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사당역)] [목차] == 개요 == [[사당역]]에서 4호선 [[막차]]를 놓쳤을 때 대처법을 다룬 문서이다. 사당역은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수원시]], [[안산시]], [[시흥시]], [[화성시]] 등 경기 남서부 지역으로 갈 수 있는 교통의 요지이며, 같은 2호선의 [[강변역]], [[잠실역]], [[강남역]], [[당산역]], 그리고 같은 4호선의 [[서울역]], [[노원역]] 못지않게 서울 외곽으로 나가는 버스 노선이 많고, 그에 따라 유동 인구가 많다. 2호선은 평일 기준으로 0시 13분에 뚝섬~을지로3가 구간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막차가 끊어지지만, 순환선이고 모든 역이 서울 시내에 있어서 심야 버스로도 충분히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고, 행여 심야버스가 가지 않는 곳이라도 가까운 정류소에 내린 뒤 도보로 갈 수 있지만, 4호선은 일단 [[남태령역]]을 벗어나면 서울 시계 외 지역이기 때문에 막차를 놓친다면 대처하기 어렵다. 게다가 반대 방향인 진접행 열차의 경우도 그 거리가 꽤 길기 때문에 막차 또한 자연히 일찍 끊어지는 편이다. 특히 진접행 열차는 주말에는 22:51에 끊어지기 때문에 진접행 막차가 떠난 후 [[별내별가람역]]~[[진접역]] 사이를 이용하기 어렵다. 막차가 끊긴 다음에 역 밖으로 나오면 아무나 붙잡고 "학생 어디로 가요?" 하는 [[택시 기사]]들이 사당역 주변에 항시 대기 중이다. [[수원 버스 7770|7770번]]이 거의 24시간을 운행하기 때문에 적어도 수원 거주자 입장에서는 안심이 되지만 나머지 지역의 경우 "수원, 평택, 오산, 안양, 시흥, 안산, 화성..."이라고 외치면서 호객행위를 한다. 좌석 시트가 편안하다거나, 범죄 피해에 취약하다고 생각해 집 앞까지 이용하는 것을 원하거나, 심야버스가 다니지 않거나 미정차하는 정류장이라거나, 어떻게 환승해야 목적지까지 가는지 몰라서 편하게 가고 싶다면 돈이 넉넉한 경우 곧바로 택시를 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심야할증으로 택시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본 문서에서는 막차시간 중 그나마 아직 끊기지 않은 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최대한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 적혀 있다. == 진접행 막차를 놓쳤을 경우 == 진접행 막차는 평일 23:49, 주말 22:51에 각각 출발한다. 평일과 주말의 시차가 거의 1시간 차이 나기 때문에 다른 교통 수단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이 다르다. === 평일 === 진접행 막차를 놓치면 진접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하는 지역 중 [[강남역]], [[잠실역]]과 [[청량리역]]을 이용할 수 있다. [[청량리역]]을 이용하는 경우 다음에 들어오는 당고개행 열차(23:58 출발)를 타고 그대로 따라 올라간다. 이 때는 진행 방향 앞쪽으로 타되, 가능하면 앞에서 2번째 내지 3번째 칸에 타고 있어야 한다. 그 다음 [[이촌역]]에서 내린다. 이 때가 0:06인데, 문이 열리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환승 계단 바로 앞이기 때문에 경의·중앙선 타는 곳으로 빨리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4분 뒤인 0:10 경에 [[청량리역|청량리행]] 막차가 들어오는데, 이 열차를 타고 청량리역까지 그대로 간다. [[청량리역]]에 도착하면 0:30 경인데, 이곳에서 걸어서 [[회기역]] 방향으로 가면 미주상가앞 버스 정류소가 있다. 그 곳에서 [[남양주 버스 202|남양주 버스 202번]]을 탄다. 청량리역 도착 시각에는 [[태릉교통]]의 [[서울 버스 202|서울 버스 202번]]이 이미 끊어진 뒤이므로 잘못 탈 일은 없다. 이 버스는 막차가 01:05에 출발한다. 다만 청량리환승센터에 정차하지 않는다. 물론 망우리고개를 넘어서 돌고 돌아 가지만, 그래도 [[오남역]], [[진접역]] 바로 앞으로 지나간다. 다만 [[별내별가람역]]으로는 가지 않기 때문에 별내별가람역을 가고자 한다면 [[청량리환승센터]]에서 [[남양주 버스 707|남양주 버스 707번]]을 타고 가서 [[경춘선]] [[별내역]]에서 내리는 것이 별내별가람역 쪽으로 조금이나마 가까이 갈 수 있다. [[당고개역]]에서 [[별내별가람역]]까지 가는 [[남양주 버스 10|10번]] 버스의 경우 당고개역에서 막차가 22:30에 출발하기 때문에 당고개행을 타고 가도 갈아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당고개행을 타고 당고개역까지 갔다면 심야택시밖에 대책이 없다. 하지만 심야 시간에 당고개역 주변에서는 택시가 쉽사리 잡히지 않는다. 번외로 707번은 [[청량리환승센터]]에서 01:00에 막차가 출발하고, [[별내별가람역]]으로 가려면 일단 이 버스를 타고 [[경춘선]] [[별내역]]까지 간 다음 다른 교통 수단으로 가는 것이 그나마 나은 방법이다. 그리고 707번 버스를 타면 오남역 및 진접역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그 일대 주거 지역을 갈 수 있기 때문에 202번과 마찬가지로 [[오남읍]], [[진접읍]] 주민들에게 애용된다. [[강남역]]을 이용하는 경우 진접행 막차를 놓치면 자정에 출발하는 2호선 외선순환 열차로 갈아타서 [[강남역]]에 내린다. 그러면 0:10이므로 0:45에 출발하는 [[남양주 버스 2000]] 막차까지 약 30분의 여유가 있다. 이 방법으로는 외선순환 막차(사당 0:13)까지 이용 가능하다. 그러면 [[오남역]]과 [[진접역]] 일대로 갈 수 있다. 참고로 이 노선은 [[강남역]] ~ [[잠실역]] 간 모든 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 주말 === 주말에는 그나마 일찍 끊어지기라도 해서 평일에 비하면 쉬운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별내별가람역]]으로 갈 때에는 2호선 승강장(방배역 방면)으로 가서 23:00에 출발하는 성수행 열차를 타고 [[잠실역]]까지 간다. 잠실역에 도착하면 23:21인데, [[잠실광역환승센터]]로 들어가면 8번 GATE에서 대기하는 [[남양주 버스 1001|1001번]]을 탄다. 이 버스는 23:50에 막차가 출발하기 때문에 잠실역에 도착하면 29분간의 여유가 있다. 1001번 버스는 별내별가람역 앞까지 들어간다. [[오남역]]과 [[진접역]]으로 갈 때에는 위에 설명한 대로 성수행 열차를 타되 [[강남역]] 또는 [[강변역]]에서 내린다. 강변역에는 23:26에 도착하는데, 4번 출구로 나와서 [[구의역]] 방향으로 걸어가면 광역버스 정류소가 있다. 이 곳에서 [[남양주 버스 100|100번]]을 탄다. 이 버스는 23:50에 막차가 출발하고, 일단 타면 오남역과 진접역 바로 앞에 선다. [[강남역]]에서 내린다면 23:10이므로 주말 막차가 23:45인 2000번 버스을 이용할 수 있다. 강변역보다는 약간이나마 늦은 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다. 강변역은 23:10 외선순환 막차까지, 강남역은 23:29 성수행 막차까지 이용 가능하다. == 당고개, 한성대입구행 막차를 놓쳤을 경우 == 당고개행 열차는 평일 0:12, 주말 23:07에 막차가 출발한다. 이쪽도 거의 1시간의 시차를 두고 있기 때문에 방법이 다른데, 다음과 같다. === 평일 === 당고개행 막차가 떠났을 때에는 다음에 오는 한성대입구행 막차를 타고 [[한성대입구역]]까지 올라간다. 그러면 한성대입구역부터 [[쌍문역]]까지는 [[서울 버스 N16|N16번]] 버스로 갈아탄다. 참고로 N16번은 [[서울역]]부터 쌍문역까지는 완전히 동일한 경로를 밟고 간다. [[창동역]]으로 갈 때에는 도봉구민회관 정류소에 내려서 도보로 이동하고, [[노원역]]으로 갈 때에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혹은 [[동대문역]]에 내려서 [[서울 버스 N13|N13번]]으로 갈아탄다. [[상계역]], [[당고개역]] 또한 N13번을 탈 수 있지만, 이 두 역으로 가려면 N13번 종점까지 간 다음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갈 수 있다. 그 외에도 [[월곡역]]이나 장위동, 하계동 방향으로 가려면 동대문역에서 [[서울 버스 N51|N51번]]으로 갈아타면 무난히 갈 수 있고, 우이동 방향으로 가려면 아예 4호선을 타지 않고 3번 출구로 나와서 [[서울 버스 N15|N15번]]을 탄다. 다만 이 버스는 [[신용산역]]~[[서울역]], [[성신여대입구역]]~[[쌍문역]] 구간만이 4호선과 동일하고, 사당역을 출발하면 [[총신대입구역]]으로 직진하는 게 아니라 [[낙성대역]] 방면으로 좌회전한다. 한성대입구행 열차마저 놓쳤다면 [[총신대입구역]]~[[이촌역]] 사이는 다른 교통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 구간에는 어느 심야 버스도 들어가지 않는다. 이때는 총신대입구역이라도 가는 방법은 [[서울 버스 540|540번]]뿐이다. 사당역에서는 3번 출구 정류소에서 540번 막차가 0:59에 출발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여유가 있다. 또한 이촌역의 경우는 앞서 언급한 N15번을 같은 장소에서 타고 가서 신용산역으로 가서 내린다. [[서울역]] 이후 구간은 N15번으로 [[서울역환승센터]]까지 간 다음, 그 곳에서 N16번으로 갈아타면 갈 수 있고, 노원역 이후는 당고개행 막차를 놓쳤을 때와 같다. === 주말 === 주말은 23:15에 노원행 막차가 있어서 그나마 낫다. 이 열차를 타고 0:03 경에 노원역에 종착하면 노원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서울 버스 1138|1138번]]을 탄다. 이 버스는 상계역, 당고개역을 모두 들어간다. 노원행 막차를 놓치면 다음 열차는 한성대입구행 열차이다. 이때는 한성대입구역까지 가서 [[서울 버스 106|106번]]을 탄다. 그리고 한성대입구행 열차마저 놓쳤다면 사당역 3번 출구로 나와서 [[서울 버스 502|502번]]을 탄다. 이 버스는 적어도 [[회현역]]까지는 4호선과 동일하게 들어간다. 회현역 이후 구간을 가려면 502번을 타고 가다가 [[서울역환승센터]]에서 내려서 N16번으로 갈아탄다. == 오이도행 막차를 놓쳤을 경우 == 오이도행 막차는 평일은 23:28, 주말에는 23:02에 출발한다. 따라서 이 열차를 놓쳤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신길온천역]] 이후 구간을 갈 때는 일단 안산행 막차를 타고 가서 [[안산역]]까지 간다. 안산역에 도착하면 일단 버스 타는 곳에서 기다렸다가 [[안산 버스 700|700번]]으로 갈아탄다. 참고로 이 버스를 타려면 시외버스 타는 곳에서 타야 한다. 그 다음 샛뽈 정류소에서 내리면 신길온천역 주변 지역에 진입할 수 있고, 신길온천역과도 가깝다. [[정왕역]], [[오이도역]]으로 갈 때는 사당역 14번 출구로 나와서 [[시흥 버스 3400|3400번]]을 타고 갈 수도 있다. [[시흥 버스 6502|6502번]]도 시흥 방면으로 가지만 사당역 14번 출구에서 평일 22:50, 주말.공휴일 23:30에 출발하기 때문에 3400번보다는 막차가 일찍 끊기고, 평일에는 오이도행 막차보다도 먼저 끊긴다. 주말.공휴일 한정으로 오이도행 막차를 놓친 경우라면 이용할 수는 있다. 3400번은 [[강남역]]을 00:30에 출발하여 [[역삼역]]으로 돌아 들어온다. 일단 이 버스를 타고 [[정왕IC]]를 통해 빠져나오면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 이후부터 해당역 주변 지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단, 정왕역이나 오이도역 바로 앞으로 지나가는 것이 아니고, 그 주변을 지난다. [[시흥 버스 3400|3400번]]과 [[시흥 버스 6502|6502번]](주말.공휴일 한정), [[시흥 버스 5200|5200번]] 공통으로 정왕역과 가장 가까운 곳은 이마트 시화점 앞 정류장이고, 정왕역까지 도보로 약 20~30분 소요된다. 오이도역과 가장 가까운 곳은 배곧한신더휴.호반더프라임 아파트 단지 정류장(시흥 방면), 배곧중심상가(서울 방면)이다. 정류장에서 내리면 오이도역까지는 도보 기준 약 15~20분 걸린다. 다른 방법은 [[신도림역]]까지 간 다음, [[시흥 버스 5200|5200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노선은 막차가 신도림역에서 평일 00:55, 주말 00:40에 있다. 단, 이 버스는 경인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이 아니라, 신도림지하차도 너머의 신도림 테크노마트쪽에 정차한다. 그 이후로는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 이후부터 3400번과 동일한 경로를 이용한다. 이 외의 방법은 [[서울대입구역]]까지 간 다음, 3번 출구로 나와서 [[시흥 버스 3500|3500번]]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노선은 막차가 서울대입구역에서 00:50에 있다. 해당 노선은 배곧신도시를 거쳐 오이도차고지를 가는 노선이라 3400번과 마찬가지로 정왕역과 오이도역 바로 앞을 지나가지 않는다. 만약 오이도행 막차가 끊겼는데, 오이도해양단지 일대를 가야 한다면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오이도차고지에서 오이도해양단지까지 도보로 약 10~15분 걸린다. 이 노선을 이용해서 생명공원 정류장에서 내리면 정왕역까지는 도보로 약 40~45분, 오이도역까지는 도보로 약 15~25분 걸린다. 주말에는 오이도역 한정으로 다음의 방법도 있다. 일단 사당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간 다음 [[인천역|인천행]] 열차로 갈아타고 [[개봉역]]에서 내린다. 그러면 개봉역에서 1번 출구로 나와서 큰 길로 나와 우회전하여 가면 버스정류장이 나온다. 여기서 [[광명 버스 1|1번]]을 타는데, 이 버스는 막차가 23:55에 출발한다. 이 버스를 타고 가면 오이도역 바로 앞에 정차한다. 또는 정왕역 앞까지는 아니지만 그 근처까지는 들어갈 수 있다. == 안산행 막차를 놓쳤을 경우 == 안산행 막차는 평일은 23:44, 주말에는 23:38분에 각각 출발한다. 따라서 이 열차를 놓쳤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산본역]], [[수리산역]]으로 가려면 4번 출구로 나와서 [[서울 버스 540|540번]]을 이용한다. 이 버스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서울성모병원]]에서 01:15에 막차가 출발한다. 참고로 이 버스는 군포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며 도보로는 먼 편이지만 [[대야미역]]까지 갈 수 있다. 여기에 범계역, 금정역 쪽으로 간다면 [[인덕원역]]으로 간 후 [[서울 버스 542|542번]]이나 [[군포 버스 3030|3030번]]으로 환승한다. 이쪽은 신사역에서 막차가 각각 0:40과 새벽 2시에 출발한다. 아울러 [[안양 버스 11-2|11-2번]]도 있는데, 사당역을 0:20 전후로 출발한다. 산본역으로 바로 들어가기 때문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대야미역]], [[반월역]]으로 가려면 9번 출구로 나와서 [[수원 버스 7800|7800번]]을 타고 의왕톨게이트 정류소에서 내린 다음 그 자리에서 기다렸다가 [[안산 버스 3100|안산 버스 3100번]]으로 갈아타면 갈 수 있다. 각각 대야미삼거리, 대림아파트 정류소에서 내린다. 참고로 3100번은 00:25에 강남역을 출발하며, [[상록수역]] 정류소 및 [[한대앞역]] 인근을 지나간다. 3100번 종점이 [[신안산대학교]] 앞이기 때문에 [[초지역]]과도 가깝다. 다만 [[중앙역(안산)|중앙역]]과 [[고잔역]] 인근 정류소와는 거리가 조금 멀리 떨어져 있다. [[상록수역]]~[[안산역]]으로 갈 때에는 9번 출구로 나와서 [[수원 버스 7800|7800번]]을 타고 의왕톨게이트 정류소에서 내린 다음 그 자리에서 기다렸다가 [[안산 버스 700|700번]]으로 갈아타면 이 구간의 역을 갈 수 있다. 700번 버스는 강남역에서 막차가 0:00에 출발한다. 7800번은 사당역 출발 25~30분 만에 의왕톨게이트에 도착한다. 만일 4번 출구 근처에 있다면 이곳에서도 [[수원 버스 7001|7001번]]이나 [[수원 버스 7770|7770번]]을 타고 가서 의왕톨게이트에서 내릴 수 있다. 다만 [[상록수역]]과 [[안산역]]을 제외한 대다수의 역이 거리가 있기 때문에 도보 이동이 필요하다. 차례로 상록수역 정류소, 푸른마을4단지 정류소, 중앙중학교 정류소, 안산시청 정류소, 라성호텔, 안산역 정류소를 이용한다. 그러나 안산시청 정류소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고잔역으로 조금 더 가까이 가려면 사당역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간 다음 5609번으로 갈아타고 오다가 고대병원앞에서 내린다. 참고로 이 버스는 막차가 여의도환승센터에서 00:40에 출발한다. 라성호텔도 가능하지만 거리가 멀기 때문에 안산 버스 3100번을 타는 것이 낫다. 아울러 안산역 이후 신길온천역, 정왕역, 오이도역 쪽으로 갈 때도 이 버스로 가능하며, 차례로 샛뽈 정류소, 이마트 정류소, 월드아파트 정류소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단 월드아파트 정류소는 거리가 먼 편이다. == 금정행, 산본행(주말) 막차를 놓쳤을 경우 == 금정행 막차는 평일에, 산본행 막차는 주말에만 운행하며, 금정행 열차는 24:08에, 산본행 열차는 24:00에 사당역을 출발한다. 주말에는 이 이후 열차는 존재하지 않으며, 평일에는 약 1시간 뒤인 1:02에 있는 남태령행 열차만 남는다. 따라서 금정/산본행 막차를 놓쳤다면 4번 출구로 나와서 중앙버스전용차로 승강장으로 간 다음 [[서울 버스 502|502번]]나 [[서울 버스 540|540번]]을 탄다. 두 버스는 [[인덕원역]]까지 내질러 가기 때문에 사당~인덕원 구간은 이용 가능하다. 다만 [[선바위역]], [[경마공원역]], [[대공원역(과천선)|대공원역]]을 지나가지 않는다. 그리고 [[평촌역]], [[범계역]], [[금정역]]의 경우는 사당역에서 직접 가는 버스는 없지만, 일단 502번을 타고 과천성당부터 인덕원역까지의 정류소라면 어디라도 내려서 [[서울 버스 542|542번]]으로 갈아타면 갈 수 있다. 참고로 542번은 신사역에서 막차가 00:40에 출발한다. 다만 평촌역 앞에는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한가람단지 정류소에서 내린다. 또한 산본행 막차를 놓쳤다면 평일 오이도행 막차를 놓쳤을 때 산본역으로 가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이동 가능하다. == 관련 문서 == * [[막차]] * [[수도권 전철 4호선]] [[분류:사당역]]