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가미 철도(소테츠), rd1=사가미 철도)] [include(틀:JR 동일본의 철도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JR 동일본|[[파일:JRE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JR 동일본|{{{#ffffff JR 동일본}}}]]}}}|| ||<-2><:> '''{{{+1 {{{#019595,#69fdfd [ruby(相模線, ruby=さがみせん)]}}}}}}'''[br]{{{#019595,#69fdfd Sagami Line | {{{#019595,#69fdfd 사가미선}}}}}} || ||<-2> [[파일:e131-500.jpg|width=100%]] ---- [[E131계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분류''' ||간선 || || '''기점''' ||[[치가사키역]] || || '''종점''' ||[[하시모토역(가나가와)|하시모토역]] || || '''역 수''' ||18 || || '''개업일''' ||[[1921년]] [[9월 28일]] || || '''소유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 || || '''운영자'''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008900,#76ff76 JR 동일본}}}]][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40]][br]{{{#367193,#6ca7c9 JR 화물}}}]] || || '''사용차량''' ||[[E131계 전동차]] 500번대[* 2021년 11월 18일 운행 시작.] || || '''차량기지''' ||[[코우즈 차량센터]]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33.3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단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특수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ATS-P || || '''최고속도''' ||85km/h || || [[파일:JR_Sagami_Line_linemap.png|width=100%]] || || {{{#ffffff 실측지도 상의 사가미선}}} || || [youtube(n8RwY3Ddsyg)] || || {{{#ffffff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 개요 == [[가나가와현]] [[치가사키시]]의 [[치가사키역|치가사키(茅ヶ崎)역]]에서부터 [[사가미하라시]] [[미도리구(사가미하라)|미도리구]]의 [[하시모토역(가나가와)|하시모토(橋本)역]]까지를 잇는 노선이다. 출퇴근 시간대의 일부 열차는 [[요코하마선]]에 직결하여 [[하치오지역|하치오지(八王子)역]]까지 운행하고 있었으나 2022년 3월 12일부터 직결하지 않는다. [[사철(철도)|사철]] '''[[사가미 철도]]'''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참고로 이 노선에서 [[에비나역]]과 연계된다.] 사실 옛날에는 이 사가미선도 사가미 철도의 노선이었다. 사가미선이라는 이름도 당연히 소테츠에서 붙인 것이었다. 그러다가 1944년, 전시에 도카이도 본선, 츄오 본선의 바이패스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국가에서 기존의 사가미 철도선인 사가미선을 강제로 국유화한 것이 [[일본국유철도|국철]] 시대를 거치며 [[JR 동일본]]의 노선으로 남은 것.[* 참고로 [[소테츠 본선]]은 옛 진츄 철도 노선으로 국철의 노선이었던 적은 없었으며, [[소테츠 이즈미노선|이즈미노선]]은 나중인 1976년에 개통하였다.] 전후 소테츠에서 다시 이 노선의 인수를 검토하기도 했으나, 고용 문제 등 여러가지 해결해야할 일이 많아 실제로 실현되지는 않았다. [[도카이도 본선]]과 [[츄오 본선]]의 바이패스 역할을 한다. 도카이도-츄오 연락선 중에서는 수도권 최서단 노선. [* 이보다 서쪽에 있는 연락선은 [[미노부선]], [[이다선]] 그리고 동쪽으로는 [[난부선]]이나 [[요코하마선]] 등이 있다.] 의외로 지방교통선이 아닌 간선으로 분류되고 있디. === 노선 데이터 === * 관할 구간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치가사키~하시모토 33.3km *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치가사키~아츠기 14.2km * 궤간 : 1067mm * 역 수 : 18 * 복선구간 : 없음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특수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P * 최고속도 : 85km/h * 운전지령소 : 하시모토 CTC센터 * 운전취급역 : 치가사키 * 준운전취급역 : 아츠기, 하시모토 * [[대도시근교구간#s-4.1|수도권 근교구간]] : 전구간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 영업본부 : 요코하마 지사 == 차량 == 2022년부터 전 차량 [[E131계 전동차]] 500번대, 580번대가 4량 1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반자동식 도어를 채용하고 있다. 사가미선 전철화 공사와 동시에 도입된 205계 500번대는 이미 [[야마노테선]], [[사이쿄선]], [[케이요선]], [[요코하마선]], [[난부선]] 등 수도권의 주요 간선급 노선에서는 죄다 물러났고[* 심지어 205계보다 한참이나 더 뒤에 들어온 [[E231계 전동차|E231계]] 마저도 선구 이동이 발생하고 있다.], 지선급 노선인 [[하치코선]] 마저도 다 물러나고, 똥차만 넣기로 유명했던 [[무사시노선]]에서까지 물러난 걸 보면, 이 노선에서 운용되는 205계 역시 언제까지나 목숨을 부지할 수 있으리라고는 장담하기가 힘들 듯 하다. 특히 2018년 8월 25일에 있었던 [[도쿄 종합 차량센터]] 공개행사 중 해당 차량을 사용한 시승 이벤트에서 “내년에는 이 205계도 폐차되거나 해외양도될 수도 있습니다” 라는 언급이 있었다고 전해졌기에, 향후의 행보를 주목해볼 만 하다. 이후 2021년 6월 17일에 [[E131계 전동차]] 도입 계획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2021년 가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여 205계를 대차할 예정. 그리고 2021년 11월 18일, [[치가사키역]]에서 16시 34분에 출발하는 하시모토행 열차로 [[E131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5계는 2022년 3월 12일 시각표 개정으로 사가미선에서도 퇴역하였다. 또한 본 노선이 E131계로 통일됨에 따라 2022년 3월 12일부터 [[1인 승무]]로 전환되었다. == 이야기 == 전 구간 [[단선]]에 4량 편성이다. 수도권 전철화 노선 중에서는 꽤 열악한 노선. [[츠루미선]]의 지선을 제외하면 [[가나가와현]] [[JR그룹|JR]]선 중 유일한 단선 노선으로 무인역의 비중도 높다. 하지만 배차 간격은 복선인 츠루미선보다도 좁다. 대신 단선의 한계가 있어 출퇴근 시간에도 12분 간격 이하로는 줄이기가 어렵다. 4량 편성이기 때문에 혼잡도가 굉장라다. 운전 취급역이 디젤 열차를 굴리던 시절과 전혀 달라지지 않아 지금의 고성능 전동차로 굴리기에는 교행 가능역이 턱없이 부족하다. 덕분에 표정 속도 저하의 주범으로 작용하는 중. 치가사키(茅ヶ崎) - 하시모토(橋本)간 거리가 33.3km밖에 되지 않지만 소요 시간은 1시간, 최대 1시간 9분에 달한다. 표정 속도가 28.95km/h인데, 훨씬 역간거리가 짧고 최고시속도 낮은 [[서울 지하철 1호선]]보다도 못하다. 참고로 전철이 아니었던 시절 소요 시간이 1시간 4분이었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인식과 다르게 2014년 기준 영업계수 98.5의 흑자노선이다. == 역 목록 == * 전역 [[가나가와현]]내 소재 ||<-5> {{{#ffffff '''JR 사가미선'''}}} ||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환승노선}}} ||<-2> {{{#ffffff 위치}}} || || [[치가사키역|치가사키]][br](茅ヶ崎) || 0.0 ||¶[[JR 동일본]] [[파일:JRE-JT.svg|width=17]][[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 (JT10) ||<|3><-2> 치가사키시 || || [[키타치가사키역|키타치가사키]][br](北茅ヶ崎) || 1.3 || || || [[카가와역(가나가와)|카가와]][br](香川) || 3.4 || || || [[사무카와역|사무카와]][br](寒川) || 5.1 || ||<|3><-2> 고자군[br]사무카와마치 || || [[미야야마역|미야야마]][br](宮山) || 7.2 || || || [[쿠라미역|쿠라미]][br](倉見) || 8.6 || || || [[카도사와바시역|카도사와바시]][br](門沢橋) || 10.0 || ||<-2><|4> 에비나시 || || [[샤케역|샤케]][br](社家) || 11.6 || || || [[아츠기역|아츠기]][br](厚木) || 14.2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width=17]][[오다큐 오다와라선|오다와라선]] (OH33)[br]¶[[사가미 철도]] [[아츠기선]] (화물선) || || [[에비나역|에비나]][br](海老名) || 15.9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width=17]]오다와라선 (OH32)[br]¶사가미 철도 [[파일:Sotetsu-SO.svg|width=17]][[소테츠 본선|본선]] (SO18) || || [[이리야역(가나가와)|이리야]][br](入谷) || 18.9 || ||<-2> 자마시 || || [[소부다이시타역|소부다이시타]][br](相武台下) || 20.6 || ||<|7> 사[br]가[br]미[br]하[br]라[br]시 ||<|3> 미나미구 || || [[시모미조역|시모미조]][br](下溝) || 23.5 || || || [[하라타이마역|하라타이마]][br](原当麻) || 24.8 || || || [[반다역|반다]][br](番田) || 26.9 || ||<|3> 주오구 || || [[카미미조역|카미미조]][br](上溝) || 28.4 || || || [[미나미하시모토역|미나미하시모토]][br](南橋本) || 31.3 || || || [[하시모토역(가나가와)|하시모토]][br](橋本) || 33.3 ||¶JR 동일본 [[파일:JRE-JH.svg|width=17]][[요코하마선]] (JH28)[br]¶[[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width=17]][[케이오 사가미하라선|사가미하라선]] (KO45) || 미도리구 || == 기타 == * 전 구간이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大都市近郊区間)에 속해있다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전력공급 문제에 따른 계획운휴가 이루어질 당시, 사가미선은 독자적인 전력공급 설비를 갖추지 못해 타 노선에 비해 운휴기간이 길어졌었다. 연선 주민들이 사가미선을 계획운휴 대상에서 제외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하였으나, 당시 워낙 좋지 않았던 상황이라 이러한 요청을 바로 수용하기 어려웠던 상황이었고, 이 때문에 전철로 10분이면 갈 거리를 자전거로 50분씩 걸려 가는 등 주민들의 불편이 한동안 이어졌다. [[분류:일본의 철도 노선]][[분류:일본의 운행계통]][[분류:1921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사가미선]][[분류:사가미선(운행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