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하스스톤 프로젝트)] * 상위 문서: [[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목차] 사냥꾼의 [[낙스라마스의 저주]] ~ [[고블린 대 노움]] 카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낙스라마스의 저주 == === {{{#Gray 일반 등급}}} === ==== [[그물거미]] ==== 자세한 것은 [[그물거미]] 문서 참고.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s-3.6|고블린 대 노움]] == === {{{#Gray 일반 등급}}} === ==== 수리검포 ==== ||<-12>
<#008000><:> || ||<:> '''한글명''' ||<:> 수리검포||<-6><|7><:>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45718/hearthstone/images/4/4c/Glaivezooka.png?width=200 || ||<:> '''영문명''' ||<:> Glaivezooka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무기 || ||<:> '''등급''' ||<:> {{{#Gray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4031317/hearthstone/images/4/4c/Glaivezooka.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2 ||<:> '''공격력''' ||<:> 2 ||<:> '''내구도''' ||<:> 2 || ||<:> '''효과''' ||<-7>'''전투의 함성''': 무작위 아군 하수인 하나에게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7>보통 바주카포로는 부족할 때 사용합니다. ''(For the times when a regular bazooka just isn't enough.)'' || 덫과의 연계가 강요되지 않는다는 점이 강점. 전투의 함성 효과를 받은 하수인이 살아남아 누적 영웅딜을 쌓을 수만 있다면 어떤 무기에게도 꿀리지 않는 효율을 낼 수 있다. 공격력 1을 하수인과 나눠가지면서 데미지 분배를 세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필드에 하수인이 없거나 굳이 하수인을 희생시켜 낮은 무기데미지를 커버해야할 때 드러난다. ==== 코브라 사격 ==== ||<-12>
<#008000><:> || ||<:> '''한글명''' ||<:>코브라 사격 ||<-6><|8><:>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45516/hearthstone/images/a/af/CobraShot.png?width=200 || ||<:> '''영문명''' ||<:> Cobra Shot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gray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4005111/hearthstone/images/9/91/CobraShot.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5 || ||<:> '''효과''' ||<-8>하수인 하나와 적 영웅에게 피해를 3 줍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코브라 사격은 코브라 일격보다 네 배 아픕니다. ''("Cobra Shot" hurts way, way, way more than "Cobra Cuddle.")'' || 최악의 효율을 보여주는 카드. 영웅딜을 강매당한 저격기이다. 하지만 저격기로서의 정체성은 폭발사격에게 한참 밀린다. 사실상 흑마법사의 2코스트 검은 폭탄과 도적의 기본카드 1코스트 사악한 일격을 합친 카드인데 카드 두 장을 한 장으로 줄인 가치가 2코스트나 하는 지는 의문이다. === {{{#0063ff 희귀 등급}}} === ==== 야수 부르기 ==== ||<-12>
<#008000><:> || ||<:> '''한글명''' ||<:>야수 부르기 ||<-6><|8><:>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125004922/hearthstone/images/6/6d/CallPet.png?width=200 || ||<:> '''영문명''' ||<:> Call Pet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4004545/hearthstone/images/c/c5/CallPet.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2 || ||<:> '''효과''' ||<-8>카드를 1장 뽑습니다. 야수 카드면 비용이 (4) 감소합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굶주린 게야말로 진정한 남자의 야수죠 .''(Real hunters tame hungry crabs.)'' || 어그로냥꾼에게는 거의 의미가 없는 카드. 하지만 영웅딜보다 필드 컨트롤을 우선시하는 덱이 부활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낙스라마스의 저주 이전에는 돌냥도 강햇지만 야수냥꾼도 매우 강한 덱이였다. 당시로선 야수 시너지가 매우 강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낙스라마스의 저주 4주차에서 장의사가 풀리자 죽메냥꾼이 최상급덱으로 올라가면서 야수냥꾼은 묻혀졌다.[* 결정적으론 굶주린 대머리수리가 5코스트로 너프되면서 완전히 망해버렸다.] 이를 다시 살리고자 추가한 카드로 추측 된다. 초반엔 운영냥꾼에게 별 의미없는 영웅능력과 같은 코스트이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른 직업에 비해서도 별 불리함이 없기 때문. 그냥 1장 드로 카드로서도 섬광이 너프되어 2코가 돼서 차이도 없다. 대머리수리, 툰드라 코뿔소 채용을 부활시키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 강철니 표범로봇 ==== ||<-12>
<#008000><:> || ||<:> '''한글명''' ||<:>강철니 표범로봇 ||<-6><|8><:>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3050025/hearthstone/images/d/da/MetaltoothLeaper.png?width=200 || ||<:> '''영문명''' ||<:> Metaltooth Leaper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기계 ||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0121/hearthstone/images/5/5f/MetaltoothLeaper.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3 ||<:> '''공격력''' ||<:>3 ||<:> '''생명력''' ||<:>3 || ||<:> '''효과''' ||<-8>'''전투의 함성''': 내 다른 기계 하수인들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비를 맞히지 마세요. 녹슨니 표범로봇이 될 수도 있습니다. ''(Don't leave them out in the rain. In Un'Goro Crater there is a whole colony of rust-tooth leapers.)'' || 자체만 두고보면 기계 어그로덱에게 정말 굉장히 좋은 기계 하수인인데 고블린 대 노움 초반메타의 사냥꾼은 기계 채용율이 최저를 달리는 직업이다. 오히려 야수덱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기계 중심의 사냥꾼덱이 딱히 떠오르질 않아 존재감이 희미한 카드.--차원문에서 뽑은 기계법사가 가장 잘 쓴다고 하더라-- 하지만 OGN 공식 경기에서 Wissoul 김현일이 이 카드를 써 모두를 놀라게 한 적이 있었다. [[레진코믹스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시즌 3]]참조 그리고 48주차 선술집 난투인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선술집 난투/2인조|2인조]]에서 전설이 되었다 ==== 백수의 왕 ==== ||<-12>
<#008000><:> || ||<:> '''한글명''' ||<:>백수의 왕 ||<-6><|8><:>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3045844/hearthstone/images/b/bb/KingofBeasts.png?width=200 || ||<:> '''영문명''' ||<:> King of Beasts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4035036/hearthstone/images/d/d7/KingofBeasts.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5 ||<:> '''공격력''' ||<:>2 ||<:> '''생명력''' ||<:>6 || ||<:> '''효과''' ||<-8>'''도발'''. '''전투의 함성''': 전장의 다른 아군 야수 하나당 공격력을 +1 얻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당연하지만 [[백수|10년째 집에서 놀고 계신]] 우리 [[삼촌]]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He never sleeps. Not even in the mighty jungle.[* 노래 The lion sleeps tonight의 패러디. 이름대로 [[라이언 킹]]의 ost다.])'' || 전장에 야수가 2장 이상 있어야 발톱의 드루이드 곰폼을 따라잡을 수 있다. 대신 뱀덫, 개풀을 채용하는 덱에서 쉽게 높은 공격력을 노리는 형태로 채용되고 있다. 최대한 효과를 살리지 않으면 썩은 수액 누더기골렘의 심각한 하위호환이라 쓰기가 힘들다는 것이 단점. 공격력 버프의 이름은 '왕'. 생긴 것도 그렇고 이름도 그렇고 [[무파사]]의 오마쥬. 동생인 [[스카(라이온 킹)|사바나 사자]]한테 한 대 맞으면 정확하게 죽는 피통과, 맨몸으로 나와도 [[하이에나#s-3|하이에나]]는 한방에 보낼 수 있는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일러스트는 람카헨의 왕 파오리스의 사자인 [[http://ko.wowhead.com/npc=46325|아크헤트]]에서 따왔다. [[http://wow.tcgbrowser.com/images/cards/hd/akhet_tof.jpg|와우TCG의 카드]] === {{{#9400d3 영웅 등급}}} === ==== [[스팀휘들 무역회사|스팀휘들]] 저격수 ==== ||<-12>
<#008000><:> || ||<:> '''한글명''' ||<:>[[스팀휘들 무역회사|스팀휘들]] 저격수 ||<-6><|8><:>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41201220404/hearthstone/images/a/a8/SteamwheedleSniper.png?width=200 || ||<:> '''영문명''' ||<:>Steamwheedle Sniper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9400D3 영웅}}}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 || ||<:>'''[[http://img3.wikia.nocookie.net/__cb20141204043638/hearthstone/images/4/43/SteamwheedleSniper.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2 ||<:> '''공격력''' ||<:>2 ||<:> '''생명력''' ||<:>3 || ||<:> '''효과''' ||<-8>내 영웅 능력의 대상으로 하수인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저격을 할 만큼 참을성을 지닌 고블린은 매우 드뭅니다. 대부분은 그냥 폭탄을 던져버리죠. ''(Goblins seldom have the patience for sniping. Most prefer lobbing explosives.)'' || >소환 시 : 대상, 포착. >공격 시 : 조준, 완료. 성우는 [[정재헌]] 사냥꾼의 영능이 필드에 영향을 줄 수 없었기 때문에 매우 주목받았던 카드. 2코스트 하수인이어서 가볍다는 장점이 있고 죽기쉽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도 코스트 대비 능력치는 합격점인데다 배분이 잘 된 편. 필드 상황과 상대의 덱에 따라 2코스트 하수인으로서 덜렁 내놓을지, 4코스트를 써서 영능저격을 하며 등장할 것인지 조절이 필요하다. 다만 너무 늦게 나왔다. 분명 사냥꾼이 처음 등장할 무렵엔 영능이 필드 싸움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가장 불만이 많았다. 이 때 나왔다면 컨트롤 냥꾼 덱도 발전했을 것이다. 그런데 하도 오랫동안 이 상태가 지속되다보니 냥꾼들은 여기에 맞춰서 차라리 필드는 상대가 정리하게 하고 상대 명치만 빠르게 때리는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해왔다.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것. 그런데 이제와서 이런 게 생긴 들 굳이 필요성이 느껴질리가... 차원문이나 발견으로 다른 직업이 집는 경우에는 그냥 2/3 바닐라. 영웅 능력 위주 컨셉인 대마상시합 카드와의 시너지가 있는편이나, 정규전 도입으로 고대놈이 정규전에서 빠지기에 격려 카드와의 조합은 야생에서만 가능하다. 아무 효과 없는 2/3 바닐라 민물악어도 좋은 픽이 되는 투기장에서는 충분히 밥값하는 카드. ==== [[죽은 척#s-4|죽은척하기]] ==== ||<-12>
<#008000><:> || ||<:> '''한글명''' ||<:>[[죽은 척#s-4|죽은척하기]] ||<-6><|8><:>http://img2.wikia.nocookie.net/__cb20141201220326/hearthstone/images/2/2b/FeignDeath.png?width=200 || ||<:> '''영문명''' ||<:> Feign Death || ||<:> '''카드 세트''' ||<:> 고블린 대 노움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9400D3 영웅}}}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img4.wikia.nocookie.net/__cb20141204025945/hearthstone/images/7/7e/FeignDeath.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2 || ||<:> '''효과''' ||<-8>내 하수인들의 '''죽음의 메아리'''를 모두 발동시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확실한 "죽음"을 연기하기 위해선 적절한 냄새가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서 고수와 하수가 나뉘게 되죠. ''(The hardest part about doing a "Feign Death" convincingly is learning how to make the right smell. It takes a lot of commitment.)'' || 죽음의 메아리 덱이 주류를 이루는 냥꾼덱이라면 채용해볼만한 여지가 있는 카드. 죽메 하수인이 둘 이상만 있어도 주술사의 윤회 이상의 효율을 발휘한다. 리븐데어를 올려놓고 죽은척하기를 사용하면 리븐데어의 효과로 죽음의메아리가 2번 발동한다. [[http://www.youtube.com/watch?v=9Sc-L8vjOdU|갓은척하기]][* 첫번째 죽은척하기로 12데미지 두번째 죽은척하기로 12데미지 두번째 죽은척하기가 화염술사를 발동시켜 노옴을 죽이면서 또 12데미지 총 36데미지의 일발콤보.] 다만 드루이드 전설인 말로른을 필드에 올려놓고 이 카드를 썼을 경우, 말로른이 필드에 남은채로 다른 말로른 카드 하나가 덱으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필드의 말로른이 아예 덱 속으로 들어가 버리므로 유의. ~~왜 드루 전설 사용 주의사항이 냥꾼한테 있냐고 물으신다면... 갓물거미.~~ === {{{#ffa500 전설 등급}}} === ==== [[가즈릴라#s-2|가즈릴라]] ==== 자세한 것은 [[가즈릴라#s-2|가즈릴라]] 문서 참고. [[분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version=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