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뽀롱뽀롱 뽀로로]][[분류:2011년/사건사고]][[분류:제6공화국/사건사고]][[분류:아이코닉스]][[분류:오콘]][[분류:저작권]][[분류:판례]]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저작권 관련 사건 사고)] [목차] == 개요 == [[2011년]]에 [[뽀롱뽀롱 뽀로로]]의 제작사 중 한곳인 [[오콘]]에서 '''"[[아이코닉스]]에서 뽀로로의 실제 창작자인 [[오콘]]을 배제한 채 자신들이 뽀로로 창작자인 것처럼 언론에 홍보함으로써 오콘 및 소속 창작자들의 권리와 명예를 훼손했다."'''며 법원에 뽀로로의 실제 창작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기 위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사건. 최종적으론 아이코닉스와 오콘의 공동 저작물로 판정받은 판례이다. == 상세 == [[오콘]] 측은 소송 이유를 앞서 서술했듯 '''"[[아이코닉스]]는 마치 자신이 창작자인 것처럼 언론 매체를 통해 홍보해 오콘 창작자들의 권리와 명예를 훼손했다."'''라고 했는데, 이는 일정부분 맞는 말이긴 하다. 우선 [[아이코닉스]]는 [[2005년]]~[[2007년]]에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부문에 출품했는데, '''공동 창작자인 오콘을 빼고 아이코닉스 단독으로 신청해 3년 연속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여기에 추가로 [[최종일(기업인)|최종일]]이 [[무릎팍도사]] 마지막회에서 혼자 출연해 '''"뽀로로 아빠"'''로 소개되면서 대중 사이에서 "뽀로로=아이코닉스"라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오콘은 [[아이코닉스]]에게 소송을 한 것. 그리고 이에 대해 아이코닉스 대표는 '''"작품을 출품할 때 상의하지 않고 한 적이 없으며 '무릎팍도사' 출연은 내가 결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대중들의 반응은 "다른건 둘째치고 오콘이 공동제작한 내용을 혼자만의 창작물이라는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라는 것이 다수이다. 2011년 당시 뽀로로의 저작권 지분은 아이코닉스 및 오콘이 각각 27%, [[SK브로드밴드]]가 20%, [[한국교육방송공사]]는 26%를 보유하고 있었다. == 양측 입장 == === [[아이코닉스]] === >'''오콘이 뽀로로 캐릭터를 디자인하고 영상으로 만든 건 맞지만,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스토리 보드 구성이라든지 포스트 프로덕션 등은 아이코닉스에서 진행했다. 공동 작업을 한 것을 두고 '우리가 진짜 창작자'라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 >- 아이코닉스 대표 [[최종일(기업인)|최종일]] [[아이코닉스]] 측은 "저작권자 4개사[* SKB, EBS, 아이코닉스, 오콘.]니 오콘도 25%의 저작권을 소유했기 때문에 [[오콘|자신]]이 실제 창작자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라는 입장이다. === [[오콘]] === >'''아이코닉스는 기획, 광고, 마케팅의 역할을 했을 뿐이다. 저작권법상 뽀로로 캐릭터 및 영상저작물의 창작적인 표현 형식 자체를 직접 맡은 오콘만 단독 저작자이다.''' >---- >- 오콘 대표 김일호 [[오콘]] 측은 "[[아이코닉스]] 측에서 마치 창작자인 것인 마냥 언론 매체 통해 홍보했다. 우리가 실제 창작자이다."라는 입장이다. == 최종 판결 == >'''뽀로로는 두회사의 공동 제작물이다.''' 공동 제작사를 상대로 단독 저작권을 주장하는 소송을 낸 [[오콘]]은 패소했다. 다만, 원고 패소로만 판결했다. 재판부는 "[[오콘|원고]]가 뽀로로 제작에 대부분의 행위를 한건 맞지만, 음악과 음향, 더빙 등은 [[아이코닉스|피고]]가 하게 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 이후 == 이에 따라 양측은 '''[[아이코닉스]]는 TV 시리즈를 제작하고, [[오콘]]은 극장판을 제작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뽀롱뽀롱 뽀로로 주연들의 디자인이 3기부터 바뀐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되는 게 이것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러므로 뽀로로 New1에서 마저 옷을 입은 것도 저작권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크롱은 New 1기 1화 한정으로 옷을 안입었다. 에피소드 시점에서 방금 태어났는데 옷을 안 입은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2화에서 뽀로로가 크롱에게 옷을 선물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현재는 [[https://youtu.be/8ob6zlHni1I?t=187|오콘 공식 영상]]에서 아이코닉스가 새로 디자인한[* 3기 이후의 모습.] 뽀로로의 2D 일러스트를 사용하는 등 양측에서 [[아이코닉스]] 혹은 [[오콘]]의 저작물을 일부 사용하고 있으며, [[오콘]]에서도 뽀로로가 공동 제작물인 것을 인정하고 있다. 한편, 한때 뽀로로를 제작할때 서로 협업했던 [[아이코닉스]]와 [[오콘]]은 해당 소송 이후 경쟁하는 사이가 되었으며, 2022년 말 기준 매출 면에서는 [[아이코닉스]]가 앞서고 있다. == 관련 문서 == * [[뽀롱뽀롱 뽀로로]] * [[아이코닉스]] * [[최종일(기업인)]] * [[오콘]] * [[저작권]] * [[판례]]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뽀롱뽀롱 뽀로로)] [include(틀:아이코닉스)] [include(틀:오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