 파리의 [[오르세 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맞이했고, 그 기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현대의 다양한 예술가들을 참여시켜 각기 다른 형태의 예술에 파리와 오르세 미술관의 모습을 담기로 하였는데, 그 중 첫번째 프로젝트인 ‘영화’를 [[허우샤오셴]] 감독에게 의뢰하면서 탄생한 작품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No1GvzqkwI)]}}}|| || {{{#000000 '''▲ 예고{{{#DB2027 편}}}'''}}} || == 시놉시스 == * 출처: [[다음 영화]] > '''어느 날, 삶이 서툰 두 모자에게 찾아온 기적 같은 선물''' > > 파리에 살며 중국 정통 인형극을 제작, 연기하는 전문직 여성 수잔^^([[쥘리에트 비노슈]] 분)^^은 일곱살 짜리 아들 시몽을 둔 이혼녀. 일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자기 자리를 잡은 그녀이지만 집안일이나 이웃 간에 벌어지는 일상다반사에는 마냥 서투르기만 하다. > > 그런 그녀의 아들 시몽 역시 삶이 어수선하기는 마찬가지. 가끔 하늘을 둥둥 떠다니며 잡힐 듯 결코 잡히지 않는 ‘빨간 풍선’이 유일한 친구이던 시몽에게 어느 날, 특별한 사건이 생겼다. 중국 유학생 송팡이 새로운 베이비 시터로 온 것이다! == 등장인물 == * [[쥘리에트 비노슈]] - 수잔 역 * 시몽 이떼아뉘 - 시몽 역 * 송팡 - 송팡 역 * 이폴리트 지라르도 - 마르크 역 * 안나 시가레비치 - 안나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flight-of-the-red-balloon, critic=86, user=5.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flight_of_the_red_balloon, tomato=82, popcorn=60)] [include(틀:평가/IMDb, code=tt0826711, user=6.6)]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flight-of-the-red-balloon, user=3.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12179, presse=3.3, spectateurs=2.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261696, user=5.83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30313, user=3.64)]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7701, user=3.9)]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45957, user=7.5)]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856436, user=7.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qepDW,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737, light=1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67453,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7.5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3575, expert=없음, user=6.7)] [include(틀:평가/CGV, code=76629,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le-voyage-du-ballon-rouge-m100033258, critic=68,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없음)] > Hou Hsiao-hsien's remake of the 1956 classic is unhurried, contemplative, and visually rapturous. >---- > '''1956년작 고전 단편을 [[허우샤오셴]] 감독이 리메이크한 이 영화는 느긋하면서도 사색적이고, 시각적으로도 황홀하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작은 것들이 부풀리는 큰 세상''' >---- > - [[박평식]] '''(★★★☆)''' > '''지상의 방 한칸을 기웃거리는 무구한 시선''' >----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 '''사소한 것도 샤오시엔이 응시하면 깊어지는 비의!''' >---- > - 유지나 '''(★★★★)''' > '''카메라가 손이 되어 만진다. 촉지적 영화의 한 모델''' >---- > - 정한석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0317|장문 리뷰]] 일상적인 풍경을 허우샤오셴답게 담아냈다는 점에서 파리판 <[[카페 뤼미에르]]>라고도 불리며, 파리의 일상을 가장 파리답게 담아냈다는 극찬을 받았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1,335,987'''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461,674''' || 미정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2007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후보 * [[필름 코멘트 선정 2000년대 영화 베스트 100]] '''65위'''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관련 문서 ==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관련 문서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외부 링크 ==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0039|씨네21]] - [[남다은]] 평론가 리뷰 글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0920|씨네21]] - [[정성일]] 평론가 리뷰 글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가족 영화]][[분류:대만의 드라마 영화]][[분류:대만의 가족 영화]][[분류:2007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