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자릭 지하대분묘)] ||<-3>
'''{{{+1 {{{#DAA520 뽕실모에[br]ぷにっと萌え[br]Punitto Mo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뽕실모에 프로필.png|width=100%]]}}} || ||<-2> '''{{{#DAA520 소개 키워드}}}''' ||{{{#000000,#ddd '''PK & PKK 담당군사'''}}} || ||<-2> '''{{{#DAA520 본명}}}''' ||{{{#000000,#ddd ?}}} || ||<-2> '''{{{#DAA520 상징}}}''' || || ||<-2> '''{{{#DAA520 종족}}}''' ||{{{#000000,#ddd [[오버로드(소설)/종족/이형종|이형종]]([[오버로드(소설)/종족/이형종#s-3.9|바인 데스]])}}} || ||<-2> '''{{{#DAA520 성별}}}''' ||{{{#000000,#ddd 남성}}} || ||<-2> '''{{{#DAA520 나이}}}''' ||{{{#000000,#ddd ?세}}} || ||<-2> '''{{{#DAA520 신장}}}''' ||{{{#000000,#ddd ?cm}}} || ||<-2> '''{{{#DAA520 직함}}}''' ||{{{#000000,#ddd 지고의 41인}}} || ||<-2> '''{{{#DAA520 주거}}}''' ||{{{#000000,#ddd 나자릭 지하대분묘 제9계층에 있는 자신의 방}}} || ||<-2> '''{{{#DAA520 속성}}}''' ||{{{#000000,#ddd ? [카르마 수치:}}} {{{#black ?}}}{{{#000000,#ddd ]}}} || ||<|3> '''{{{#DAA520 레벨}}}''' || '''{{{#DAA520 합계 레벨}}}''' ||{{{#000000,#ddd '''?Lv'''[* 추정 '''100Lv'''. 프롤로그 시점 이전부터 장기간 게임 위그드라실을 플레이했기에 100Lv일 가능성이 높다.]}}} || || '''{{{#DAA520 종족 레벨}}}''' ||{{{#000000,#ddd 바인 데스(Vines Death) ?Lv[br]'''[취득총계 ?Lv]'''}}} || || '''{{{#DAA520 클래스 레벨}}}''' ||{{{#000000,#ddd 불명 ?Lv[br]'''[취득총계 ?Lv]'''}}} || ||<-2> '''{{{#DAA520 생일}}}''' ||{{{#000000,#ddd ?}}} || ||<-2> '''{{{#DAA520 취미}}}''' ||{{{#000000,#ddd ?}}} || ||<-2> '''{{{#DAA520 커스텀 NPC}}}''' ||{{{#000000,#ddd ?}}} || ||<-2> '''{{{#DAA520 성우}}}'''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000000,#ddd ?}}}[br][[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000000,#ddd ?}}} || [목차] [clearfix] == 개요 == ||
'''{{{#DAA520 personal character}}}''' || ||중증 게이머에서 게이머에서 다양한 게임에 접해 지식을 얻어왔기 때문에, 새로운 전술 등의 개발에 있어서는 "아인즈 울 고운"에서 굴지의 인물. 구속 시간은 길지만 여가 시간이 많은 업무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에, 근무 시간 중에도 게임 동영상 검색 및 다양한 사이트의 순회에서 정보 수집도 하고 있다. 그런 그가 만든 캐릭터는 지휘관계 클래스를 중심으로 굳히고 있어 있는 것만으로 팀의 능력을 끌어 올릴 수 있다.|| [[판타지 소설]] 《[[오버로드(소설)|오버로드]]》의 등장인물. [[오버로드(소설)/길드#s-3.1|길드 아인즈 울 고운]]의 멤버 중 한 명이다. == 특징 == 아인즈 울 고운 길드의 [[제갈공명]]이라 불리던 신중파 플레이어로 '''"[[손자병법|전투는 시작되기 전에 이미 끝난다]]"'''가 지론. 종족은 식물계 몬스터인 바인 데스로 덩굴로 몸 형태를 구축한 이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었다. 모몬가의 게임 스승인 동시에 페로론치노와 나란히 사이가 좋았던 가장 친한 친구였던 길드원으로 모몬가의 인덕과 상황 대응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어, 자신의 전술을 비롯해 다양한 가르침을 전수했는데 아인즈가 언급한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PK술"'''도 그가 제작하여 모몬가에게만 전수한 비전의 전투교리다. 이세계로 날아간 현재도 그의 가르침은 몇 번이나 아인즈의 도움이 되고 있다. 그 외에 아인즈 울 고운에 적대하는 길드들에게 허위 정보를 흘려서 내분을 조장하려고 하기도 했다. 현실에선 중증의 게이머로, 근무시간은 길지만 비교적 중간중간 널널한 시간이 많았던 업무에 종사하고 있었던지라 그런 시간에 게임 동영상 열람, 정보 사이트 순례 등 정보 수집에 열심이었다. == 작중 행적 == 이세계로 전이한 직후 공황 상태에 빠지려는 [[아인즈 울 고운|모몬가]]는 그가 곧잘 하던 말인 "초조함은 실패의 씨앗이며, 냉정한 논리적 사고야말로 항상 갖추어야 할 것. 마음을 가라앉히고 시야를 넓혀야지. 생각에 사로잡히지 말고 회전시켜야 해, 모몬가 님"을 떠올리고 침착함을 되찾았다. 오버로드 프롤로그 후편에서 군사라는 이름에 걸맞게 나자릭 지하분묘 공략 때도 직접 파티 구성을 맡았다. 그 당시 길드원의 평균 레벨은 약 90대 전후였으며 총 인원수는 27명으로, 레이드 파티인 30명(6인 파티 x 5부대)에 모자라는 인원은 NPC로 구성하여 공략에 들어가게 된다. 전례 없는 초회 공략이었기에 특히나 우수한 두 팀을 만들었다. 하나는 길드 최강자인 [[터치 미]]의 팀, 또 하나가 길드 마스터인 모몬가의 팀으로 최악의 경우 이 두 팀만으로라도 던전 보스를 공략하기 위해서였다.[* 레이드 보스는 보통 30인이 공략한다. 그런데 그것을 두 팀 12명으로 해내라는 말이니 어느 정도 뛰어난 멤버들일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 중 모몬가의 팀은 공격력/방어력 특화로 공방만 보자면 매우 높은 능력치를 지닌 강한 팀이지만 다른 능력은 매우 약하다고도 할 수 있기에 자칫 잘못되면 궤멸되기 쉬웠다. 그런 파티 구성을 초회공략에서 시도한 것은 상당한 도박에 가까웠는데, 그것을 메꿔줄 인물로서 모몬가를 인선했다. 모몬가가 있기 때문에 공/방 말고는 능력이 떨어지는 파티라도 충분히 제 기능이 가능하다는 이유. 모몬가에게 '''길드 내에서 상황 대응 능력에 있어 비교할 자가 없으며, 모몬가가 들어간 것에 의해 전체 파티 중에서도 최고의 파티가 된다'''라고 단언했다. 그 후, 던전은 5지형을 각 파티가 맡아 진행하는 형태가 되어 각 보스를 쓰러뜨리는 형태로 생각보다는 무난하게 진행되지만 뽕실모에의 선택이 옳았다는 듯이 메세지를 통한 정보 공유를 통해 보스의 조우 순서가 늦을수록 점점 더 강력한 보스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공략 후 나자릭 지하분묘는 길드 거점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는 게 밝혀지고, 이에 이름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나자릭 지하대분묘]]'''가 되고 아인즈 울 고운은 그 점유권을 얻게 된다. 초회 공략에 환희하는 멤버들에게 더욱 기쁜 소식이 두 가지 있었는데 하나는 최초의 80레벨대 이상의 던전이자, 적정 레벨 던전을 초회 공략했다는 복수의 조건을 달성함으로서 NPC 작성 제한 레벨이 무려 500이 추가되어 2750까지 올라갔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공략 보상으로 주어진 것이 '''세계급 아이템, 제왕의 옥좌'''라는 사실이었다. 모두가 정신나간 듯이 환호를 지르는 속에서 길드장이 된 모몬가가 옥좌에 앉고 그 주위로 길드원들에게 둘러싸여 단체사진을 찍으며 내용이 마무리된다. "아베라지"라는 이름의, 파워드 슈츠 게임을 니시키엔라이를 비롯한 일부 멤버들과 같이 플레이 한 적이 있는데 뽕실모에는 자신의 성향답게 모든 상황에 대응하도록 중장갑을 끼는 무장을 했었다. 하지만 니시키엔라이보다는 랭크가 낮았다고 한다. == 능력 == 모몬가가 파티원으로서 순수한 강함으로는 터치 미, 현명함으로는 뽕실모에를 꼽았을 정도로 길드 내에서 인정 받은 전략가. 위그드라실에선 지휘관 계통 클래스를 중심으로 취득해서 그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팀의 능력을 전체적으로 끌어올려 주었다. 나자릭 지하분묘 초회 공략 시의 묘사를 보면 6인 파티에서 뽕실모에 한 명이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플레이어에 비해 능력이 떨어지는 NPC 3기 정도를 충분히 적정 전력으로 만들 수 있었다. 아인즈 이상으로 후위직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의 전투력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나, 개인전이 아닌 집단전에 있어선 압도적인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 아인즈 또한 미지의 세력을 상정하고 대책을 구상할 때 늘 '뽕실모에 님이라면 어떻게 했을까'라고 고민할 정도이고, 13권에서는 같은 지휘관 계통인 [[오레올 오메가]]에게 버프를 잔뜩 받은 도플갱어들을 상대로 모의전을 벌일 때도 '뽕실모에 님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공격해 올까?'라는 질문으로 작전 구상을 시작하는 등, 전투 상황에서의 전략을 짤 때는 늘 뽕실모에를 기준으로 삼는 모습을 보일 만큼 크나큰 신뢰를 품고 있다. ===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PK술 === 뽕실모에가 직접 제작하여 모몬가에게만 전수한 PVP(Player versus Player) 비전의 전투교리. ---- * 상대의 정보를 어떻게든 수집해, 기습에서도 승부를 붙인다. 이것이 '누구나 손쉽게 PK술'에 의한 길드의 기본 전술이다. * 마법에 의한 정보 수집을 할 때에는 방어 대책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것도 기본. * PVP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거짓 정보를 얼마나 능숙하게 상대에게 흘릴 수 있는가다.[* 제국에서 8대 무왕과 결투를 벌일 때, 이 교리를 망각했다가 모몬가가 뽕실모에를 떠올렸다.] * 때로는 PK한 상대의 드롭 아이템을 돌려주는 등 원한을 피하는 행동 또한 필요하다. === [[오버로드(소설)/아이템|아이템]] === * '''링 오브 아인즈 울 고운(Ring of Ainz Ooal Gown)'''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ing_of_Ainz_Ooal_Gown_V2.png|width=100%]]}}} || || '''[[오버로드(소설)/애니메이션|{{{#DAA520 TVA}}}]]''' || 나자릭 지하대분묘의 어디로든 방해받지 않고 전이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템. 보물전 출입은 이 아이템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총 100개를 만들었으며 그중 41개는 지고의 41인이 나누어 가져서, 전이 시점에서 사용자가 정해지지 않은 것은 58개이다. 뽕실모에도 아인즈 울 고운 길드원 중 하나이기에 한 개를 가지고 있다. == 원화 == || '''[[오버로드(소설)|{{{#DAA520 {{{+1 라이트 노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unitto_Moe_Character_Sheet.png|width=100%]]}}} || || '''[[오버로드(소설)#s-10.2|{{{+1 {{{#DAA520 코믹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불사자의 oh 뽕실모에.png|width=100%]]}}} || || '''[[오버로드(소설)#s-10.2.2|{{{#DAA520 불사자의 왕!}}}]]''' || == 기타 == 뽕실모에의 원어인 '푸닛토 모에'는'말랑말랑하고 귀여운 것'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뽕실' 내지는 '뽕실뽕실하다'는 사전에도 없이 구전으로 퍼지는 의태어다. 문제는 이 뜻으로 쓰이는 뽕실은 보통 동물의 털에 볼륨이 있거나 해서 솜사탕처럼 부드러운 부피감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는 점이다. 푸닛토는 푸니푸니의 활용어로, 보통은 떡이나 손바닥처럼 부드럽고 쫄깃한 질감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역으로 뽕실뽕실을 번역하자면 푸니푸니가 아니라 후와후와가 적절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굳이 사전에도 없는 뽕실하다는 표현을 빌린 것도 이상하지만 엄밀하게 따지자면 뜻이 달라진다. 즉 오역인 셈인데... 워낙에 자유분방한 닉네임이 많은지라 크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다. == 관련 문서 == * [[지고의 41인]] * [[오버로드(소설)/등장인물/나자릭 지하대분묘]] [[분류:오버로드(소설)/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