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하스스톤 프로젝트)] * 상위 문서: [[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 [include(틀: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목차] 사냥꾼의 [[고대 신의 속삭임]] ~ [[한여름 밤의 카라잔]] 카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고대 신의 속삭임 | 고대 신의 속삭임]] == === {{{#Gray 일반 등급}}} === ==== 사냥 시작 ==== ||<-12>
<#008000><:> || ||<:> '''한글명''' ||<:> 사냥 시작 ||<-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7/288/635968546135551353.png?width=200|| ||<:> '''영문명''' ||<:> On the Hunt || ||<:> '''카드 세트''' ||<:> 고대 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 {{{#909090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119/35220.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1 || ||<:> '''효과''' ||<-7>피해를 1 줍니다. 1/1 사냥개를 1마리 소환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덕 헌트|오리를 맞히지 못하면 사냥개가 나타나서 웃습니다]] ''(The mastiff giggles if you don't hit any ducks.)'' || ||<-12>
<#eaeaea><:> || ||<:> '''한글명''' ||<:> 사냥개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121/35286.png?width=200 || ||<:> '''영문명''' ||<:> [[마스티프|Mastiff]] || ||<:> '''카드 세트''' ||<:> 고대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사냥꾼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122/35286.gif|황금 카드]]''' ||<:> 황금 사냥 시작의 효과 || ||<:> '''비용''' ||<:> 1 ||<:> '''공격력''' ||<:> 1 ||<:> '''생명력''' ||<:> 1 || ||<:> '''효과''' ||<-7>- || 1/1 야수 토큰을 소환해주는 1데미지 주문. 공용 카드의 엘프 궁수와 효과가 같지만 이쪽은 주문이라 주문 공격력이나 실탄 장전과 연계 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소환되는 토큰이 야수라서 야수 시너지를 낼 수 있으며, 1턴에 할 게 없었던 미드냥꾼이 채용할 수 있다.[* 물론 1턴에 칼같이 쓰기에는 딱히 장점은 없다. 최소 비용으로 야수 시너지를 내고자 하는 것이 목표기 때문. 그래도 실탄 장전이나 징표와의 연계는 제법 쓸만하다.] 또한 주문 카드기 때문에 다른 1마나 하수인과 달리 왕의 엘레크의 효과로 뽑히지 않는다. 기본적으로는 천보나 하수인 마무리 등 1데미지가 필요한 상황을 해결해줄 수 있고, 추가로 기대되는 활용법으론 최저 비용으로 살상 명령과 시너지 내기, 징표와 연계해 2마나로 하수인 제압, 사냥꾼 조련사와 연계해 5마나에 3/3 도발과 4/3 하수인 전개하기 등이 있다. 데미지가 강하지는 않으니 [[가즈릴라]]와의 연계도 기대해봄직 하다. 비용이 낮고 주문이란 점에서 말리,요그 냥꾼덱에서 기용된다. ~~공개 됐을 때는 거울상이라도 빼는 엘프 궁수 쓰지 얘는 왜씀? 이랬다.~~ 8월 10일 패치를 통해 맞춤법 오류가 있었던 플레이버 텍스트가 교정되었다. (맞추지 못하면 → 맞히지 못하면) ==== 이글거리는 박쥐 ==== ||<-12>
<#008000><:> || ||<:> '''한글명''' ||<:> 이글거리는 박쥐 ||<-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7/290/635968546412322677.png?width=200|| ||<:> '''영문명''' ||<:> Fiery Bat || ||<:> '''카드 세트''' ||<:> 고대 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909090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284/35214.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1 ||<:> '''공격력''' ||<:> 2 ||<:> '''생명력''' ||<:> 1 || ||<:> '''효과''' ||<-7>'''죽음의 메아리''':무작위 적 하나에게 피해를 1 줍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그는 언제나 우리 마음 속의 1위일 것입니다. ''(He'll always be our first.)'' || 2014년 하스스톤 월드챔피언쉽에서 우승했던 Firebat 선수를 기리기 위해 만든 하수인이다. 원래 한글판 플레이버 텍스트는 [[부두술사]] 드립이었는데, [[http://kr.battle.net/hearthstone/ko/blog/20175168/%ED%95%98%EC%8A%A4%EC%8A%A4%ED%86%A4-%ED%98%84%EC%A7%80%ED%99%94-%EC%84%A4%EB%AC%B8-%EA%B4%80%EB%A0%A8-%ED%98%84%EC%A7%80%ED%99%94-%ED%8C%80%EC%9D%98-%EB%8B%B5%EB%B3%80-2016-07-08|이를 반영해]] 16년 8월 10일 패치로 영문 텍스트를 직역한 것으로 바뀌었다. 탐험가 연맹에서 등장했던 왕두꺼비의 1마나 버전. 이 카드의 가장 큰 장점은 죽음의 메아리로 무작위 적에게 피해를 1 주는 것이 상대에게 초반에는 생각 이상의 압박감을 준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2/1 하수인은 땅굴 트로그, 마나 지룡 같은 1/3 하수인에게 카운터를 너무 쉽게 당하는데 반해 이 카드는 죽메 때문에 그런 하수인을 1/2 확률로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카드가 1턴에 나오면 상대는 2체력은 물론이고 3체력 하수인까지 1마나 하수인에게 끊길 가능성을 염두해야만 한다. 운을 떠나서 상대가 압박을 받는 셈. 정규전을 이탈한 그물거미나 너프를 먹고 입지가 휘청해진 오염된 노움의 빈자리를 채울 만한 카드로 낙타냥꾼이나 돌진냥꾼에서 기용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무덤 거미나 산양사육사에서 똥이 나올 확률이 늘어났다... 2016년 정규전에서 대다수 죽음의 메아리 하수인이 야생으로 가고 그나마 남아 있던 오염된 노움도 너프가 되어 거의 모든 냥꾼의 1마나 카드로 활용되고 있다. ==== 청소부구더기 ==== ||<-12>
<#008000><:> || ||<:> '''한글명''' ||<:> 청소부구더기 ||<-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7/289/635968546290135782.png?width=200|| ||<:> '''영문명''' ||<:> Carrion Grub || ||<:> '''카드 세트''' ||<:> 고대 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909090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514/35218.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3 ||<:> '''공격력''' ||<:> 2 ||<:> '''생명력''' ||<:> 5 || ||<:> '''효과''' ||<-7>- || ||<:> '''플레이버 텍스트''' ||<-8>의외로 깔끔하고 완벽한 구석이 있어서 청소가 끝나고 나면 자신의 흔적마저 말끔히 없앤 뒤에 사라진답니다. ''(Carrion, my wayward grub.)'' || 공체합 7에 야수 종족값까지 따지면 [[고대놈]]의 거미전차와 비슷하다. ~~참고로 이름에 거미가 들어가긴 한데 저 쪽은 기계다.~~ 차이점이라면 공격력이 1 낮은 대신 생명력이 1 높다는 것 정도. 사냥꾼의 3코진이 워낙 빡빡하다보니 자주 보이진 않지만 필드 싸움을 하는 냥꾼덱은 간간히 넣는 편. 체력이 5로 높다 보니 쉽게 제거가 되지 않고 3코스트 라는 점에서 4코스트에 있는 사냥개조련사와 시너지가 굉장히 좋다. 미드냥꾼은 조련사와의 연계를 생각해서 1장 정도는 넣어주는 추세. [[드루이드(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2015년#s-1.1.1|화염의 드루이드]]의 하위호환이다. 똑같은 3코스트 2/5에 야수 종족값이지만 여기에 선택으로 5/2 하수인으로도 변신할 수 있기 때문이고 '''선택'''효과 때문에 전설 카드인 [[판드랄 스태그헬름]]과 연계도 된다. 앞서는 점이 있다면 손패로 내지 않았을 때 화염의 드루이드는 2/2로 나온다는 점과 1년 더 늦게 야생으로 간다는 것 정도? 여담이지만 생긴 모습 때문에 [[개불]], [[오나홀]]~~렉사르의 은밀한 장난감~~ 등으로 불리고 있다... === {{{#0063ff 희귀 등급}}} === ==== 감염 ==== ||<-12>
<#008000><:> || ||<:> '''한글명''' ||<:> 감염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4/492/635946489223524610.png?width=200 || ||<:> '''영문명''' ||<:> Infest || ||<:> '''카드 세트''' ||<:> 고대 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98/33146.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3 || ||<:> '''효과''' ||<-8>내 하수인들에게 "'''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야수 카드 1장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능력을 부여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가끔은 [[왕 크루쉬]]처럼 자신의 몸집보다 큰 야수가 나올 때도 있습니다. ''(The best part is the look on their face when you jump out of the cake! Err… corpse.)'' || --거미떼 의문의 1패-- 쉽게 말하자면 1코스트 하수인인 [[그물거미]]의 죽음의 메아리를 내 모든 하수인에게 걸어주는 것이다. 드로우가 부족한 사냥꾼에게 드로우 대용으로는 쓸만 할 것으로 보인다. 개풀 감염이라든지... ~~일명 광견병 콤보~~ 공개된 시점에서는 평가가 매우 좋았다. 패수급을 해준다는거자체가 대단한 장점이고, 다름아닌 드로우수단이 부족한 냥꾼이어서 그런지 평가가 더 좋았다. 다만 이 카드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필드 위에 하수인이 많이 남아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기 때문에 뱀 덫 또는 개풀과의 연계가 강요된다. 어찌됐든간에 이 카드 자체는 나쁘지 않기에 이 카드가 어그로성이 강조되던 냥꾼의 메타를 바꿀것이냐에 주목이 쏠렸었다. 정규전 메타에서 나오면 좋은 야수는 거대한 모래 벌레, 사로잡힌 요르문가르, 괴수 등이 있다. 특히 느조스 죽메냥꾼이 떠오르기 시작한 현 메타에서 괴수가 손에 잡혀 준다면 이만한 횡재는 없다. 참고로 '6코스트 그물 거미 3마리를 푸는 거미떼'와 '3코스트 개풀 + 3코스트 감염' 을 비교해봐도 알겠지만 (사냥개를 3마리이상 푼다면) 거미떼가 얼마나 쓰레기 카드인지 알 수 있다. 심지어 개풀 감염은 돌진을 달고있는 사냥개 덕분에 바로 터트릴 수 있는 반면 거미떼는 그게 아닌지라... ~~안습해지는 거미떼. 야생 갈 준비나 해라.~~ ==== 배신당한 사육사 ==== ||<-12>
<#008000><:> || ||<:> '''한글명''' ||<:> 배신당한 사육사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6/480/635962553252961395.png?width=200 || ||<:> '''영문명''' ||<:> Forlorn Stalker || ||<:> '''카드 세트''' ||<:>고대신의 속삭임||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438/33181.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3 ||<:> '''공격력''' ||<:>4 ||<:> '''생명력''' ||<:>2 || ||<:> '''효과''' ||<-8>'''전투의 함성''': 내 손의 '''죽음의 메아리'''를 가진 모든 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안 그래도 선장의 앵무새가 나올 때마다 배신당한 느낌이었는데 도대체 얼마나 더 충격적인 배신을 당한 걸까요? ''(He's going to leave the dying up to you, if that's cool.)'' || >소환 시: 야수들은 날 배신했다! >공격 시: 번뜩이는 눈이여! 성우는 [[장광]] 사냥꾼이 주로 쓰던 죽메 하수인은 사바나 사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야생으로 갔기에 고신속의 죽메 하수인과 연계를 노려야 할 것이다. ~~괜히 사바나 사자만 나이사 맞게 생겼다.~~ 거기다 직업 특성상 패가 잘 말리는 냥꾼인데 손에있는 카드로 한정되어서 영 애매하다. 이 카드가 냥꾼이 아니라 다른 직업에 들어갔다면 더 좋았을텐데 같은 평가가 나오고 있다. ~~오늘도 냥꾼은 뉸물을 흘린ㄷr..~~ 정규전에서는 냥꾼이 쓸 만한 죽메 하수인이 애매해서 그다지 쓰이진 않는다. 성능 자체는 2장만 강화해도 충분히 밥값은 하지만 패가 잘 따라줘야 되기 때문. 사바나 사자나 아래의 감염된 늑대 등 냥꾼이 쓰는 강력한 죽메 하수인은 많긴 한데, 그렇다고 +1/+1 버프가 그렇게 절실하게 필요하지도 않고 너무 플레이가 경직되는 것이 단점이다. 죽메가 판을 치는 야생전에서도 완전히 죽메를 컨셉으로 하는 냥꾼이 아니라면 채용률이 낮다. 체력이 낮아 필드에 그렇게 도움이 되지 않는 데다 3턴에 내서 손패 하수인에 버프를 줄 바에 차라리 야생의 벗이나 벌목기 등의 하수인으로 필드를 잡는 것이 훨씬 낫기 때문. ==== 감염된 늑대 ==== ||<-12>
<#008000><:> || ||<:> '''한글명''' ||<:> 감염된 늑대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7/287/635968545996533626.png?width=200 || ||<:> '''영문명''' ||<:> Infested Wolf || ||<:> '''카드 세트''' ||<:>고대신의 속삭임||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332/35215.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4 ||<:> '''공격력''' ||<:>3 ||<:> '''생명력''' ||<:>3 || ||<:> '''효과''' ||<-8>'''죽음의 메아리''': 1/1 거미 2마리를 소환합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수의사에게 데리고 간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 같군요. ''(A little flea powder will fix that right up.[* 약간의 벼룩 퇴치약이면 바로 나을 겁니다. --한국 텍스트하고 반대잖아--])'' || ||<-12>
<#eaeaea><:> || ||<:> '''한글명''' ||<:> 거미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334/35322.png?width=200 || ||<:> '''영문명''' ||<:> Spider || ||<:> '''카드 세트''' ||<:> 고대신의 속삭임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 사냥꾼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335/35322.gif|황금 카드]]''' ||<:> 황금 감염된 늑대의 죽음의 메아리 || ||<:> '''비용''' ||<:> 1 ||<:> '''공격력''' ||<:> 1 ||<:> '''생명력''' ||<:> 1 || ||<:> '''효과''' ||<-7>- || ~~거미들린 늑대~~ ~~반바나~~ ~~2바나 2자~~ 유령들린 거미가 없어진 후 추가된 죽메 하수인. 4코라서 거미보다 무거울 수도 있지만 1공이었던 유령들린 거미보다는 하수인 교환에 유리하며, 유령들린 거미의 토큰 거미와는 달리 토큰 하수인인 거미에도 야수 종족값이 붙어 있어 야수 시너지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야생으로 가는 벌목기를 대신할 4코스트 카드로 예상되며 이번에 추가된 후후란이 5코에 바로 나올경우 전함 대상으로 지정하기도 나쁘지 않다. 사바나 사자와의 연계가 더 좋긴 하지만 이 연계는 마나 소비가 좀 크고 불편하다. 고효율 죽메 하수인이 대다수 야생으로 간 이시점에서 후후란, 사바나 사자와 함께 죽메 냥꾼의 핵심 카드로 활용된다. 단, 야생에서는 벌목기가 더 유용한 편. === {{{#9400d3 영웅 등급}}} === ==== 거대한 모래 벌레 ==== ||<-12>
<#008000><:> || ||<:> '''한글명''' ||<:>거대한 모래 벌레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3/3/635934505864767224.png?width=200 || ||<:> '''영문명''' ||<:> Giant Sandworm || ||<:> '''카드 세트''' ||<:>고대신의 속삭임||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9400D3 영웅}}}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89/459/31118.gif|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8 ||<:> '''공격력''' ||<:>8 ||<:> '''생명력''' ||<:>8 || ||<:> '''효과''' ||<-8>이 하수인은 다른 하수인을 처치할 때마다 다시 공격할 수 있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아제로스의 모든 뷔페에서 금지된 하수인 입니다. ''(Banned from every all-you-can-eat buffet on Azeroth.)'' || 다른 하수인을 공격해 처치하면 또 공격할 수 있는 것이 메리트. 일단 이 하수인 카드를 꺼낸 후 죽지만 않으면 7공 이하의 강한 하수인을 처리하고 바로 상대방의 명치도 칠 수 있다. 입하스이지만 8코스트에 꺼내고 다음 턴에 마구간지기를 사용해 상대 필드를 다 정리한 후 상대 명치에 8 데미지를 주거나 이와 비슷하게 야수의 격노와 함께 사용해서 상대 필드 하수인을 다 처리하고 상대 명치에 10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필드에 툰드라 코뿔소가 있다면 [[왕 크루쉬]]의 상위호환식으로 운용이 가능. 블리자드가 지속해서 추구하는 느린 템포의 냥꾼에게 적합한 카드로 보이지만 유저들은 산양 사육사 간접 상향 카드로 보는 경우가 많다. 일단 사육사에게서 나왔다 하면 바로 짤리지 않는 한 어지간해서는 캐리한다. 다만 직접 넣기에는 돌냥처럼 템포가 빠른 일반적인 냥꾼에게는 8 코스트가 너무 무겁고 제대로 공격하기도 전에 어그로가 심하게 끌리는 것이 단점이다. 미드냥이라도 같은 비용에 즉시 효과를 볼 수 있는 야생의 부름을 덱에 넣는 게 훨씬 이득이다. 대신 감염 효과로 손에 들어오면 기분이 좋은 편. 스탯과 효과 덕분에 투기장 하수인으로서는 합격점이다. 유희왕을 아는 이들에겐 [[버서커 소울]]이 떠오를 만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혹은 잘 풀리면 혼자서 3대1, 4대1 교환까지 하는 모습이 흡사 오버워치의 [[최고의 플레이]]를 연상케하기에 POTG 메이커로도 불린다. ~~8명 동.시 처치~~ ==== 야생의 부름 ==== [[야생의 벗#s-2|야생의 벗]] 문서 참조. === {{{#ffa500 전설 등급}}} === ==== 공주 후후란 ==== [[공주 후후란]] 문서 참고. [[분류: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사냥꾼(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version=540)]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 {{{#Gray 일반 등급}}} === ==== 인자한 할머니 ==== ||<-12>
<#008000><:> || ||<:> '''한글명''' ||<:> 인자한 할머니 ||<-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99/158/636053556902251035.png?width=200|| ||<:> '''영문명''' ||<:> Kindly Grandmother || ||<:> '''카드 세트'''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909090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26/42020.gif|황금 카드]] ||<:> 제작 || ||<:> '''비용''' ||<:> 2 ||<:> '''공격력''' ||<:> 1 ||<:> '''생명력''' ||<:> 1 || ||<:> '''효과''' ||<-7>'''죽음의 메아리''': 3/2 커다란 나쁜 늑대를 1마리 소환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우와... 할머니는 침을 정말 많이 흘리시는군요."[* 실제로 황금 카드를 보면 침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볼 수 있다.] ''("Goodness! What… abundant drool you have.")'' || >소환 시: 난 이빨이 아주 커다랗지! >공격 시: 오호호! 이런. ||<-12>
<#eaeaea><:> || ||<:> '''한글명''' ||<:> 커다란 나쁜 늑대 ||<-6><|8><:> https://hydra-media.cursecdn.com/hearthstone.gamepedia.com/thumb/d/d8/Big_Bad_Wolf%2842026%29.png/368px-Big_Bad_Wolf%2842026%29.png?width=200 || ||<:> '''영문명''' ||<:> Big Bad Wolf || ||<:> '''카드 세트'''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 사냥꾼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29/42196.gif|황금 카드]]''' ||<:> 황금 인자한 할머니의 죽음의 메아리 || ||<:> '''비용''' ||<:> 2 ||<:> '''공격력''' ||<:> 3 ||<:> '''생명력''' ||<:> 2 || ||<:> '''효과''' ||<-7>- || >소환 시: 잡아먹기 좋으라고 그런 거지! >공격 시: 도망쳐라! 성우는 [[안용욱]] 동화 [[빨간 모자]]에 나오는 늑대를 모티프로 했으며 WOW에선 [[오페라 이벤트(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오페라 이벤트]]에서 나온다. 발매 전 카드의 성능에 큰 논쟁이 있었던 카드 중 하나다. 단순한 덧셈만으로 공체합을 더했을 때 허수아비 골렘이 3코 4/4임과 비교해서 직업보정을 받은 2코 4/3인데다 본체와 토큰 모두 야수이므로 거품 판정이 나버린 황혼의 소환사보다 좋은 하수인이지만, 스탯이 1/1로 필드에 개입하기 힘들며 그런 리스크에 비해 메리트가 크지 않다는 의견과 낙스라마스의 유령 들린 거미의 선례를 들어 미드냥에 사기 하수인이라고 평하는 의견이 갈렸던 카드. 그러나 정식 발매 후엔 매우 좋은 카드란 평가가 지배적인데, 1/1은 레오크, 속사, 장궁이나 다른 하수인과 함께 교환을 크게 도우며, 사냥개조련사가 발리면 3/3 도발, 잡으면 3/2가 튀어나오기 때문. ==== 망토 두른 여사냥꾼 ==== ||<-12>
<#008000><:> || ||<:> '''한글명''' ||<:>망토 두른 여사냥꾼||<-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99/732/636060319097636005.png?width=200|| ||<:> '''영문명''' ||<:> Cloaked Huntress || ||<:> '''카드 세트''' ||<:> 한 여름 밤의 카라잔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909090 일반}}}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 '''종족''' ||<:> -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32/42050.gif|황금 카드]]''' ||<:> 제작 || ||<:> '''비용''' ||<:> 3 ||<:> '''공격력''' ||<:> 3 ||<:> '''생명력''' ||<:> 4 || ||<:> '''효과''' ||<-7>내 '''비밀'''의 비용이 (0)이 됩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8>[[파마 기사|이제 머리를]] [[수수께끼의 도전자|직접 말아보세요!]] ''(She's practically GIVING your secrets away!)'' || >소환 시: 천둥아, 이리 온. >공격 시: 너무 쉬운 사냥감이군. --파마기사? 이제는 파마냥꾼이다!!-- ~~고데기누나~~ [[마법사(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카드일람#s-3.3|키린 토 마법사]]의 냥꾼 버전으로 공체가 반대이다. 또한 전투의 함성도 아닌 '''지속 효과'''로 비밀을 0코스트로 만들어주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발매 이전엔 미치광이 과학자의 야생행으로 인해 덫을 0~1장 정도로 거의 쓰지 않는 추세인데다가 [[수수께끼의 도전자]] 문서에도 서술되어있듯이 사냥꾼은 성기사와 달리 비밀간 조건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시너지를 기대하기 힘들어 실용적으로 정립된 비밀 사냥꾼이 탄생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또한 사냥꾼이란 직업 자체가 드로우가 열악한 직업 중 하나이기에 이 카드로 더욱 패 마름이 심화될 가능성도 염려되었다. 긍정적인 방향으로는 실탄 장전과의 연계, 그리고 일반 미드냥에 스탯 좋은 하수인으로 채용할 가능성이 주목받았다. 발매 이후 사냥꾼의 비밀들은 심리전에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통해 재발굴되어 비밀 사냥꾼이 부상했다. 미드냥보다는 조금 떨어지는 성능이나, 점점 연구가 지속된 끝에 전시 관리인을 사용하는 덫냥이 정립되었다. 그러나 정립된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 [[야생의 부름]]이 너프되는 바람에 미래가 불확실한 덱이 되었다. 그러나 일단 필드에 나와 덫을 하나만 깔아도 코스트상 큰 이득을 보게 되고 필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단 덫을 깔아놓으면 본연의 역할을 다 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준 도발카드급의 어그로를 지니고 있어 '16년 10월 기준 떠오르고 있는 비밀냥꾼 덱에서 매우 효율적인 카드로 활약하고 있다. 소환 대사에 나오는 천둥이는 [[카라잔]] 1네임드인 사냥꾼 어튜멘이 타고 다니는 말로, [[희귀 탈것]]이다. === {{{#0063ff 희귀 등급}}} === ==== 고양이 마술 ==== ||<-12>
<#008000><:> || ||<:> '''한글명''' ||<:> 고양이 마술 ||<-6><|8><:>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299/744/636060324414220989.png?width=200 || ||<:> '''영문명''' ||<:> Cat Trick || ||<:> '''카드 세트'''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 '''카드 종류''' ||<:> 주문 || ||<:> '''등급''' ||<:>{{{#0063ff 희귀}}} || ||<:> '''직업 제한''' ||<:> {{{#black 사냥꾼 }}}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20/42051.gif|황금 카드]]''' ||<:> 제작 || ||<:> '''비용''' ||<:> 2 || ||<:> '''효과''' ||<-8>'''비밀''': 상대편이 주문을 시전한 후에, '''은신''' 능력이 있는 4/2 표범을 1마리 소환합니다.|| ||<:> '''플레이버 텍스트''' ||<-8>[[케로로장재미슴|대신귀[br]여운고[br]양이를[br]드리겠[br]습니다]] ''("I know some new tricks, a lot of good tricks. I will show them to you. Medivh will not mind at all if I do.")'' || ||<-12>
<#eaeaea><:> || ||<:> '''한글명''' ||<:> [[닥터 수스|모자 쓴 고양이]] ||<-6><|8><:>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22/42195.png?width=200 || ||<:> '''영문명''' ||<:> Cat in a Hat || ||<:> '''카드 세트'''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 '''카드 종류''' ||<:> 하수인(토큰) || ||<:> '''등급''' ||<:> 기본 || ||<:> '''직업 제한''' ||<:> 사냥꾼 || ||<:> '''종족''' ||<:> 야수 || ||<:>'''[[http://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00/23/42195.gif|황금 카드]]''' ||<:> 황금 고양이 마술의 효과 || ||<:> '''비용''' ||<:> 3 ||<:> '''공격력''' ||<:> 4 ||<:> '''생명력''' ||<:> 2 || ||<:> '''효과''' ||<-7>'''은신''' || 일명 냥덫. 상대방이 주문을 시전할 경우 4/2에 은신을 가진 표범을 소환한다.--근데 나오는 토큰 이름은 '''고양이'''다-- 같은 코스트의 곰덫과 비교해보면 둘 다 2코스트로 조건을 맞추면 3코스트의 하수인(무쇠가죽 불곰, 밀림 표범과 같은 스탯의 모자쓴 고양이)을 소환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소환 조건과 소환되는 하수인의 용도가 판이해 차별점이 생긴다. 밀림 표범의 경우 높은 타점과 은신 능력 덕분에 상대의 고코스트 하수인을 끊기 용이하다. 주문 시전 이후에 발동되므로 평성화 같은 연계 주문으로 인한 광역기가 아닌 이상 광역기에 쉽사리 휩쓸리지 않고 안전하게 숨어있을 수 있다. 공격반응형 함정에 치우쳐져 있던 냥꾼의 비밀에 한 가지 더 확인할 요소가 늘었다는 점은 일단 심리전에서도 좋은 요소. 덫냥에 두 장씩 채용되며 필드싸움을 강화해주고 있다. 2코스트로 3코스트의 하수인을 소환하기는 하지만, 주문을 볼 확률이 등급전보다 매우 낮은 투기장에서는 곰 덫에 비해 발동이 될 가능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별로 좋지 않다. 플레이버 텍스트를 본 [[케로로장재미슴|김케장]]이 [[콜라보레이션]]하자고하며 미칠듯이 좋아했다. [[http://kimkero.tistory.com/1183|#]] [[궁서체]]로 써서 진지함이 돋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